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편집 요약 없음
== K리그 외국인 선수의 간략한 역사 ==
== K리그 외국인 선수의 간략한 역사 ==
1983년 [[슈퍼리그]]의 개막시즌부터 외국인 선수 영입이 가능했던 K리그는 1983년 [[포항 제철]]에 [[호세]], [[세르지오]]가 '''K리그 1호 외국인 선수'''로 입성하면서 지금까지 K리그와 외국인 선수는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를 지속하고 있다.<ref>이전까지는 1984년 [[현대 호랑이]]에 영입된 [[랜스베르겐]]이 K리그 1호 외국인 선수로 알려져있었으나, K리그 가이드북 확인 결과 1983년 호세, 세르지오가 1호 외국인 선수들이었다. 다만 두 선수 모두 [[잉여]]로운 활약을 보이며 고국으로 돌아갔기 때문에 랜스베르겐이 더 알려진듯하다.</ref> 1980년대에는 묘한 순혈주의 전통과 국가대표 양성소에 불과했던 한국프로축구의 위치상 외국인에 대한 투자가 그다지 일어나지 않았으나, 1989년 [[유공 코끼리]]가 [[테드]]를 앞세워 K리그 우승을 차지하였고 저 유명한 [[샤리체프]]가 [[일화 천마]]를 이끌고 K리그 3연패의 위엄을 달성함에 따라 각 프로팀의 경쟁적인 외국인 선수 영입 경쟁이 벌어져 외국인 선수의 전성기가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는중.
1983년 [[슈퍼리그]]의 개막시즌부터 외국인 선수 영입이 가능했던 K리그는 1983년 [[포항 제철]]에 [[호세]], [[세르지오]]가 '''K리그 1호 외국인 선수'''로 입성하면서 지금까지 K리그와 외국인 선수는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를 지속하고 있다.<ref>이전까지는 1984년 [[현대 호랑이]]에 영입된 [[랜스베르겐]]이 K리그 1호 외국인 선수로 알려져있었으나, K리그 가이드북 확인 결과 1983년 호세, 세르지오가 1호 외국인 선수들이었다. 다만 두 선수 모두 [[잉여]]로운 활약을 보이며 고국으로 돌아갔기 때문에 랜스베르겐이 더 알려진듯하다.</ref> 1980년대에는 묘한 순혈주의 전통과 국가대표 양성소에 불과했던 한국프로축구의 위치상 외국인에 대한 투자가 그다지 일어나지 않았으나, 1989년 [[유공 코끼리]]가 [[테드]]를 앞세워 K리그 우승을 차지하였고 저 유명한 [[샤리체프]]가 [[일화 천마]]를 이끌고 K리그 3연패의 위엄을 달성함에 따라 각 프로팀의 경쟁적인 외국인 선수 영입 경쟁이 벌어져 외국인 선수의 전성기가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는 중이다.
== K리그 내에서 외국인 선수의 비중 ==
== K리그 내에서 외국인 선수의 비중 ==
한마디로 '''좋은 외국인 하나 뽑으면 그 시즌 성적은 걱정이 없다''' 는건 축구계 내 만고의 진리가 된 상황이다. 문제는 좋은 외국인 = 돈지랄 or 얻어걸리는 운빨에 달렸다는거지만.. 일례로 '''좋은 외국인 한명을 뽑으면 감독은 짤릴 걱정이 없고, 좋은 외국인 2명이 있으면 우승도 노릴 수 있으며, 3명이나 있으면 그 팀은 우승해야만 한다.''' 는 소리까지 있다.<ref>실제로도 대박 외국인 3명이 한시즌에 뛰었던 잭팟 시즌을 보낸 팀치고 그 해 리그 우승을 못거둔 팀이 K리그 30년 역사에서 단 한팀밖에 없다. 바로 2003시즌 [[마그노]], [[에드밀손]], [[보띠]]가 함께 소속돼있었던 [[전북 현대 모터스]]. 그러나 이 당시 전북 현대와 우승 경쟁상대였던 [[성남 일화 천마]]가 베스트 11 중 절반 이상이 K리그 역사를 아로새기는 레젼드로 꽉꽉 들어찬 미칠듯한 황금 스쿼드를 자랑했기에 이는 어쩔 수 없었던 것 같기도..</ref> 이처럼 외국인 선수 실력 = 팀의 성적 <del>+ 감독의 생명 연장 성공</del> 이 될 정도로 외국인 선수들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이들에게 주어지는 연봉도 기하급수적으로 뛰고 있다.
