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6,657 바이트 추가됨 ,  2012년 4월 17일 (화) 13:19
잔글
[[파일:Park Ji-Sung.jpg|300픽셀|섬네일|맨유의 박지성]]
'''박지성'''(1981년 2월 25일 ~ 현재)는 [[대한민국]]의 [[미드필더]]로, 현역 한국 선수 중 최고의 명성을 자랑한다.


{{구별|박지성 (내셔널리그)}}


== 프로필 ==
{{col-begin}}
{{col-3}}
* 성명 : 박지성 (朴智星, Park Ji-Sung)
* 국적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 출생일 : 1981년 2월 25일
* 출생지 : [[전라남도]] [[고흥군]]
* 신체 조건 : 178cm / 73kg
* 주로 쓰는 발 : 양발
* 병역 : 면제
* 포지션 : [[미드필더]]
* 유스 클럽 : [[수원공업고등학교|수원공고]] 졸업, [[명지대학교]] 졸업
* 현 소속 클럽 : {{국기그림|잉글랜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등번호 : 13
* 국가 대표팀 기록
: 1999 ~ 2002 [[대한민국 U-23 대표팀|대한민국 U-23]] (18경기 출장)
: 2000 ~ 2011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100경기 출장 13골)'''
{{col-3}}
* 리그 기록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클럽 !! 연도 !! 출장 !! 득점
|-
| [[교토 퍼플 상가]] || 2000 || 16 || 1
|-
| [[교토 퍼플 상가]] || 2001 || 40 || 3
|-
| [[교토 퍼플 상가]] || 2002 || 29 || 8
|-
! 전체(J리그) || - || 85 || 12
|-
| [[PSV]] || 2002/03 || 8 || 0
|-
| [[PSV]] || 2003/04 || 40 || 6
|-
| [[PSV]] || 2004/05 || 44 || 11
|-
! 전체(에레디비시) || - || 92 || 17
|-
| [[맨유]] || 2005/06 || 45 || 2
|-
| [[맨유]] || 2006/07 || 20 || 5
|-
| [[맨유]] || 2007/08 || 18 || 1
|-
| [[맨유]] || 2008/09 || 40 || 4
|-
| [[맨유]] || 2009/10 || 26 || 4
|-
| [[맨유]] || 2010/11 || 28 || 8
|-
| [[맨유]] || 2011/12 || 27 || 3
|-
! 전체(EPL) || - || 204 || 27
|-
! 전체 || - || 381 || 56
|-
|}
: J리그, 에레디비시, EPL 기록은 국내 컵, 대륙 대회, 기타 대회 포함. 2012년 4월 14일 기준.
{{col-end}}

== 유소년 생활 ==
전남 고흥에서 출생한 박지성은 어린 시절 [[경기도]] [[수원시]]로 이사하여 수원 세류초등학교 5학년 시절 축구화를 신었다.<ref>여담으로 박지성하면 '''수원시'''가 떠오르는게 일반적. 고흥군 측이 박지성을 배출했다는 점을 홍보하는데 다소 소홀한 사이, 수원시가 박지성 도로를 까는등 잇달아 박지성을 이용한 홍보에 성공한셈. 뒤늦게 땅을친(?) 고흥군측은 2011년 고흥공설운동장을 [[박지성공설운동장]]으로 개명하면서 박지성이 고흥군 출신임을 대외적으로 선전하려 노력중에 있다.</ref> 6학년 때 [[차범근 축구대상]]을 수상하였고, 그 뒤 화성 안용중학교, 수원공고를 거쳐 명지대학교를 졸업하였다.


