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편집 요약 없음
| 이전이름 = 서울울림픽주경기장
| 이전이름 = 서울울림픽주경기장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25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25
| 기공 = [[1977년]] 12월 20일
| 기공 = [[1977년]] 11월 28일
| 건설기간 = 6년 9개월
| 건설기간 = 6년 10개월
| 개장 = [[1984년]] 9월 29일
| 개장 = [[1984년]] 9월 29일
| 보수 =
| 보수 =
== 역사 ==
== 역사 ==
1970년대 초 이루어진 잠실지역 개발사업에서 잠실서안을 장차 아시안게임과 올림픽 개최를 위한 스포츠 종합단지로 개발한다는 도시설계가 진행되었다. 이에 서울 스포츠 종합단지(가칭) 설계공모가 이루어졌는데, 설계는 김현옥 전 서울시장과의 인연으로 많은 서울 도시개발 사업에 건축설계를 담당하였던 김수근 씨가 맡게되었다. 1977년 12월 기공식을 거행하고 잠실주경기장 건설이 시작되어, 건설기간은 총 6년 9개월로 1984년 개장되었다. 이후 1986년 서울 아시안게임, 1988년 서울 올림픽의 메인 스타디움으로 역사에 이름을 올리게되었다. 한국 축구의 경우, 1984년 개장 이후, 이전까지 [[동대문 운동장]]에서 진행되던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A매치가 잠실 주경기장에서 치루어지게 되었으며 [[코리아컵]], [[K리그 올스타전]] 등도 잠실 주경기장에서 이루어졌다. 잠실 주경기장의 축구 관련 역할은 [[서울월드컵경기장]]이 개장되면서 거의 사라지게 되었고, 현재는 육상경기나 [[연고전]] (고연전), 대형 콘서트 등에서 가끔 이용되고 있다.
1970년대 초 이루어진 잠실지역 개발사업에서 잠실서안을 장차 아시안게임과 올림픽 개최를 위한 스포츠 종합단지로 개발한다는 도시설계가 진행되었다. 이에 서울 스포츠 종합단지(가칭) 설계공모가 이루어졌는데, 설계는 김현옥 전 서울시장과의 인연으로 많은 서울 도시개발 사업에 건축설계를 담당하였던 김수근 씨가 맡게되었다. 1977년 12월 기공식을 거행하고 잠실주경기장 건설이 시작되어, 건설기간은 총 6년 10개월로 1984년 개장되었다. 이후 1986년 서울 아시안게임, 1988년 서울 올림픽의 메인 스타디움으로 역사에 이름을 올리게되었다. 한국 축구의 경우, 1984년 개장 이후, 이전까지 [[동대문 운동장]]에서 진행되던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A매치가 잠실 주경기장에서 치루어지게 되었으며 [[코리아컵]], [[K리그 올스타전]] 등도 잠실 주경기장에서 이루어졌다. 잠실 주경기장의 축구 관련 역할은 [[서울월드컵경기장]]이 개장되면서 거의 사라지게 되었고, 현재는 육상경기나 [[연고전]] (고연전), 대형 콘서트 등에서 가끔 이용되고 있다.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