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6 바이트 제거됨 ,  2012년 1월 4일 (수) 09:25
잔글
10번째 줄: 10번째 줄:  
=== 쉐도우 스트라이커 ===
 
=== 쉐도우 스트라이커 ===
 
----
 
----
쉐도우 스트라이커 (Shadow Striker) 내지 세컨드 스트라이커(Second stiker) 라고 부르는 포지션. 둘다 축약어는 SS라 그런지 거의 동일한 의미로 쓰인다. 일반적인 정의는 [[투톱]]을 세웠을때 두명의 중앙 공격수 중 최전방 스트라이커의 뒷쪽에 위치하면서, 순간적인 돌파나 슈팅으로 득점을 올리거나 수비수들을 끌어 모으는 역할과 공간 창출 등의 역할을 맡는 스트라이커를 말한다. 뭐 근데 쉐도우 스트라이커나 [[공격형 미드필더]]나 딱히 구분되는 포지션이 아니고, 쉐도우와 [[윙 포워드]]가 [[스위칭]]하는 경우도 원체 잦아서 포지션 고유의 특성은 찾기 힘들다. 그냥 타겟형 스트라이커는 키큰 중앙 공격수, 쉐도우는 상대적으로 키가 작은 중앙 공격수로 구분하는게 속편할듯. 일반적인 공격수보다 쳐진 위치에서 경기하므로 딥 라잉 스트라이커(Deep-lying striker)라고 부르기도 한다.
+
쉐도우 스트라이커 (Shadow Striker) 내지 세컨드 스트라이커(Second stiker) 라고 부르는 포지션. 둘다 축약어는 SS라 그런지 거의 동일한 의미로 쓰인다. 일반적인 정의는 [[투톱]]을 세웠을때 두명의 중앙 공격수 중 최전방 스트라이커의 뒷쪽에 위치하면서, 순간적인 돌파나 슈팅으로 득점을 올리거나 수비수들을 끌어 모으는 역할과 공간 창출 등의 역할을 맡는 스트라이커를 말한다. 뭐 근데 쉐도우 스트라이커나 [[공격형 미드필더]]나 딱히 구분되는 포지션이 아니고, 쉐도우와 [[윙 포워드]]가 [[스위칭]]하는 경우도 원체 잦아서 포지션 고유의 특성은 찾기 힘들다. 그냥 타겟형 스트라이커는 키큰 중앙 공격수, 쉐도우는 상대적으로 키가 작은 중앙 공격수로 구분하는게 속편할듯. 일반적인 공격수보다 쳐진 위치에서 경기하므로 딥 라잉 포워드(Deep-lying forward)라고 부르기도 한다.
    
=== 타겟형 스트라이커 ===
 
=== 타겟형 스트라이커 ===

편집

3,533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