== 프로 생활 ==
=== 교토 퍼플 상가 ===
명지대 시절이던 2000년, [[시미즈 에스펄스]]가 이적 제의를 해왔지만, 5000만 엔에 달하는 급료와 주전 보장을 제시한 퍼플 상가의 제의를 수락하였다. 지금에야 어린 선수들의 [[J리그]] 진출이 흔한 일이지만 당시에는 국내에서 검증된 베테랑들이 팀의 핵심 선수로 이적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그의 이적은 상당히 흔치 않은 사례였다. 2부로 강등된 상가를 다시 승격시킨다거나, 앤틀러스와의 2002년 [[천황배]] 결승전에서는 팀이 0-1로 뒤지고 있는 상황에서 천금같은 동점골을 성공시키며 팀에 첫 우승컵을 안겼다. 이 당시, 계약이 만료된 상황에서도 팀을 위해 경기에 출장하며 헌신한 박지성에 대한 찬사가 쏟아졌다.

상가는 당연히 팀의 핵심으로 성장한 박지성을 잡는다는 입장이었지만, 당시 [[2002 FIFA 월드컵]]에서 [[휘스 히딩크]]의 지휘 아래 환상적인 활약을 펼친 [[박지성]]은 은사 히딩크가 새로이 지휘하게 된 [[PSV 에인트호번|PSV]]로 이적하게 된다. 계약조건은 3년 6개월의 기간에 1,000,000 USD 가량의 연봉이었다. 그 외 [[바이아웃]] 조항으로 3,000,000 파운드의 금액을 삽입하였다.


=== PSV ===
2002/03시즌 국가 대표팀의 무리한 차출과 부상으로 경기력이 심하게 떨어진 박지성은 정말 좋지 않은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2003/04시즌 초창기 역시 그런 모습이 마찬가지라, 그가 경기에 나서면 홈 팬들이 야유를 하는 진풍경이 연출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후반부에 이르러 경기력을 끌어올린 그는 그 시즌 리그 28경기에 출장, 6골을 기록하며 항간의 우려를 씻어내었다.

2004/05시즌에는 팀내 핵심이던 [[아르연 로번]]과 [[마테야 케주만]]의 [[EPL]] 이적 이후, 우승권에서 멀어졌다는 평가를 받은 PSV를 [[에레디비시]] 정상에 올려놓는 대활약을 펼쳤고, 특히 [[UEFA 챔피언스 리그]]에서 환상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팀의 핵심 공격수로 자리잡았다. [[AC 밀란]]과의 4강 2차전에서 [[지다]]를 상대로 기록한 골은 그의 활약 중 백미. 그의 활약에 깊이 감명을 받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알렉스 퍼거슨 경]]은 그의 영입에 착수했고, 곧 그를 [[올드 트라퍼드]]에 데려올 수 있었다.


=== 맨유 ===
2005/06시즌을 앞두고 4백만 파운드의 이적료로 맨유에 이적하였다.


== 국가대표팀 ==


== 플레이 스타일 ==
아주 왕성한 활동량을 가지고 있다. 이 활동량 때문에 '세계의 폐를 가진 박'이나 '산소 탱크' 등의 별명으로 불리며, 미드필드 전역에서 전술 이해도가 상당히 높아서 공격, 수비 모든 측면에서 제 몫을 다 할 수 있는 [[유틸리티]]라고 할 수 있다. 헌신적인 자세가 높은 평가를 받으며, 그의 프로 의식과 근성, 헌신하는 자세는 팀 내에서도 호평을 받는다.
또한, 집중력과 영리한 축구 두뇌를 바탕으로 한 수비력을 통해 [[수비형 윙어]]라는 새로운 포지션 개념을 창조하기도 하였다.


== 업적 및 수상 ==


== 에피소드 ==


== 저서 ==


== 같이 보기 ==
* [[이영표]]
* [[휘스 히딩크]]
* [[파트리스 에브라]]
* [[박지성 (내셔널리그)|박지성]] (동명이인)

== 외부 링크 ==


== 각주 ==
<references />


{{대한축구협회 올해의 선수상}}
{{2006 FIFA 월드 컵 베스트 골}}


[[분류:1981년생]][[분류:수원공고의 선수]][[분류:명지대학교의 선수]][[분류:해외파 선수]][[분류:교토 상가의 선수]][[분류:PSV의 선수]][[분류:맨유의 선수]][[분류:전설적인 선수]]

편집

3,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