한마디로 '''좋은 외국인 하나 뽑으면 그 시즌 성적은 걱정이 없다''' 는건 축구계 내 만고의 진리가 된 상황이다. 문제는 좋은 외국인 = 돈지랄 or 얻어걸리는 운빨에 달렸다는거지만.. 일례로 '''좋은 외국인 한명을 뽑으면 감독은 짤릴 걱정이 없고, 좋은 외국인 2명이 있으면 우승도 노릴 수 있으며, 3명이나 있으면 그 팀은 우승해야만 한다.''' 는 소리까지 있다.<ref>실제로도 대박 외국인 3명이 한시즌에 뛰었던 잭팟 시즌을 보낸 팀치고 그 해 리그 우승을 못거둔 팀이 K리그 30년 역사에서 단 한팀밖에 없다. 바로 2003시즌 [[마그노]], [[에드밀손]], [[보띠]]가 함께 소속돼있었던 [[전북 현대 모터스]]. 그러나 이 당시 전북 현대와 우승 경쟁상대였던 [[성남 일화 천마]]가 베스트 11 중 절반 이상이 K리그 역사를 아로새기는 레젼드로 꽉꽉 들어찬 미칠듯한 황금 스쿼드를 자랑했기에 이는 어쩔 수 없었던 것 같기도..</ref> 이처럼 외국인 선수 실력 = 팀의 성적 <del>+ 감독의 생명 연장 성공</del> 이 될 정도로 외국인 선수들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이들에게 주어지는 연봉도 기하급수적으로 뛰고있다.
== K리그 외국인 선수들의 특징 ==
== K리그 외국인 선수들의 특징 ==
압도적인 비율로 [[브라질]] 출신들이 많다. 믿고 쓰는 브라질리언인셈.
=== 국적 ===
----
'''압도적인 비율로 [[브라질]] 출신들이 많다'''. 믿고 쓰는 브라질리언인셈. 이처럼 K리그 구단들이 브라질을 선호할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일단 전세계에서 축구 선수가 가장 많은 곳이 브라질이기 때문이고<ref>브라질 축구협회도 자기네 나라에 몇개의 축구팀과 몇명의 축구 선수가 존재하는지 모른다. 정확히 말하자면 알고싶어도 알 수가 없다.. 중국 당국이 중국 인구수를 정확히 알아낼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치. 지금 이 시간에도 브라질에서는 축구 선수와 축구 팀들이 생겨나고 있다.</ref>, 거래를 제일 오랫동안 해왔기에 정보도 다른곳에 비해서는 제법 쌓인 편이고, 듣도보도 못한 팀에서 싸구려 선수를 사와도 대박을 터뜨릴 가능성이 언제나 존재한다는 점.<ref>물론 2000년대 들어오면서 이런 로또 외국인 뽑기 확률도 많이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유효하긴하다. 2011년 4월 현재, 시즌 초반 가장 잘나가고 있는 외국인 선수의 [[대전 시티즌]]의 [[박은호]](바그너)의 경우 브라질 3부리그에서 데려온 선수다. 흠좀무.</ref> 다른 지역 출신들에 비해서는 한국 축구에 대한 적응력이 높다는점, 브라질 내에서도 한국행에 대한 선호도가 상당히 높다는 점<ref>다른게 아니라 일단 돈하나는 확실하게 주기 때문이다. 그것도 미화 달러($)로. 세계적으로도 월급 안끊어먹고 꼬박꼬박 <del>잉여일지라도</del> 넣어주는 프로팀들만 존재하는 리그는 상당히 드물며 그 중 하나가 K리그다.