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번째 줄: |
23번째 줄: |
| == 역사 == | | == 역사 == |
| 인프라도 좋고 후원인도 가장 많이 끌어모을수 있는 서울특별시에 시민 축구단을 만들자는 구상은 한참전부터 있었다. 그러나 제대로 된 스폰서도 구하지 못하고, 서울시의 반응도 미적지근해 [[2002년 한일 월드컵]] 등 호재가 있었음에도 서울 시민구단 창단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던 2007년 서울 유나이티드가 우여곡절 끝에 탄생하였다. | | 인프라도 좋고 후원인도 가장 많이 끌어모을수 있는 서울특별시에 시민 축구단을 만들자는 구상은 한참전부터 있었다. 그러나 제대로 된 스폰서도 구하지 못하고, 서울시의 반응도 미적지근해 [[2002년 한일 월드컵]] 등 호재가 있었음에도 서울 시민구단 창단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던 2007년 서울 유나이티드가 우여곡절 끝에 탄생하였다. |
| + | [[파일:SEOULUNITEDUNIFORM.jpg|300픽셀|섬네일|왼쪽|서울 유나이티드가 2012년 6월부터 입고 뛰는 유니폼]] |
| + | |
| + | 2007년 시작된 K3리그에서 초대 우승을 했고 2008년에는 5위를 기록했다. 메인스폰서는 KT. 그러나 2009년부터 성적이 슬슬 떨어지기 시작하더니 2010년에는 급기야 팀 정체성이나 역사, 설립 배경을 엿바꿔 팔아먹은 듯한 구단 운영진의 병크로 인해 팬들이 항의가 폭발하기도 했다. 특히 창단 당시부터 '''서울시 유일의 시민구단'''을 표방해왔기 때문에 GS를 인정하지 않았던 서유는, 신임 감독인 [[김강남]]씨가 무려 GS vs 전북 경기에 지역 케이블 TV인 마포TV 해설자로 나와 '우리 GS 우리 선수' 드립을 치는 바람에 논란이 되기도 했다.. 김강남 감독의 발언은 한마디로 고려대 총장이 연세대가서 우리 연대 드립친격이라 보면된다. -_-; 안그래도 기존의 불만이 누적되어 있던데 기름을 부은 셈. 때문에 이러다 서유 망하는거 아니냐는 소리도 나왔지만, 2011시즌부터는 유니폼 스폰으로 서울시 해치를 달면서 서울시의 공인(?)을 받은 유일한 K3구단으로 발돋움하며 나름 전성기를 회복할 준비를 하고있다. 다만, 서울을 연고지로하는 서울시의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주로 송파구와 연고지 협약을 체결해 아쉬움을 남겼다. K3 여건을 생각하면 뭐 그럴수밖에 없을지도.. 2012년 6월부터 유니폼 가슴에 서울특별시의 상징 문구인 "희망 서울"을 달고 새로이 발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
| | | |
− | 2007년 시작된 K3리그에서 초대 우승을 했고 2008년에는 5위를 기록했다. 메인스폰서는 KT. 그러나 2009년부터 성적이 슬슬 떨어지기 시작하더니 2010년에는 급기야 팀 정체성이나 역사, 설립 배경을 엿바꿔 팔아먹은 듯한 구단 운영진의 병크로 인해 팬들이 항의가 폭발하기도 했다. 특히 창단 당시부터 '''서울시 유일의 시민구단'''을 표방해왔기 때문에 GS를 인정하지 않았던 서유는, 신임 감독인 [[김강남]]씨가 무려 GS vs 전북 경기에 지역 케이블 TV인 마포TV 해설자로 나와 '우리 GS 우리 선수' 드립을 치는 바람에 논란이 되기도 했다.. 김강남 감독의 발언은 한마디로 고려대 총장이 연세대가서 우리 연대 드립친격이라 보면된다. -_-; 안그래도 기존의 불만이 누적되어 있던데 기름을 부은 셈. 때문에 이러다 서유 망하는거 아니냐는 소리도 나왔지만, 2011시즌부터는 유니폼 스폰으로 서울시 해치를 달면서 서울시의 공인(?)을 받은 유일한 K3구단으로 발돋움하며 나름 전성기를 회복할 준비를 하고있다. 다만, 서울을 연고지로하는 서울시의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주로 송파구와 연고지 협약을 체결해 아쉬움을 남겼다. K3 여건을 생각하면 뭐 그럴수밖에 없을지도..
| |
| | | |
| 2012시즌부터는 창단원년부터 꾸준히 활동한 서울유나이티드 공식방송인 SUTV가 챌린저스리그 공식 후원사인 <Daum>의 공식 방송 콘텐츠로 허가 받아 '다음 팟 플레이어'를 통해 웹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 2012년 5월 5일(리그 7R)부터 방송을 하며 챌린저스리그 및 서울유나이티드의 홍보에 앞장서고 있다. | | 2012시즌부터는 창단원년부터 꾸준히 활동한 서울유나이티드 공식방송인 SUTV가 챌린저스리그 공식 후원사인 <Daum>의 공식 방송 콘텐츠로 허가 받아 '다음 팟 플레이어'를 통해 웹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 2012년 5월 5일(리그 7R)부터 방송을 하며 챌린저스리그 및 서울유나이티드의 홍보에 앞장서고 있다. |
40번째 줄: |
42번째 줄: |
| : 배형렬 | | : 배형렬 |
| * 코치 | | * 코치 |
− | : [[장학영]](플레잉코치), 손문수(GK 플레잉코치) | + | : 손문수(GK 플레잉코치) |
| * 트레이너 | | * 트레이너 |
| : 안진철 | | : 안진철 |
50번째 줄: |
52번째 줄: |
| ---- | | ---- |
| * DF | | * DF |
− | : 3.복준희, 4.박한빈, 5.류형렬, 9.이완, 15.장주영, 17.류재준, 24.임민규, 25.남영훈, 26.최병희, 30.신충식, 33.[[장학영]] | + | : 3.복준희, 4.박한빈, 5.류형렬, 9.이완, 15.장주영, 17.류재준, 24.임민규, 25.남영훈, 26.최병희, 30.신충식 |
| ---- | | ---- |
| * MF | | * M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