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7번째 줄:
7번째 줄:
− +
편집 요약 없음
== 동래고등학교 축구부 ==
== 동래고등학교 축구부 ==
1912년 창단되어 10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축구부이다. 광복 이전인 1930년에는 서일본 축구대회에 참가해 우승한 기록도 있을 정도고, 광복 후에는 [[1948년 런던 올림픽대표]] 출신인 [[안종수]] 씨가 감독으로 부임해 [[김호]], [[박영태]], [[임태주]], [[강병찬]] 등을 육성해냈다. 1960년대에는 [[김호]]를 배출하고, 1970년대에는 [[김호곤]], 1980년대에는 [[박성화]], [[정용환]]을 배출해낸 국가대표 수비수 전문 양성소로도 유명하다. 100여년의 축구부 역사 동안 국가대표 선수만 60여명을 배출해냈고, 청소년대표 출신까지 도합하면 100명을 넘어가는 화려한 기록을 자랑한다. 아예 이 학교의 교기(校技)가 축구다. ㄷㄷ.. 2013년에는 강대민(경성대 교수) 동래고 총동창회장이 "동래고축구부100년사"라는 책까지 발간했을 정도니 이 학교의 축구 사랑은 정말 어마어마한 셈. 이런 동래고의 축구사랑은 인프라 확충에도 영향을 주어 2007년 인조 잔디 구장을 개장하였고, 2008년 준공한 4층 규모의 기숙사 "우정학사"를 완공한 직후부터, 동래고 축구부가 이 곳을 숙소를 사용하고 있을 정도다.
1912년 창단되어 10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축구부이다. 광복 이전인 1930년에는 서일본 축구대회에 참가해 우승한 기록도 있을 정도고, 광복 후에는 [[1948년 런던 올림픽대표]] 출신인 [[안종수]] 씨가 감독으로 부임해 [[김호]], [[박영태]], [[임태주]], [[강병찬]] 등을 육성해냈다. 1960년대에는 [[김호]]를 배출하고, 1970년대에는 [[김호곤]], 1980년대에는 [[박성화]], [[정용환]]을 배출해낸 국가대표 수비수 전문 양성소로도 유명하다. 100여년의 축구부 역사 동안 국가대표 선수만 60여명을 배출해냈고, 청소년대표 출신까지 도합하면 100명을 넘어가는 화려한 기록을 자랑한다. 아예 이 학교의 교기(校技)가 축구다. ㄷㄷ.. 2013년에는 강대민(경성대 교수) 동래고 총동창회장이 "동래고축구부100년사"라는 책까지 발간했을 정도니 이 학교의 축구 사랑은 정말 어마어마한 셈. 이런 동래고의 축구사랑은 인프라 확충에도 영향을 주어 2007년 인조 잔디 구장을 개장하였고, 2008년 준공한 4층 규모의 기숙사 "우정학사"를 완공한 직후부터, 동래고 축구부가 이 곳을 숙소를 사용하고 있을 정도다.추가로 2015년 인조 잔디 구장을 재시공하여 공사를 완료함
이런 동래고 축구부가 [[부산 아이파크]] 산하 U-18 유소년팀으로 재편성된 것은 2008년의 일이며, 이후 [[고교클럽 챌린지리그]]를 비롯해 각급 대회에 참가중이었다. 그런데 '''2011년 가을, 부산 아이파크와의 협력관계가 해지되었다.''' 즉, 더이상 동래고등학교는 부산 아이파크 U-18 팀이 아니며, 현재 부산 아이파크의 새로운 U-18 팀은 [[개성고등학교]] (구 부산상고) 축구부와 협력관계를 맺은 상태이다. 이에 따라 동래고는 다시 학원 축구로 돌아가게 되었다.
이런 동래고 축구부가 [[부산 아이파크]] 산하 U-18 유소년팀으로 재편성된 것은 2008년의 일이며, 이후 [[고교클럽 챌린지리그]]를 비롯해 각급 대회에 참가중이었다. 그런데 '''2011년 가을, 부산 아이파크와의 협력관계가 해지되었다.''' 즉, 더이상 동래고등학교는 부산 아이파크 U-18 팀이 아니며, 현재 부산 아이파크의 새로운 U-18 팀은 [[개성고등학교]] (구 부산상고) 축구부와 협력관계를 맺은 상태이다. 이에 따라 동래고는 다시 학원 축구로 돌아가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