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3,010 바이트 추가됨 ,  2014년 5월 10일 (토) 10:25
잔글
편집 요약 없음
[[File:구덕운동장.JPG|300픽셀|섬네일|2005년 아챔 4강전 당시 구덕운동장]]
'''구덕종합운동장'''(九德綜合運動場)은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에 위치한 [[종합운동장]]이다. '''구덕운동장'''이라고도 불리운다. 좌석수는 24363석이며 최대 3만 5천명 수용가능하다. 1928년 건축 당시의 명칭은 '''부산공설운동장'''이었으며, [[1982년]] 사직동에 운동장이 건설되기 시작하면서 지금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2001년 이전에는 [[부산 대우 로얄즈]] 및 [[부산 아이콘스]]의 홈구장이었으며, 현재 [[부산교통공사]]의 홈구장이기도 하다.




== 역사 ==
1928년 개축하여, 1973년 리모델링 후 오늘에 이르고 있다.1988년 서울 올림픽의 주요 종목 예선 경기와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예선 경기가 벌어지기도 했었다. 1983년부터 2001년까지 [[K리그]] [[부산 대우 로얄즈]]와 [[부산 아이콘스]]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2006년부터는 [[내셔널리그]]의 [[부산 교통공사]]의 홈구장으로 현재까지 사용중이다. 노후화 정도가 심해, 2009년 정밀안전검사에서 안전등급 C급 판정을 받은 후, 부산시는 철거 내지 리모델링을 검토하고 있다.


== 교통편 ==
부산 지하철 1호선 동대신동역에서 하차하여 3번출구로 나와 도보로 5분거리에 위치해있다. (출구로 나와 길을 따라 조금만 올라가면 구덕운동장이다.)


== 에피소드 ==
* 구덕 운동장 모습은, [[성남 제1 종합운동장]](모란 경기장)과 영락없이 판박이로 생겼는데 이는 197,80년대 [[동대문 운동장]]을 본따, 집중적으로 주요 도시마다 공설 운동장을 만들어댄 결과였다. 성남 운동장 뿐만 아니라, 순천의 팔마 운동장을 비롯, 대부분의 80년대 건설된 공설 운동장 구조는 구덕 운동장하고 거의 비슷하게 생겼다.

* [[부산 대우 로얄즈]]가 잘나가던 98년과 99년에는 주말 경기마다 2만 5천명을 훨씬 초과하는 관중이 구덕 운동장에 한꺼번에 몰려 북새통을 이뤘고, 경기장 부대시설 (화장실, 매점등)을 이용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었다. 거기다 경기장 앞 주차장이 워낙 작아, 으레 경기 시작전후로 일대 교통이 마비되기 일쑤였다.

* [[부산 아이파크]]는 [[부산 아시아드 경기장]]에서 가끔 부산시 관련 행사가 있을때마다, 구덕 운동장에서 홈경기를 개최한바 있는데, 개최할때마다 홈경기를 패하며, 속칭 구덕 징크스를 갖고있다. (2005년 [[AFC 챔피언스리그]] 4강전에서 [[알 이티하드]]와의 1차전 대패 이후 생긴 징크스인듯.)


== 같이 보기 ==
* [[부산 아시아드 경기장]]

* [[국내구장]]


== 참고 ==
<references/>

[[분류:K리그 경기장]][[분류:내셔널리그 경기장]][[분류:부산]]

편집

4,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