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9,932 바이트 추가됨 ,  2011년 11월 29일 (화) 19:19
편집 요약 없음
[[File:최성국.jpg|300픽셀|섬네일|오른쪽|성남시절 최성국과 [[김동현3|김동현]].<br/><del>브로커끼리 기념촬영</del>]]

'''최성국'''(崔成國, 1983년 2월 8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공격수이다. 전직 [[수원 삼성 블루윙즈]] 소속이었다. 현재 승부조작 사건으로 검찰의 수사를 받고 있는 중이다.




== 프로필 ==
* 이름 : '''최성국'''
{{col-begin}}
{{col-3}}
* [[K-리그 등록명|등록명]] : 최성국
* 출생일 : 1983년 2월 8일
* 유스클럽 : 고려대학교 중퇴
* 신체 : 172cm / 68kg
* 포지션 : [[공격형 미드필더]]
* 현 소속팀 : 선수 생활 강제은퇴
* [[등번호]] :

* 국가대표 경력
: 2003 [[FIFA U-20 월드컵]] 대표
: 2004 [[아테네 올림픽]] 국가대표
: 2005 [[동아시아 축구선수권대회]] 국가대표
: 2007 [[AFC 아시안컵]] 국가대표
: (통산 A매치 24경기 출장 2골)

{{col-3}}
*리그 기록 (실업 포함)
:{|class="wikitable" width="450px" style="text-align:center;"
|-
!소속팀 !! 연도 !! 출장 !! 교체 !! 득점 !! 도움 !! 경고 !! 퇴장
|-
| [[울산 현대 호랑이]] || 2003 ||27||22|| 7||1||5 ||0
|-
| [[울산 현대 호랑이]] || 2004 ||19||10|| 1||4||2 ||0
|-
| [[울산 현대 호랑이]] || 2005 ||16||14|| 1||3||4 ||0
|-
| [[울산 현대 호랑이]] || 2006 ||35||13|| 9||4||3 ||0
|-
| [[성남 일화 천마]] || 2007 ||28 ||20|| 3||2 ||3 ||0
|-
| [[성남 일화 천마]] || 2008 ||26 ||24|| 7||3 ||3 ||0
|-
| [[광주 상무]] || 2009 ||28||5||9||3||2 ||0
|-
| [[광주 상무]] || 2010 ||24||6||4||2||5 ||1
|-
| [[성남 일화 천마]] || 2010 ||4||1|| 0||1||1||0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2011 ||12 ||9|| 1||2 ||2 ||0
|-
! 통산 ([[K리그]]) || - ||219||124||42||25||30||1
|}
:[[K리그]] 통산기록은 [[리그컵]]기록 포함. 2011년 8월 1일 기준.
{{col-end}}

클럽

*'''울산 현대 호랑이'''
:K리그: 2005
:슈퍼컵: 2006
:A3 챔피언스컵: 2006

*'''성남 일화 천마'''
: K리그: 2007
: AFC 챔피언스리그: 2010

*'''개인'''
:FA컵 득점왕: 2001
:K리그 컵 득점왕: 2006
:조모컵 2008 MVP: 2008
:대통령 표창장: 2002
:진주 MBC배 최우수 선수: 2000
:올해의 프로축구 대상 프로스펙스 특별상: 2004


== 유소년 시절 ==
서울특별시 출생으로 동곡초등학교, 역곡중학교, [[정명고등학교]]를 거쳐 [[고려대학교]]를 중퇴하였다. 167cm로 단신이었던 최성국은 민첩하고, 개인기가 좋아 환상적인 드리블로 상대 수비 2, 3명을 쉽게 따돌리는 점이 [[디에고 마라도나]]와 닮았다는 점에 착안하여 '''리틀 마라도나'''라는 별명이 붙었다. 최성국은 학원축구계에서의 뛰어난 활약으로 [[2002년 한일월드컵]] 당시에는 거스 히딩크 감독이 [[여효진]], [[차기석]], [[정조국]]과 함께 대표팀의 훈련생으로 뽑히며 한국 축구의 미래를 짊어질 자원으로 기대를 모았다. <del>생각해보니 저때 히딩크가 참가시킨 어린 선수들 다 성공못했네</del> 또한 청소년대표에도 발탁, 대한민국 U-20 팀이 [[19세 이하 아시아 청소년 선수권 대회]] 우승을 이루는데 큰 역할을 했다.

