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96 바이트 추가됨
, 2014년 12월 29일 (월) 15:34
잔글[[File:최태욱.jpg|180픽셀|섬네일|국가대표 시절의 최태욱]]
'''최태욱'''(1981년 3월 13일~)는 [[대한민국]] 출신의 축구선수로 2000년부터 2014년까지 [[K리그]]에서 활동한 미드필더 겸 공격수이다.
== 프로필 ==
{{col-begin}}
{{col-3}}
* 이름 : '''최태욱'''
* [[K-리그 등록명|등록명]] : 최태욱
* 출생일 : 1981년 3월 13일
* 신체 : 173cm / 65kg
* 포지션 : [[윙 포워드]], [[스트라이커]]
* 유스클럽 : [[부평고등학교]] 졸업
* 국가대표 경력
: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대표
: [[2002년 FIFA 한일 월드컵]] 대표
: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 대표
: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대표
: 2000 ~ 2008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국가대표]]
: '''(통산 [[A매치]] 30경기 출장 4골)'''
* 현 소속팀 : 선수 생활 은퇴
* [[등번호]] :
{{col-3}}
* K리그 기록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style="background:#C0C0C0"
!소속팀 !! 리그 !! 연도 !! 출장 !! 교체 !! 득점 !! 도움 !! 경고 !! 퇴장
|-
|rowspan=4| [[안양 LG 치타스]] ||rowspan=10|K리그|| 2000 ||16||16|| 1||3 ||0 ||0
|-
| 2001 ||31||9|| 0||3 ||3 ||0
|-
|2002 ||22||13|| 2||1 ||0 ||0
|-
| 2003 ||36||17|| 3||5 ||2 ||0
|-
| [[인천 유나이티드]] || 2004 ||23 ||11 || 5||3 ||1 ||0
|-
| rowspan=2|[[포항 스틸러스]] || 2006 ||25||19||2||2 ||0 ||0
|-
| 2007 ||19||11||1||1 ||0 ||0
|-
|rowspan=3| [[전북 현대 모터스]] || 2008 ||26||20||4||3 ||1 ||0
|-
| 2009 ||32||16||9||12 ||1 ||0
|-
| 2010 ||15||10||2||6||0 ||0
|-
|rowspan=4| [[FC GS]] ||rowspan=4| ||2010 ||16||10|| 6||2 ||0 ||0
|-
| 2011 ||13||13||0||3||0 ||0
|-
| 2012 ||28||29||2||7||0 ||0
|-
| 2013 ||10||11||0||0||0 ||0
|-
| [[울산 현대]] || 클래식|| 2014 ||1||1|| 0||0 ||0 ||0
|-
! 통산([[K리그]]) ||클래식|| - ||313||206|| 37||50||8 ||0
|}
:[[K리그]] 통산기록은 [[리그컵]]기록 포함. 2014년 6월 1일 기준.
{{col-end}}
== 유소년 생활 ==
인천 [[부평고등학교]] 시절인 1999년, [[박용호]], [[이천수]] 선수와 함께 '''부평고 트리오'''로 불리었다. 당대 부평고 트리오의 위상은 전국고교무대를 일찌감치 평정하고 탈고교급으로 평가받았는데, 이게 어느정도였냐면 부평고 트리오를 [[고려대학교]]로 스카우트하기위해 고려대 1,2학년 축구부 선수들이 부평고와 친선매치를 치룰 지경이었다. 선수 스카우트를 위해 고교졸업 선수를 대학교로 불러서 연습경기를 하는것은 더러있어도, 고교선수를 스카우트 하기위해 대학 선수들이 고등학교를 찾아간 사례는 이때가 처음이자 마지막이다.
== 프로 생활 ==
고려대학교의 뜨거운 구애(?)에도 불구하고 부평고 트리오 중 최태욱과 [[박용호]] 선수는 [[안양 LG 치타스]]에 입단해 고졸 프로선수의 길을 택했다. 입단 조건은 계약금 2억, 연봉 2천만원에 4년계약이었다.
이후 2004년, [[인천 유나이티드]]가 창단되면서 지역 출신인 최 선수의 영입을 시도, 11억이라는 거액의 이적료로 인천의 창단 멤버가 되었다.
2005년 J리그 [[시미즈 S펄스]]에서 뛴 후 2006년 포항에 입단하였지만, 당시 [[3-4-1-2]] 포지션을 사용하던 포항에서는 최태욱 선수에게 맞는 자리가 없었다. 원치 않는 포지션이었던 윙백 역할을 요구받으면서 점점 위상이 추락했고, 07년 [[플레이오프]]에서는 벤치에도 거의 앉지 못했다. 07시즌이 끝난 후, 2:2 트레이드로 [[전북 현대 모터스]]로 이적하게 된다.
* '''[[김성근]] + 최태욱 ([[포항 스틸러스]]) ↔ [[권집]] + [[김정겸]] ([[전북 현대 모터스]])'''
이후 2014시즌을 앞두고 울산 현대의 [[김동석]] 선수와 1:1 트레이드 되며 울산 유니폼을 입게 되었다.
