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73 바이트 추가됨 ,  2015년 9월 5일 (토) 23:49
15번째 줄: 15번째 줄:  
1970년, 당시 [[대한축구협회]] 회장이었던 [[장덕진]] 씨가 제 6회 [[아시안게임]] 축구 금메달 축하연에서 '''아시아규모의 국제축구대회를 한국에서 해마다 개최하겠다'''고 천명하면서 번갯불에 콩구워먹듯 구상된 것이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의 시작이었다. 장덕진 씨는 당시 재무부차관보라는 지위와 더불어 육영수 여사의 가까운 친인척이라는 인맥을 동원해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개최를 추진하였으며, 박 대통령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전용 우승컵을 하사(?)하면서 직간접적으로 대회 개최에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1971년 대회부터 1975년 대회까지는 아시아 국가에 한정된 대회였으나 1975년 방한한 당시 [[FIFA]] 회장인 [[주앙 아벨란제]]의 주선으로 브라질 주리그 대표들도 방한하여 동대회에 참가함에 따라 국제 규모(?)의 축구대회로 발전하였다.
 
1970년, 당시 [[대한축구협회]] 회장이었던 [[장덕진]] 씨가 제 6회 [[아시안게임]] 축구 금메달 축하연에서 '''아시아규모의 국제축구대회를 한국에서 해마다 개최하겠다'''고 천명하면서 번갯불에 콩구워먹듯 구상된 것이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의 시작이었다. 장덕진 씨는 당시 재무부차관보라는 지위와 더불어 육영수 여사의 가까운 친인척이라는 인맥을 동원해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개최를 추진하였으며, 박 대통령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전용 우승컵을 하사(?)하면서 직간접적으로 대회 개최에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1971년 대회부터 1975년 대회까지는 아시아 국가에 한정된 대회였으나 1975년 방한한 당시 [[FIFA]] 회장인 [[주앙 아벨란제]]의 주선으로 브라질 주리그 대표들도 방한하여 동대회에 참가함에 따라 국제 규모(?)의 축구대회로 발전하였다.
   −
1971년 5월 2일부터 15일까지 서울에서 제 1회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가 개막한 이래로 1989년까지 매년 대회가 개최되었다. (1986년 제외) 1991년부터는 2년 주기로 대회가 치루어지다 1999년 코리아컵 대회를 끝으로 폐지되었다. 폐지 이유는 만성적 적자. 1984년 대회를 제외하고는 항상 적자였다. 여기에 [[FIFA]]도 [[아시안컵]] 등 대륙컵대회의 권위를 높여야한다는 명분으로 [[메르데카배컵]], [[재팬컵]], [[킹스컵]] 등 아시아 군소대회의 개최에 태클을 놓던차라 박스컵도 궤를 같이하여 없어지고 말았다
+
1971년 5월 2일부터 15일까지 서울에서 제 1회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가 개막한 이래로 1989년까지 매년 대회가 개최되었다. (1986년 제외) 1991년부터는 2년 주기로 대회가 치루어지다 1999년 코리아컵 대회를 끝으로 폐지되었다. 2001년 개최를 검토했지만 [[컨페더레이션스컵]] 개최로 열리기 않았고 2003년엔 국가대표 훈련일정을 이유로 열리지 않았다. 여기에 [[FIFA]]도 [[아시안컵]] 등 대륙컵대회의 권위를 높여야한다는 명분으로 [[메르데카배컵]], [[재팬컵]], [[킹스컵]] 등 아시아 군소대회의 개최에 태클을 놓던차라 박스컵도 궤를 같이하여 없어지고 말았다
 
      
= 역대 대회 결과 =
 
= 역대 대회 결과 =
rollbacks, 관리자

편집

9,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