2003년 개최된 [[FIFA U-20 월드컵]]에서 당대 최고 기대주였던 [[김동현3|김동현]] 선수와 <del>브로커</del> 투톱으로 출전, 이번엔 4강 드립을 쳐봤지만 16강전에서 일본 청대에게 덜미를 잡히며 탈락하고 말았었다. 이때 최성국 선수는 16강전에서 골을 기록하며 한국축구의 체면을 살렸다는 평가를 받았다.



== 울산 시절 ==

청소년대표로 승승장구하던 최성국은 2003년 [[울산 현대]]에 계약금 3억, 연봉 2천만원, 계약기간 5년의 최고급 계약을 통해 울산에 입단하였다.<ref>당시 신인 최고 상한계약금액이 3억이었기 때문에 형식적으로 발표된 계약금은 3억이었으나, 울산이 최성국 선수를 데려오려고 3억 이상의 웃돈을 얹어줬다는 소문이 파다했다.</ref> 첫 시즌 27경기에 나와 7골 1어시스트를 기록하며 강력한 신인왕 후보로 떠올랐고, 팀도 승승장구하며 [[성남 일화 천마]]와 우승경쟁을 벌였지만 당시 최강전력을 자랑하던 성남에 밀려 결국 준우승에 머물렀고, 신인왕 타이틀도 [[안양 LG 치타스]]의 [[정조국]]에게 밀리며, 신인왕 자리도 놓쳤다. 하지만, 2004년 최성국은 [[2004 아테네 올림픽]] 예선과 본선에 잇달아 출전하면서, 피로한 상태였고 엎친데 덮친격으로 부상까지 당하면서 19경기 1골 4어시스트로 부진했고, 이듬해엔 2005년에는 [[인천 유나이티드]]와의 2차전에서 골을 기록하는 등 <ref> 당시에 이 골이 최성국의 왼팔에 맞고 들어가면서 [[핸드볼]]이 아니었냐는 논란에 휩싸였었다. 방송으로 보면 명백한 핸드볼인데......</ref> 팀의 우승에 공헌했지만, 가시와에서 잠시 임대되었다가 온 탓에<ref> 최성국은 가시와에서 9경기에 출전했지만 한 골도 넣지 못했다.</ref> 시즌 성적은 16경기 1골 3어시스트로 부진했다. 2006년 최성국은 35경기에 출전 9골 4도움을 기록하면서 명성을 되찾았고 [[A3 챔피언스컵]]과 [[아시아 챔피언스리그]]에서도 좋은 활약을 보여주었다.




== 성남 시절 ==
2006년 K리그 우승을 차지한 성남은 공격라인의 강화를 위해 최성국을 영입하기로 판단을 내렸고, 울산에 약 12억을 주면서 최성국을 데려왔다. 최성국은 이적 첫 시즌 28경기에 나와 3골 2도움을 기록했다, 기록면으로 보면 부족한 활약일 수 있었으나 최성국이 뚫어준 활로에 [[모따]], [[두두]]가 골을 넣으면서 최성국의 활약은 나쁘지 않았고, 이듬해 7골 3도움을 기록하면서 제몫을 해냈고 2008년 8월 2일에는 한국과 일본 프로축구 사상 첫 올스타 맞대결인 'JOMO CUP 2008'의 MVP를 차치하였지만, 2007년에는 정규리그 1위를 차지하고도 챔피언결정전에서 포항에 밀려, 2008년에는 [[전북 현대]]에 밀리면서 우승에 실패했다.


