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221 바이트 추가됨 ,  2015년 5월 21일 (목) 23:04
75번째 줄: 75번째 줄:  
1년 간 각 구단의 입단테스트를 받던 김이섭은 [[서동명]]의 이적, [[이광석]]의 [[상무]] 입대로 골키퍼 자원이 [[이용발]] 1명만 남은 [[전북 현대 모터스]]와 2002년 6월 입단계약을 맺었지만, 이용발에게 밀려 벤치만 달구다가 2003년 말에 FA 매물로 나왔고, 이를 [[인천 유나이티드]]가 재빨리 영입하면서 인천에 입단하게된다. 인천에서는 [[권찬수]] 선수와 나란히 1,2선발을 나누어 활약하다 2005년 1선발의 자리를 굳히게 되는데 당시 0점대 방어율을 선보이며 인천을 [[K리그]] 통합 1위의 자리에 올리며 화제의 중심이 되었다. 덕분에 당시 [[아드보카트]]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 예비엔트리에도 이름을 올렸으나 K리그 결승전 對 [[울산 현대]]와의 일전에서 5실점하며 국대 발탁이 좌절된 바 있다.<ref>하필, 5실점하는 경기를 아드보카트가 직접 관전하고 있었던 것.</ref>  
 
1년 간 각 구단의 입단테스트를 받던 김이섭은 [[서동명]]의 이적, [[이광석]]의 [[상무]] 입대로 골키퍼 자원이 [[이용발]] 1명만 남은 [[전북 현대 모터스]]와 2002년 6월 입단계약을 맺었지만, 이용발에게 밀려 벤치만 달구다가 2003년 말에 FA 매물로 나왔고, 이를 [[인천 유나이티드]]가 재빨리 영입하면서 인천에 입단하게된다. 인천에서는 [[권찬수]] 선수와 나란히 1,2선발을 나누어 활약하다 2005년 1선발의 자리를 굳히게 되는데 당시 0점대 방어율을 선보이며 인천을 [[K리그]] 통합 1위의 자리에 올리며 화제의 중심이 되었다. 덕분에 당시 [[아드보카트]]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 예비엔트리에도 이름을 올렸으나 K리그 결승전 對 [[울산 현대]]와의 일전에서 5실점하며 국대 발탁이 좌절된 바 있다.<ref>하필, 5실점하는 경기를 아드보카트가 직접 관전하고 있었던 것.</ref>  
   −
이후 꾸준히 [[인천 유나이티드]]의 골문을 지키면서 매 해 1점대 초반 ~ 0점대 방어율을 보여주고 있는 김이섭 선수는 2010년 초반 [[송유걸]]과의 주전경쟁에서 밀려나는 듯 했으나 [[허정무]]감독의 부임 이후 제법 기용되었다. 그러나 후반기 인천의 실점율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김이섭 선수는 12경기 출장 25실점. 경기당 실점율이 2.0을 초과하는 상태로 시즌을 마쳤고, 결국 2010시즌 종료 후 은퇴하고 말았다. 대건고 코치로서 제2의 생활을 시작하게 된 듯. 그리고 2011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임중용]] 선수와 함께 정식으로 은퇴식을 가졌다. [[임중용]]은 선수 명단에 등록되어 있어서 선수로서 마지막 경기를 치르고 은퇴하였지만, [[김이섭]]은 명단에 등록되어 있지 않아 양복 차림으로 은퇴한 점이 조금 아쉬운 부분.
+
이후 꾸준히 [[인천 유나이티드]]의 골문을 지키면서 매 해 1점대 초반 ~ 0점대 방어율을 보여주고 있는 김이섭 선수는 2010년 초반 [[송유걸]]과의 주전경쟁에서 밀려나는 듯 했으나 [[허정무]]감독의 부임 이후 제법 기용되었다. 그러나 후반기 인천의 실점율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김이섭 선수는 12경기 출장 25실점. 경기당 실점율이 2.0을 초과하는 상태로 시즌을 마쳤고, 결국 2010시즌 종료 후 은퇴하고 말았다. 그러다 다음해 [[윤기원]] 선수의 사망 이후 복귀가 검토되어 [[R리그]]를 치루며 준비를 했었지만 [[권정혁]] 선수의 입단으로 결론이 나면서 현역복귀가 무산된다. 이후 대건고 코치로서 제2의 생활을 시작하게 된다. 그리고 2011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임중용]] 선수와 함께 정식으로 은퇴식을 가졌다. [[임중용]]은 선수 명단에 등록되어 있어서 선수로서 마지막 경기를 치르고 은퇴하였지만, [[김이섭]]은 명단에 등록되어 있지 않아 양복 차림으로 은퇴한 점이 조금 아쉬운 부분.
 
      
== 은퇴 이후 ==
 
== 은퇴 이후 ==
rollbacks, 관리자

편집

9,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