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리그'''는 [[K리그]] 2군팀들끼리의 리저브 리그를 말한다. 과거에는 '''2군 리그'''로 불렸으나 2009년부터''' R-리그'''가 정식명칭이 되었으며
'''R리그'''는 [[K리그]] 2군팀들끼리의 리저브 리그를 말한다. 과거에는 '''2군 리그'''로 불렸으나 2009년부터''' R-리그'''가 정식명칭이 되었으며
2010년도부터 '''R리그'''로 공식표기법이 변경되었다.
2010년도부터 '''R리그'''로 공식표기법이 변경되었다.
+
16번째 줄:
17번째 줄:
−
=== 현재 ===
+
=== 2010년대 ===
−
2010년에는 [[강원 FC|강원]]이 처음으로 R리그에 참여하고 [[SK Utd]]가 다시 복귀하여 사상 처음으로 K리그 15개팀의 2군이 전부 참여하게 되었다. 총 16개 팀이 참가. 2010년 R리그는 따로 결승전을 통해 우승팀을 가리지않고 A조, B조 1위를 공동 우승으로 하였고 MVP는 따로 뽑지않았다. 이는 2011년에도 마찬가지. 그러나 2012년부터 [[승강제]] 준비를 위하여 R리그를 의무참가에서 참가여부 자진 결정으로 바뀌었다. 이 때문에 많은 팀들이 R리그 불참을 하지않을까 생각했지만, 대학축구계와 학부모의 반발 때문인지 [[전북 현대]], [[전남 드래곤즈]], [[SK 유나이티드]], [[대전 시티즌]], [[대구 FC]] 총 5팀을 제외한 나머지 프로팀과 + [[경찰청 축구단]]이 합세해 총 12팀이 R리그 2012를 소화하게 되었다.R리그는 2013년을 끝으로 승강제 신설로 인한 2부 팀창단으로 인한 인원충당문제, 구단 운영을 위한 선수단 인원 축소로 인해 폐지되었다.
+
==== 2010년대 초반 ====
+
2010년에는 [[강원 FC|강원]]이 처음으로 R리그에 참여하고 [[SK 유나이티드]]가 다시 복귀하여 사상 처음으로 K리그 15개팀의 2군이 전부 참여하게 되었다. 총 16개 팀이 참가. 2010년 R리그는 따로 결승전을 통해 우승팀을 가리지않고 A조, B조 1위를 공동 우승으로 하였고 MVP는 따로 뽑지않았다. 이는 2011년에도 마찬가지. 그러나 2012년부터 [[승강제]] 준비를 위하여 R리그를 의무참가에서 참가여부 자진 결정으로 바뀌었다. 이 때문에 많은 팀들이 R리그 불참을 하지않을까 생각했지만, 대학축구계와 학부모의 반발 때문인지 [[전북 현대]], [[전남 드래곤즈]], [[SK 유나이티드]], [[대전 시티즌]], [[대구 FC]] 총 5팀을 제외한 나머지 프로팀과 + [[경찰청 축구단]]이 합세해 총 12팀이 R리그 2012를 소화하게 되었다. R리그는 2013년을 끝으로 승강제 신설로 인한 2부 팀창단으로 인한 인원충당문제, 구단 운영을 위한 선수단 인원 축소로 인해 폐지되었다.
+
+
=== 2010년대 중반 ===
+
2012년 9월 [[23세 이하 선수 의무 등록 및 출전 규정]]이 R리그 폐지의 대안으로 신설되었으나, 2014년 12월 본격적인 시작을 앞두고 [[한국축구인노동조합]]을 필두로 한 학원축구계의 반발로 인해 2015년 제1차 이사회 및 정기총회에서 제도 시행을 포기하고 R리그의 부활을 의결했다. 다시 운영되는 R리그는 2016년부터 구단 별 자율참가를 원칙으로 운영되며, 참가 클럽이 적을 경우 운영을 재검토하기로 했다.<ref>[http://kleague.com/kr/sub.asp?avan=1005010000&bs_code=news0&NEWSMode=view&intseq=11415& 2015년 제 1차 이사회 및 총회 결과]</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