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째 줄:
1번째 줄:
−
'''갈락티코'''(Galáctico)는 [[에스파뇰라 BBVA 리가]] 클럽 [[레알 마드리드]]의 플로렌티노 페레즈 회장이 추진한 수퍼 스타 영입정책으로 영입된 선수들의 애칭 혹은 그 정책 자체를 뜻하는 표현으로 스페인어로 은하를 뜻한다. 일본에서는 은하계군단(銀河系軍団), 한국에서는 '''[[지구방위대]]'''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
'''갈락티코'''(Galáctico)는 [[에스파뇰라 BBVA 리가]] 클럽 [[레알 마드리드 C.F.]]의 플로렌티노 페레즈 회장이 추진한 수퍼 스타 영입정책으로 영입된 선수들의 애칭 혹은 그 정책 자체를 뜻하는 표현으로 스페인어로 은하를 뜻한다. 일본에서는 은하계군단(銀河系軍団), 한국에서는 '''[[지구방위대]]'''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 갈락티코 정책 ==
== 갈락티코 정책 ==
−
갈락티코 정책은 2000년 레알 마드리드 구단주로 취임한 플로렌티노 페레스 구단주가 취임 당시, 구단의 우승을 위해 ''은하계에서 유명한 스타들을 다 데려오겠다''고 한 공약에서 시작된다. 이 정책은 [[지네딘 지단]] 같은 수퍼 스타를 공격수로 영입하고, 레알 혹은 다른 클럽의 유소년팀에서 수비수를 충당한다는 정책이었는데, 당시 [[카스티야]]에서 1군으로 올라온 [[카를로스 파본]]이 좋은 활약을 보여준 사례였기에 이 정책을 가리켜 '''"지단&파본"''' 정책이라 칭하기도 하였다. 정책 초기, 천문학적인 금액을 쏟아 부으며 [[루이스 피구]]와 지네딘 지단을 영입<ref>당시 [[루이스 피구]]에 3870만 파운드를 투자해 이적료 기록을 깨더니, [[지네딘 지단]] 영입 당시에는 4600만 파운드를 투자하여 기록을 갱신하였다.</ref>한 레알은 2000~2001, 2002~2003 시즌 프리메라리가 우승을 차지하였고, 2001-2002 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레버쿠젠을 꺾고 구단의 열 번째 [[빅 이어]]를 들어올리며 성공적으로 출발하는 듯 하였다. 그러나, 이 천문학적인 금액으로 영입한 선수들의 마음을 하나로 모아 줄 수장들의 힘은 자연스레 약해졌고, 레알의 수장은 1시즌을 채 버티지 못하고 바뀌는 등 침체기를 겪었다. 결국 2002-2003년 이후 레알 마드리드는 최대 라이벌 [[FC 바르셀로나]]에게 리그의 주도권을 완벽히 내주게 되는데, 03-04 시즌에는 FC 바르셀로나를 제치고 [[잉글랜드]] 최고의 축구 스타 [[데이비드 베컴]]을 영입하는데 성공, 앞서 나가는 듯 했지만 FC 바르셀로나가 꿩 대신 닭으로 영입한 [[호나우지뉴]]의 대활약으로 레알은 바르셀로나가 우승 컵을 들어올리는 모습을 멀찍이서 지켜보아야만 했다. 계속해서 무관에 그치던 2006년, 우승 청부사로 불리는 [[이탈리아]] 국적의 명감독 [[파비오 카펠로]]를 영입하면서 그에게 모든 권한을 위임하였고, 카펠로는 기대에 부응이라도 하듯 06-07 시즌 우승을 이끌어내면서 갈락티코 1기는 사실상 막을 내렸다. 그러나 카펠로 감독은 2년만에 레알 마드리드의 권좌에서 물러났고, 레알의 갈락티코 정책은 2기로 넘어가게 되었다. 1기 갈락티코에 지네딘 지단이 있었다면 2기 갈락티코는 바로 [[크리스티아누 호나우두]]가 중심이 되었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 거액을 지불하고 데려온<ref>이적료는 8000만 파운드로, 지네딘 지단의 7600만 파운드를 훨씬 상회하는 금액이었다.</ref> 크리스티아누 호나우두는 2기 갈락티코의 한 축이 되었고, 레알은 1기의 영광을 그대로 이어 받을 수 있을 것만 같았다. 그러나 레알은 2010-2011시즌까지 [[리오넬 메시]]가 이끌던 바르셀로나에게 번번이 밀리면서 2인자에 머물러야만 했고, 2010-2011 시즌을 앞두고 부임한 [[주제 무리뉴]] 감독이 간신히 상황을 수습하면서 2011-2012 시즌 리그 우승에 한발짝 다가선 상태다.
