제1회 전조선축구대회
| 제1회 전조선축구대회 | |
|---|---|
| 대회 개요 | |
| 개최지 | 경성시 |
| 개최기간 | 1921년 2월 11일 ~ 1921년 2월 13일 |
| 인접 대회 | |
|
다음 대회
제2회 → | |
개요편집
1921년 2월 11일부터 1921년 2월 13일까지 배재고보 운동장에서 개최되었으며 이 대회는 제2회 전국체전 축구종목으로도 기록된다.
경기결과편집
중학단편집
총 7개팀이 참가했다.
| 팀명 |
|---|
| 오산고보 |
| 보성전문 |
| 배재고보 |
| 경신학교 |
| 휘문고보 |
| 중앙고보 |
| 청년회관 |
예선 1차전편집
| 1921년 |
배재고보 | O 기권 X[1] | 경신고보 | 배재고보 운동장 |
|---|---|---|---|---|
| [1] |
2차 예선편집
| 1921년 |
배재고보 | O 기권 X [2] | 중앙고보 | 배재고보 운동장 |
|---|---|---|---|---|
| [2] |
| 1921년 |
배재고보 | O 기권 X | 경신고보 | 배재고보 운동장 |
|---|---|---|---|---|
| [3] |
청년단편집
총 11개팀이 참가했다.
| 팀명 |
|---|
| 숭실구락부 |
| 평양무오단 |
| 전평양축구단 |
| 동래구락부 |
| 청주청년회 |
| 천도교청년회 |
| 반도구락부 |
| 한성은행 |
| 연희구락부 |
| 배재구락부 |
| 불교청년회 |
예선 1차전편집
| 1921년 |
배재구락부 | O - X | 한성은행 | 배재고보 운동장 |
|---|---|---|---|---|
| [4] |
| 1921년 |
연희구락부 | O - X | 동래구락부 | 배재고보 운동장 |
|---|---|---|---|---|
| [5] |
| 1921년 |
평양무오단 | O - X | 불교청년회 | 배재고보 운동장 |
|---|---|---|---|---|
| [6] |
| 1921년 |
청주청년회 | O - X | 반도구락부 | 배재고보 운동장 |
|---|---|---|---|---|
| [7] |
예선 2차전편집
| 1921년 |
배재구락부 | O - X | 평양무오단 | 배재고보 운동장 |
|---|---|---|---|---|
| [8] |
| 1921년 |
숭실구락부 | O - X | 천도교청년회 | 배재고보 운동장 |
|---|---|---|---|---|
| [9] |
| 1921년 |
연희구락부 | O - X | 청주청년회 | 배재고보 운동장 |
|---|---|---|---|---|
| [10] |
준결승편집
| 1921년 |
배재구락부 | 경기중단 | 숭실구락부 | 배재고보 운동장 |
|---|---|---|---|---|
| [11] |
| 1921년 |
연희구락부 | 경기미개최 | 전평양축구단 | 배재고보 운동장 |
|---|---|---|---|---|
| [12] |
에피소드편집
- 대회 당시 입장료는 20전과 10전이었다고 한다.
- 대회 첫날 중학단 3개 경기가 심판 판정에 불만으로 기권하며 중학단 경기는 파행으로 끝이났다.
- 중학단 경기의 파행 이후에 대회 임원들은 영국에서 축구선수를 한 사람이 인천에 있다는 말을 듣고 서병희씨를 수소문해 대회 이틀째부터 심판을 맡겼다.
- 준결승전에서 배재구락부와 숭실구락부의 경기에서 서병희 심판은 숭실에게 오프사이드를 선언하였으나 숭실은 불복하였고 이후 모든 경기가 파행으로 끝났다.
- 이후 다음 대회에서는 경기규정과 심판규정이 새롭게 마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