</ref> 등이 브라질 선호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브라질 외에는 그나마 눈에 띄는 외국인 선수 출신 지역이 동유럽인데 1990년대 동구권 붕괴와 함께 쓸만한 선수들이 해외 곳곳으로 흩어지던 시기나, 유고내전기 당시에는 동유럽 선수들이 K리그의 대세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최근 몇년간 [[안종복]] 사장의 영입 루트를 제외하고는 동유럽 선수 수급이 거의 막힌 상황이라 브라질리언 독점상황에 그다지 영향을 주고있지 못하였으나, 최근 [[싸빅]]이나 [[라데]] 등 과거 K리그에서 활약하였던 동유럽 출신 선수들이 은퇴 후 에이전트로 업종변경(?) 후 K리그에 선수를 공급하면서 K리그 외국인 선수들 중 몇몇은 항상 동유럽 출신들이 한자리를 차지하는 추세이다.
이외에 [[아시아쿼터제]]의 도입과 [[성남 일화]]의 [[사샤]]가 대활약하면서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의 선수영입도 빠르게 증가하는 중이다. 이외에 [[우즈베키스탄]], [[중국]], [[일본]] 등지에서도 선수 영입이 드문드문 벌어지는 형국.
수비의 경우에는 보통 [[크로아티아]] 등 동구권 선수들이 압도적으로 많았지만, 2009시즌 [[아시안 쿼터]]의 시행에 따라 한국에 오게 된 [[제이드]](前 [[인천 유나이티드]]), [[사샤]]([[성남 일화 천마]])를 시작으로 [[오스트레일리아]] 국적 선수들의 러시가 이어지고 있다. 사샤가 리그와 [[아시아]]에서 큰 성공을 거두면서 다른 팀들도 오스트레일리아 선수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으며, [[루크2|루크]]나 [[코니]] 등 [[현대 A-리그]] 강팀의 주전급 선수들이 한국으로 이적하는 모양새이며 2012시즌을 앞두고는 A-리그의 대표적인 대형 공격수 [[맷 사이먼]]이나 [[AEK 아테네]]에서 뛰던 유망주 [[네이선 번즈]]가 이적해 오는 등 포지션도 다변화하는 추세다.
=== 포지션 ===
----
외국인 선수 포지션의 경우, 공격수 비율이 압도적이다. 특히 공격수는 열에 아홉이 브라질 출신을 뽑아오기 때문에, K리그의 전체 등록 외국인 선수중 열에 여덟은 브라질리언 공격수이다. 수비의 경우에는 과거 [[크로아티아]] 등 동구권 선수들이 압도적으로 많았지만, 2009시즌 [[아시안 쿼터]]의 시행에 따라 한국에 오게 된 [[제이드]](前 [[인천 유나이티드]]), [[사샤]]([[성남 일화 천마]])를 시작으로 [[오스트레일리아]] 국적 선수들의 러시가 이어지고 있다. 사샤가 리그와 [[아시아]]에서 큰 성공을 거두면서 다른 팀들도 오스트레일리아 선수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으며, [[루크2|루크]]나 [[코니]] 등 [[현대 A-리그]] 강팀의 주전급 선수들이 한국으로 이적하는 모양새이며 2012시즌을 앞두고는 A-리그의 대표적인 대형 공격수 [[맷 사이먼]]이나 [[AEK 아테네]]에서 뛰던 유망주 [[네이선 번즈]]가 이적해 오는 등 포지션도 다변화하는 추세다.
== K리그 외국인 선수 영입 방식 ==
== K리그 외국인 선수 영입 방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