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06 바이트 추가됨
, 2012년 5월 7일 (월) 04:23
{{Infobox 국제 축구 대회
| 대회명 = AFC 챔피언스 리그
| image = ACL.png
| size = 100px
| 개최년도 = 2012
| 개최기간 = 2012/02/10 - 2012/11/10
| 참가 팀 수 = 37 (11개 협회)
| 우승 =
| 우승 횟수 =
| 준우승 =
| 경기 수 = 85
| 골 수 = 239
| 관중 수 =
| 득점왕 = {{국기그림|브라질}} [[히카르두 올리베이라]]<br />(6골)
| 최고 선수 = [[N/A]]
| 갱신일 = 2012년 5월 7일
| 이전 시즌 = [[AFC 챔피언스 리그 2011|2011]]
| 다음 시즌 = [[AFC 챔피언스 리그 2013|2013]]
}}
'''AFC 챔피언스 리그 2012'''는 31번째로 치루어진 [[AFC 챔피언스 리그]] 대회다. 2012년 2월 10일 조별 예선 참가 플레이오프부터 시작하여 11월 10일 결승전을 치를 예정이다. 우승 팀은 [[FIFA 클럽 월드컵 2012]]에 진출한다.
== 국가별 배정 ==
=== 참가 국가 ===
{{col-begin}}
{{col-3}}
'''동아시아'''
* 참가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국기그림|중국}} [[중국]]. {{국기그림|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국기그림|일본}} [[일본]],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 참가 희망 : {{국기그림|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국기그림|미얀마}} [[미얀마]], {{국기그림|태국}} [[태국]]
* 참가 불가 : {{국기그림|싱가포르}} [[싱가포르]]
* 불참 : {{국기그림|베트남}} [[베트남]]
{{col-3}}
'''서아시아'''
* 참가 : {{국기그림|이란}} [[이란]], {{국기그림|카타르}} [[카타르]], {{국기그림|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왕국]], {{국기그림|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UAE]], {{국기그림|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 참가 희망 : {{국기그림|인도}} [[인도]], {{국기그림|이라크}} [[이라크]], {{국기그림|요르단}} [[요르단]], {{국기그림|오만}} [[오만]], {{국기그림|파키스탄}} [[파키스탄]], {{국기그림|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 {{국기그림|예멘}} [[예멘]]
{{col-end}}
: ※ 인도,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은 2010년부터 조별 예선 참가 플레이오프에 참가하고 있다.
=== 티켓 배정 ===
{| class="wikitable"
|-
! colspan="2"| 평가 기준
|-
|bgcolor=Grass| || 모든 기준 충족
|-
|bgcolor=Yellow| || 일부 기준 충족
|-
|bgcolor=Red| || 모든 기준 미달
|-
|}
{{col-begin}}
{{col-3}}
'''서아시아'''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국가 !! 클럽 !! 조별예선 직행 !! 플레이오프!! AFC 컵
|- bgcolor=Grass
| align=left|{{국기그림|카타르}} [[카타르]] || 12개 || 4개 || 0개 || 0개
|- bgcolor=Yellow
| align=left|{{국기그림|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왕국]] || 14개 || 3개 || 1개 || 0개
|- bgcolor=Yellow
| align=left|{{국기그림|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 || 12개 || 3개 || 1개 || 0개
|- bgcolor=Grass
| align=left|{{국기그림|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 14개 || 3개 || 1개 || 0개
|- bgcolor=Yellow
| align=left|{{국기그림|이란}} [[이란]] || 18개 || 2개 || 2개 || 0개
|-
! colspan="2"|전체 || 14개 || 5개 || 0개
|-
|}
{{col-3}}
'''동아시아'''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국가 !! 클럽 !! 조별예선 직행 !! 플레이오프!! AFC 컵
|- bgcolor=Grass
| align=left|{{국기그림|일본}} [[일본]] || 18개 || 4개 || 0개 || 0개
|- bgcolor=Yellow
| align=left|{{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 15개/16개 || 3개 || 1개 || 0개
|- bgcolor=Yellow
| align=left|{{국기그림|중국}} [[중국]] || 16개 || 3개 || 1개 || 0개
|- bgcolor=Grass
| align=left|{{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 9개/10개 || 2개 || 1개 || 0개
|- bgcolor=Yellow
| align=left|{{국기그림|태국}} [[태국]] || 18개 || 1개 || 1개 || 0개
|- bgcolor=Red
| align=left|{{국기그림|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 24개 || 0개 || 1개 || 1개
|-
! colspan="2"|전체 || 14개 || 5개 || 0개
|-
|}
{{col-end}}
* 우즈베키스탄 클럽 중 하나는 동아시아 권역에서 경기를 치른다.
* [[K리그]] 클럽 [[상주 상무 피닉스]]는 군 팀으로, 프로 계약이 되어 있지 않은 선수들이 뛰기 때문에 대회에 참가할 수 없다.
