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831 바이트 추가됨 ,  2012년 2월 7일 (화) 23:44
126번째 줄: 126번째 줄:  
----
 
----
    +
{{인용문2 |'''첫째''', 천안 오룡 경기장 시설 노후화 문제는 이미 1998년 기공한 상태였으나, 당시 천안 일화 천마 입장에서는 당장 경기를 할 곳이 필요했다. 게다가 1998년 10월, 성남시에서 이미 발빠르게 [[성남 모란 운동장]]을 발빠르게 천연 잔디로 교체하여 바로 경기가 가능한 상태에서 천안의 신축 [[천안 종합운동장]]을 기다리기는 무리였다. 또한 당시 성남 뿐 아니라 여러 지자체에서 비슷한 조건으로 바로 프로축구팀을 유치하려고 하고 있었기 때문에 천안시의 대응은 적절하지 못했다.
 +
 +
'''둘째''', 애초에 일화 축구단은 천안을 홈으로 할 의지가 없었다. 1996년 4월 7일 첫 홈 경기 이후 10월까지 홈 경기를 한 번도 가지지 않았다. 첫 시즌에는 홈 경기를 제대로 펼치지 않았으며, 두 번째 시즌에는 홈 경기 일정을 제대로 잡아서 진행하였으나 기존에 비해 선수 투자 규모도 줄었다.
 +
 +
특히 1998년 성남시를 비롯한 다른 지자체의 접촉 이후인 [[1999 K-리그|바이코리아컵 K-리그 1999]] 시즌부터 굉장히 냉랭한 태도를 취했다. 정규리그 홈 경기 중 4경기 만을 천안에서 가졌으며 이 경기는 모두 수요일 오후 경기였다. 나머지 홈 경기는 기존의 홈 구장이었던 [[동대문 운동장]], 제천 종합 운동장, 강릉 종합 운동장 등을 유랑하며 경기를 가졌다. 타지역에서 경기를 할 경우, 전광판에 팀 명으로 지역 명을 표기하지 않고 '일화'로 표기하며 천안에 연을 두지 않을 것임을 은연중에 내비쳤다.
 +
 +
'''셋째''', 성남시의 비협조와 성남시 기독교인들의 반발을 예상하고 이동한 것은 아니다. 자체적으로 통일교의 색깔을 없앤 상태에서 천안 지역 기독교인들의 반발은 비교적 드러나지 않게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확인 필요) 천안시는 물론 기존에 [[천안 일화 천마]]에게 약속한 부분을 장기적으로 이행하고 있었지만, 성남시는 시장까지 나서서 직접 박규남 단장을 접촉하고 이미 1998년이 지나기 전에 [[성남 모란 운동장]]의 잔디를 교체하면서 향후 좋은 지원을 약속했다.
 +
 +
'''넷째''', [[성남 일화 천마]]는 성남으로 이전 후, 천안 시절과는 확연히 대비될 정도로 성남에서 지역 연고를 잡을 것을 확실히 하며 지금까지 활동해 왔다. 2004년 한 언론사가 [[K-리그]] 팀들의 [[서울 월드컵 경기장]] 연고 이전에 대한 조사를 벌였을 때에도 [[성남 일화 천마]]는 "성남에서 어렵게 뿌리를 내린 만큼 앞으로도 성남을 떠나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
}}
 
[[분류:해체된 축구단]]
 
[[분류:해체된 축구단]]

편집

52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