+
----
+
갈락티코 정책은 2000년 레알 마드리드 구단주로 취임한 플로렌티노 페레스 구단주가 취임 당시, 구단의 우승을 위해 ''은하계에서 유명한 스타들을 다 데려오겠다''고 한 공약에서 시작된다. 이 정책은 [[지네딘 지단]] 같은 수퍼 스타를 공격수로 영입하고, 레알 혹은 다른 클럽의 유소년팀에서 수비수를 충당한다는 정책이었는데, 당시 [[카스티야]]에서 1군으로 올라온 [[카를로스 파본]]이 좋은 활약을 보여준 사례였기에 이 정책을 가리켜 '''"지단&파본"''' 정책이라 칭하기도 하였다. 정책 초기, 천문학적인 금액을 쏟아 부으며 [[루이스 피구]]와 지네딘 지단을 영입<ref>당시 [[루이스 피구]]에 3870만 파운드를 투자해 이적료 기록을 깨더니, [[지네딘 지단]] 영입 당시에는 4600만 파운드를 투자하여 기록을 갱신하였다.</ref>한 레알은 2000~2001, 2002~2003 시즌 프리메라리가 우승을 차지하였고, 2001-2002 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레버쿠젠을 꺾고 구단의 열 번째 [[빅 이어]]를 들어올리며 성공적으로 출발하는 듯 하였다.
−
물론 갈락티코 정책이 레알에게 나쁜 결과만을 가져다 준 것은 아니다. 레알은 2000년대 이후 최고의 부자구단으로 명성을 높였다. 갈락티코 정책이후 라리가 우승 횟수가 단 4회였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대단한 결과다. 일례로, 2005~2006 시즌 레알 마드리드는 총 3억 73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해 세계 클럽 스포츠사에서 매출 1위를 차지했다. 갈락티코 정책이 팀의 우승을 많이 가져다 주지는 못했어도 팀의 재정을 풍족하게 하는데에는 많은 도움을 준 셈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
그러나, 이 천문학적인 금액으로 영입한 선수들의 마음을 하나로 모아 줄 수장들의 힘은 자연스레 약해졌고, 레알의 수장은 1시즌을 채 버티지 못하고 바뀌는 등 침체기를 겪었다. 결국 2002-2003년 이후 레알 마드리드는 최대 라이벌 [[FC 바르셀로나]]에게 리그의 주도권을 완벽히 내주게 되는데, 03-04 시즌에는 FC 바르셀로나를 제치고 [[잉글랜드]] 최고의 축구 스타 [[데이비드 베컴]]을 영입하는데 성공, 앞서 나가는 듯 했지만 FC 바르셀로나가 꿩 대신 닭으로 영입한 [[호나우지뉴]]의 대활약으로 레알은 바르셀로나가 우승 컵을 들어올리는 모습을 멀찍이서 지켜보아야만 했다. 계속해서 무관에 그치던 2006년, 우승 청부사로 불리는 [[이탈리아]] 국적의 명감독 [[파비오 카펠로]]를 영입하면서 그에게 모든 권한을 위임하였고, 카펠로는 기대에 부응이라도 하듯 06-07 시즌 우승을 이끌어내면서 갈락티코 1기는 사실상 막을 내렸다. 그러나 카펠로 감독은 2년만에 레알 마드리드의 권좌에서 물러났고, 레알의 갈락티코 정책은 2기로 넘어가게 되었다. 1기 갈락티코에 지네딘 지단이 있었다면 2기 갈락티코는 바로 [[크리스티아누 호나우두]]가 중심이 되었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 거액을 지불하고 데려온<ref>이적료는 8000만 파운드로, 지네딘 지단의 7600만 파운드를 훨씬 상회하는 금액이었다.</ref> 크리스티아누 호나우두는 2기 갈락티코의 한 축이 되었고, 레알은 1기의 영광을 그대로 이어 받을 수 있을 것만 같았다. 그러나 레알은 2010-2011시즌까지 [[리오넬 메시]]가 이끌던 바르셀로나에게 번번이 밀리면서 2인자에 머물러야만 했고, 2010-2011 시즌을 앞두고 부임한 [[주제 무리뉴]] 감독이 간신히 상황을 수습하면서 2011-2012 시즌 리그 우승에 한발짝 다가선 상태다.