== 상무 시절 ==
최성국은 2009년 [[광주 상무]]에 입대했고, 당연히(?) 붙박이 주전 공격수로 낙점을 받으면서, 첫 해부터 28경기 9골 3도움을 기록, 상무 돌풍의 핵으로 떠올랐다. 이듬해인 2010년에도 24경기 4골 2도움을 기록하고 9월 전역하여 성남에서 4경기를 더 뛰었고, [[아시아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 엔트리에도 들면서 성남의 우승에 밥 숟가락을 얹었다.


== 수원 시절 ==
최성국은 2011년 시즌 전 12억원의 이적료로 수원으로 이적했다. 재정난이었던 성남이 더 이상 최성국을 유지할 수 없었단 이유였다.<REF>하지만, 항간에는 승부조작 혐의를 감지한 성남에서 수원에 제의했다는 설도 설득력있게 제기되고 있다. 근데 군대내에서 승부조작을 했기 때문에 성남도 이를 알기는 힘들것도 같은데.. </REF> 최성국은 입단 1주일만에 팀의 주장을 맡으면서, 솔선수범 하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시즌에 들어서자, 최성국은 골욕심에 치우친 나머지 패스하기를 꺼렸고, 주장이라는 선수가 팀에 도움이 안되는 플레이를 하면서 수원은 무승의 늪에 빠져만 갔다. 그 무렵 승부조작 파문의 칼끝이 최성국을 겨누자 최성국은 워크샵에서 '''나는 결백하다'''라고 주장했지만, 7월의 첫날, 승부조작 모의에 참석한 사실을 시인하였고,<ref> 본인의 말로는 당시 상무의 코칭스탭에게 이 사실을 알렸으나 묵살 당했다고 주장했고, 이후 당시 코칭스탭이었던 [[이수철]] 감독이 구속되면서, 죄는 다르지만 승부조작을 실제로 묵인했다는 이야기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여하튼 최성국 선수의 고발로 이수철도 잡혀들어갔으니 이거슨 물귀신?</ref> 이후 드러난 검찰 조사에서 김동현을 꼬드긴 브로커 역할을 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최성국의 주장은 모두 거짓말로 드러났다. 최성국이 받은 돈은 고작 400만원, 선수 연봉에 100분의 1도 안되는 돈 때문에 선수인생 종치게 생겼다.


== 에피소드 ==
[[File:보성국.jpg|200픽셀|섬네일|오른쪽|보성국]]

* 최성국은 '보성국' 으로 불리고 있는데, 올림픽 대표팀 시절 한장의 사진이 발단이었는데, 수영장에서 휴식을 취하는 최성국의 바지가랑이가 절묘하게 파이면서 '보성국'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 올림픽대표팀 이후 CF가 들어왔는데 [[피자나라 치킨공주]] CF였다. 이 CF는 광고 내용의 초현실성적 강렬함과 저녁 시간대 광고라는 지명도 높은 시간대 출연으로 인해, 당대 축구팬뿐만 아니라, 저녁 만화를 보려고 TV 앞에 모였던 어린이들 사이에서도 화제가 되었다. 이 CF로 최성국은 [[치킨성국]]으로 나름 어린이들의 인지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었다. <del> 하지만 승부조작으로 망해써요</del>

* 고려대 시절 [[대한민국 FA컵]]에 참가, 4골을 득점하며 2001년 FA컵 득점왕을 수상하였다. 대한민국 FA컵 역사상 유일하게 프로선수가 아닌 신분임에도 득점왕을 차지한 케이스.


== 참조 ==
<references/>

[[분류:1983년생]][[분류: 정명고등학교의 선수]][[분류: 고려대학교의 선수]][[분류: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선수]][[분류: 울산 현대의 선수]][[분류: 성남 일화 천마의 선수]][[분류:Hall Of Shame]]

편집

102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