* 2010/11시즌의 결과로 이듬해 ACL 참가 팀이 결정되는 [[A-리그]] 특성 상, [[AFC 챔피언스 리그 2011]]이 진행되는 동안 [[노스 퀸즐랜드 퓨리]]가 해체되었기 때문에 AFC는 팀 개수를 10개로 평가했다. 거기에 [[웰링턴 피닉스]]는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의 일원인 [[뉴질랜드]] 국적 클럽이므로 ACL에 참여할 수 없다.
* 인도네시아에는 2개의 최상위 리그가 운영되고 있다. 하나는 [[인도네시아 축구 협회]]에서 직접 운영하는 [[인도네시아 프리미어 리그]](13개 팀)이며, 다른 하나는 [[인도네시아 슈퍼 리그]](15개 팀)이다.
* 원래 [[중국 슈퍼 리그]] 2011시즌 3위로 플레이오프에 참가하기로 했던 [[랴오닝 훙윈]]이 조별 예선 추첨 이전에 기권하면서, 9개 클럽이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었다.
== 클럽 목록 ==
이번 챔피언스 리그 대회에서는 예선 9개 팀(서아시아 5-동아시아 4)과 함께 조별예선 직행 28개 팀(서아시아 14-동아시아14)이 참가하게 된다.
{{col-begin}}
{{col-3}}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colspan="4"| 서아시아
|-
! colspan="4"| 조별예선 직행
|-
! 팀 !! 자격 !! ACL 참가 횟수 !! 최근 참가
|-
| align=left|{{국기그림|카타르}} [[레퀴야 SC]] || [[카타르 스타스 리그]] 10/11 우승 || 1회 || -
|-
| align=left|{{국기그림|카타르}} [[알 레이얀 스포츠 클럽|알 레이얀]] || 카타르 컵 10/11 우승<br />카타르 스타스 리그 10/11 3위 || 4회 || 2011
|-
| align=left|{{국기그림|카타르}} [[알 가라파 스포츠 클럽|알 가라파]] || 카타르 스타스 리그 10/11 준우승 || 7회 || 2011
|-
| align=left|{{국기그림|카타르}} [[알 아라비 SC (카타르)|알 아라비]] || 카타르 스타스 리그 10/11 4위 || 1회 || -
|-
| align=left|{{국기그림|사우디아라비아}} [[알 힐랄 FC]] || [[사우디 프로리그]] 10/11 우승 || 8회 || 2011
|-
| align=left|{{국기그림|사우디아라비아}} [[알 아흘리 SC (지다)|알 아흘리]] || 사우디 국왕 컵 10/11 우승 || 5회 || 2010
|-
| align=left|{{국기그림|사우디아라비아}} [[이티하드 FC|알 이히타드]] || 사우디 프로리그 10/11 준우승 || 8회 || 2011
|-
| align=left|{{국기그림|아랍에미리트}} [[알 자지라 클럽]] || UAE 프로리그 10/11 우승<br />UAE 대통령 컵 10/11 우승 || 4회 || 2011
|-
| align=left|{{국기그림|아랍에미리트}} [[바니야스 SC]] || UAE 프로리그 10/11 준우승 || 1회 || -
|-
| align=left|{{국기그림|아랍에미리트}} [[알 나스르 SC]] || UAE 프로리그 10/11 3위 || 1회 || -
|-
| align=left|{{국기그림|우즈베키스탄}} [[FC 파흐타코르 타슈켄트|파흐타코르]] || 우즈베키스탄 컵 11 우승<br />우즈벡 리그 2011 3위 || 10회 || 2011
|-
| align=left|{{국기그림|우즈베키스탄}} [[나사프 카르시]] || 우즈벡 리그 11 준우승 || 1회 || -
|-
| align=left|{{국기그림|이란}} [[세파한 에스파한 FC|세파한]] || 페르시아 걸프 컵 10/11 우승 || 8회 || 2011
|-
| align=left|{{국기그림|이란}} [[페르세폴리스 FC]] || 하즈피 컵 10/11 우승 || 4회 || 2011
|-
! colspan="4"| 플레이오프
|-
! 팀 !! 자격 !! ACL 참가 횟수 !! 최근 참가
|-
| align=left|{{국기그림|사우디 아라비아}} [[에티파크 FC|알 에티파크]] || 사우디 프로리그 10/11 3위 || 2회 || 2009
|-
| align=left|{{국기그림|아랍에미리트}} [[알 샤밥 알 아라비 클럽|알 샤밥]] || UAE 프로리그 10/11 4위 || 2회 || 2009
|-
| align=left|{{국기그림|우즈베키스탄}} [[FK 네프치 페르가나]] || 우즈벡 리그 11 4위 || 5회 || 2007
|-
| align=left|{{국기그림|이란}} [[에스테그랄 테헤란 FC|에스테그랄]] || 페르시아 걸프 컵 10/11 준우승 || 5회 || 2011
|-
| align=left|{{국기그림|이란}} [[좁 아한 이스파한 FC|좁 아한]] || 페르시아 걸프 컵 10/11 준우승 || 4회 || 2011
|-
|}
{{col-3}}
{{col-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