−
== 1기 갈락티코 ==
+
물론 갈락티코 정책이 레알에게 나쁜 결과만을 가져다 준 것은 아니다. 레알은 2000년대 이후 최고의 부자구단으로 명성을 높였다. 갈락티코 정책이후 라리가 우승 횟수가 단 4회였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대단한 결과다. 일례로, 2005~2006 시즌 레알 마드리드는 총 3억 73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해 세계 클럽 스포츠사에서 매출 1위를 차지했다. 갈락티코 정책이 팀의 우승에 기여한 바는 그리 크지 않다 해도 팀의 재정을 풍족하게 하는데에는 많은 도움을 준 셈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ref>선수들이 결집되지 못하고 개인 플레이가 많이 나오는 것은 사실이었지만, 당시 레알은 한 골을 실점하면 서너 골을 넣으며 이기는 팀이었고, 선수들의 뛰어난 개인 전술에서 나오는 멋진 골은 세계의 축구 팬들을 열광시키기에 충분했다고 볼 수 있다.</ref>
+
+
=== 1기 갈락티코 ===
+
----
* {{국기그림|스페인}} [[라울 곤잘레스]] ([[유소년 팀]] 출신)
* {{국기그림|스페인}} [[라울 곤잘레스]] ([[유소년 팀]] 출신)
−
* {{국기그림|스페인}} [[카시아스]] ([[유소년 팀]] 출신)
+
* {{국기그림|스페인}} [[이케르 카시야스]] ([[유소년 팀]] 출신)
* {{국기그림|스페인}} [[호세 마리아 구티에레스]] ([[유소년 팀 출신]])
* {{국기그림|스페인}} [[호세 마리아 구티에레스]] ([[유소년 팀 출신]])
+
* {{국기그림|브라질}} [[호베르투 카를로스]] (1996년, [[인테르나치오날레 F.C.]], 갈락티코 정책 이전 영입)
* {{국기그림|포르투갈}} [[루이스 피구]] (3870만 파운드, 2000년, [[FC 바르셀로나]])
* {{국기그림|포르투갈}} [[루이스 피구]] (3870만 파운드, 2000년, [[FC 바르셀로나]])
* {{국기그림|프랑스}} [[지네딘 지단]] (4600만 파운드, 2001년, [[유벤투스]])
* {{국기그림|프랑스}} [[지네딘 지단]] (4600만 파운드, 2001년, [[유벤투스]])
* {{국기그림|브라질}} [[호나우두]] (3000만 파운드, 2002년, [[인테르 밀란]])
* {{국기그림|브라질}} [[호나우두]] (3000만 파운드, 2002년, [[인테르 밀란]])
* {{국기그림|잉글랜드}} [[데이비드 베컴]] (2500만 파운드, 2003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국기그림|잉글랜드}} [[데이비드 베컴]] (2500만 파운드, 2003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 {{국기그림|네덜란드}} [[뤼트 판 니스텔로이]] (약 1000만 파운드, 2006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 {{국기그림|네덜란드}} [[뤼트 판 니스텔로이]] (약 1000만 파운드, 2006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 {{국기그림|브라질}} [[호베르투 카를로스]] (1996년, [[인테르나치오날레 F.C.]], 갈락티코 정책 이전 영입)
+
−
== 2기 갈락티코 ==
+
=== 2기 갈락티코 ===
−
* {{국기그림|브라질}} [[카카]] (6500만 유로, [[AC 밀란]], 2009년)
+
----
−
* {{국기그림|포르투갈}} [[크리스티아누 호나우두]] (9500만 유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2009년)
+
* {{국기그림|아르헨티나}} [[곤살로 이구아인]] ([[리베르 플라테]], 2006년, 2기 갈락티코 정책 이전 영입)
−
* {{국기그림|프랑스}} [[카림 벤제마]] (3500만 유로, [[올림피크 리옹]], 2009년)
+
* {{국기그림|스페인}} [[세르히오 라모스]] (2009년, [[세비야 FC]])
−
* {{국기그림|스페인}} [[사비 알론소]] (3400만 유로, [[리버풀 FC]], 2009년)
+
* {{국기그림|스페인}} [[사비 알론소]] (3400만 유로, 2009년, [[리버풀 FC]])
−
* {{국기그림|아르헨티나}} [[곤살로 이구아인]] ([[리베르 플라테]], 2006년, 2기 갈락티코 정책 이전 영입)
+
* {{국기그림|브라질}} [[카카]] (6500만 유로, 2009년, [[AC 밀란]])
+
* {{국기그림|포르투갈}} [[크리스티아누 호나우두]] (9500만 유로, 2009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 {{국기그림|프랑스}} [[카림 벤제마]] (3500만 유로, 2009년, [[올림피크 리옹]])
+
* {{국기그림|포르투갈}} [[히카르두 카르발류]] (2010년, [[첼시 FC]])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 [[레알 마드리드 CF]]
+
* [[레알 마드리드 C.F.]]
+
+
+
== 참고 ==
+
<references />
+
[[분류:축구 정책]]
[[분류:축구 정책]]
−
[[분류:레알 마드리드]]
+
[[분류:레알 마드리드 C.F.]]
[[분류:축구은어]]
[[분류:축구은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