* '''최태욱 (FC GS) ↔ 김동석 (울산 현대)'''
울산 입단 후 ACL 2경기와 리그 1경기를 소화한 최선수는, 2014년 3월 훈련 도중 오른쪽 무릎 연골 손상으로 시즌 아웃 판정을 받았고 이후 적지 않은 나이를 고려해 2014년 5월 15일 선수 생활 은퇴를 선언하였다. 이후로는 울산 현대 유소년 스카우터로 활동한다고 한다.
== 국가대표 생활 ==
[[올림픽대표]]는 [[2000년 시드니 올림픽]]과 [[2004년 아테네 올림픽]], 2차례 연속 본선 멤버에 뽑혔던 선수로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대표팀 예비 엔트리 구성 당시에는 고교생 출신으로 쟁쟁한 후보들을 제치고 활약해 주변을 깜짝놀라게 하기도 하였다. 이후, 2000년 4월 7일, [[아시안컵]] 예선전 對 몽골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경기를 출장하며 [[A매치]] 데뷔전을 치루었으며, [[2002년 FIFA 월드컵]]에 최종 엔트리에 포함되어 [[터키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3.4위전 후반전에 교체투입으로 출장하며 월드컵 4강 공헌을 인정받아 병역 면제 혜택을 받았다. 이후 한동안 국가대표와 연을 잇지 못하다가 2005년 [[동아시아 축구대회]]에서 잠시 활약하였으며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예선 당시에도 잠시 발탁되었으나 최종 엔트리에는 들지 못했다. 2008년 9월, 3년여만에 대표팀에 복귀하기도 하는등, 국가대표에 간간히 뽑히는 중이다.
== 플레이 스타일 ==
== 에피소드 ==
* 2000년대 초반, 한창 이름 날리던 시절에는 한국축구의 초특급 유망주로 [[이천수]]와 함께 많은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2002년 이후 성장세가 둔화된걸 보면 월드컵 대표 발탁 이후 내리막길을 걷고 있는 [[백지훈]], [[이승렬]] 등의 선배격(?)이라 할만할듯. <del>셋다 모팀 출신이지만 일단 넘어가자</del> 하지만 앞서 두 선수와 달리 최태욱 선수는 K리그에서 나름의 족적을 남기며 활약하였으니 아쉬움은 덜한 편이다.
* 2012년 2월 자신의 트위터에 승부조작을 한 [[최성국]]을 두둔하는 트위터를 올려 축구팬들에게 비판받은바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인용문2| '''최성국 화이팅이다. 한번이라도 죄를 짓지않거나 거짓말하지 않았다면 성국이를 비판해도 좋다! 그렇지 않은 사람이라면 한 아내의 남편. 세 아이의 아빠인 성국이를 비판하지말자. 누구나 실수를 할수있다. 나도 그 상황이였다면 실수하지 않았다고 장담 못한다.'''}}
최태욱은 비난의 여론이 거세지자 트윗을 삭제하고 사과글을 올렸다. 축구선수 동료로써 최성국이 매우 안타까워 축구팬들의 마음을 헤아리지 못했다고 하는데... 아직도 비난 여론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ref> 물론 동료로써 안타까운 마음이 드는 건 있겠지만, 그런건 개인적으로 이야기를 할 일이지, 공개된 공간에서 대중을 기만한 축구선수를 옹호했던것은 명백히 잘못된 것이다. 오죽하면 [[서호정]] 기자가 '''힘 내란 말은 트위터 말고 카톡에서 하세요.'''라고 했겠는가.. 이 사건을 계기로 얼마나 K리그 선수들의 프로의식과 팬들에 대한 책임감이 바닥인지 드러났으며, 트위터가 과연 공적인 공간인지도 곱씹어볼 계기를 마련했다. 하지만 네티즌들은 그냥 최태욱과 [[양준아]]를 욕하기에만 급급한듯. </ref>
== 경력 ==
* 2000 ~ 2003.12 : [[안양 LG 치타스]] / K리그
* 2004 ~ 2004.12 : [[인천 유나이티드]] / K리그
* 2005 ~ 2006.1 : [[시미즈 S펄스]] / J리그
* 2006 ~ 2007 : [[포항 스틸러스]] / K리그
* 2008 ~ 2010.7 : [[전북 현대 모터스]] / K리그
* 2010.7 ~ 2013 : [[FC GS]]
* 2014.1 ~ 2014.5 : 울산 현대 / K리그 클래식
== 같이 보기 ==
== 외부 링크 ==
== 참고 ==
<references/>
[[분류:1981년생]][[분류:부평고등학교의 선수]][[분류:2000년 드래프트 지명자]][[분류:안양 LG 치타스의 선수]][[분류:인천 유나이티드의 선수]][[분류:해외진출 선수]][[분류:포항 스틸러스의 선수]][[분류:전북 현대 모터스의 선수]][[분류:울산 현대의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