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8,341 바이트 추가됨 ,  2015년 10월 11일 (일) 00:05
4번째 줄: 4번째 줄:       −
= 대회 소개 =
+
= 역대 대회 결과 =
== 1969년 제 1회 대회 ==
+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100%;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제 1회 대회는 '''대통령컵쟁탈금융단축구대회'''라는 명칭으로 1969년 9월 [[서울운동장]]과 [[효창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 9월 30일까지 진행된 초대 대회에서 결승전은 [[조흥은행]]과 [[주택은행]]이 격돌하였으며, 연장전 끝에 조흥은행이 2:1로 승리하며 첫대회의 우승컵을 거머쥐었다.  
+
|- style="background:#C0C0C0"
 +
!횟수!!연도!!우승팀!!준우승팀!!비고
 +
|-
 +
||[[제1회 대통령배 금융단축구대회|제1회]]<ref>제 1회 대회는 '''대통령컵쟁탈금융단축구대회'''라는 명칭으로 1969년 9월 [[서울운동장]]과 [[효창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 9월 30일까지 진행된 초대 대회에서 결승전은 [[조흥은행]]과 [[주택은행]]이 격돌하였으며, 연장전 끝에 조흥은행이 2:1로 승리하며 첫대회의 우승컵을 거머쥐었다. </ref>||1969||'''[[조흥은행]]'''|| [[주택은행]]|| 첫번째 대회
 +
|-
 +
||[[제2회 대통령배 금융단축구대회|제2회]]<ref>11970년 대회는 동년 12월 3일부터 12월 14일까지 [[구덕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 2회 대회는 A,B,C 3개조를 나누어 예선라운드를 벌였으며, A조에는 [[기업은행]], [[국민은행]], [[산업은행]], [[신탁은행]]이 B조에는 [[한일은행]], [[제일은행]], [[주택은행]], [[외환은행]]이 C조에는 [[조흥은행]], [[서울은행]], [[상업은행]]이 참가해 총 13개 팀이 참가하여 예선 라운드를 펼쳤다. 예선 라운드 결과 각 조 1위인 기업은행, 외환은행, 상업은행이 결승리그에 진출해 일전을 벌였으며, 결승리그에서 종합전적 1승 1무의 상업은행이 우승을 차지하였고, 1승 1패의 기업은행은 준우승, 1무 1패의 외환은행은 3위를 차지하였다. 순조롭게 일정이 진행되는듯 했지만, 한겨울인 12월에 대회가 치루어진 탓에 관중이 거의 없는채로 진행되어 행정 미숙으로 비판을 받았다.</ref> |||1970||'''[[상업은행]]'''|| [[기업은행]]||
 +
|-
 +
||[[제3회 대통령배 금융단축구대회|제3회]]<ref>1971년 제 3회 대통령배 쟁탈 금융단축구대회는 동년 7월 20일부터 8월 1일까지 [[효창운동장]]에서 진행되었다. 당시 [[1972년 뮌헨 올림픽]] 준비에 한창이던 [[청룡]] 대표팀 멤버들이 제외되고, 제15회 [[메르데카컵]]에 [[백호]] 대표팀 멤버들도 차출됨에 따라 제3회 대회는 각 축구단이 대표급 선수들이 모조리 제외된채로 경기가 진행되었다. 결국 국가대표 선수가 가장 많았던 [[기업은행]] (5명), [[신탁은행]] (4명), [[서울은행]] (3명) 등이 예선탈락의 수모를 당했고, 결국 결승전은 [[외환은행]]과 [[조흥은행]]이 격돌하여 외환은행이 후반 44분 박대호 선수의 결승골로 1:0으로 승리하여 우승을 차지하였다. </ref> |||1971||'''[[외환은행]]'''|| [[조흥은행]]||
 +
|-
 +
||[[제4회 대통령배 금융단축구대회|제4회]]<ref>1972년 9월, 서울운동장에서 개최된 4회 대회 우승의 주인공은 [[서울은행]] 이었다. 서울은행의 창단 첫 금융단축구대회 우승. 서울은행은 결승전에서 [[한일은행]]을 맞이해 이준옥 선수의 결승골을 잘지켜 1:0 승리를 거두었다. 특히 준우승 팀이었던 [[한일은행]]은 기업합리화 작업의 여파로 축구단 해체의 위기를 겪고있었는데, 동대회의 준우승 덕분에 해체 위기를 넘길 수 있었다. </ref> |||1972||'''[[서울은행]]'''|| [[한일은행]]||
 +
|-
 +
||[[제5회 대통령배 금융단축구대회|제5회]]<ref>1973년 10월, 제5회 대통령배쟁탈금융단축구대회로 [[효창운동장]]에서 치루어졌다. 당시 결승전은 [[상업은행]] vs [[조흥은행]]의 경기로 이루어졌으며, 상업은행 선수였던 [[김호]]의 맹활약으로 조흥은행을 2:0으로 누르고 우승컵을 거머쥐었다. 상업은행의 우승은 1970년 2회 대회 우승 이후 3년만의 재우승. 결승전에서 상업은행은 김호의 어시스트를 받은 김성환과 오준공 선수의 연속골로 우승을 차지하였다. 동대회 최우수 선수상은 결승전에서 2도움을 올린 김호에게 돌아갔다. </ref> |||1973||'''[[상업은행]]'''|| [[조흥은행]]||
 +
|-
 +
||[[제6회 대통령배 금융단축구대회|제6회]]<ref>1974년 6월 1일부터 18일까지 [[서울운동장]]에서 치루어졌다. 18일 결승전에서 [[신탁은행]]과 [[국민은행]]이 격돌하였으며, 신탁은행은 김세휘 선수가 2골을 연달아 몰아치며 [[노흥섭]] 선수의 1골로 앞서가던 국민은행을 제치고 역전 우승을 차지하였다. 이 날 결승전에서 주심 [[성낙운]] 씨는 국민은행과 신탁은행 선수들의 잦은 항의로 꽤 고생을 했다는 후문. 대회 MVP는 신탁은행의 [[김기효]] 선수에게 돌아갔다.</ref> |||1974||'''[[신탁은행]]'''|| [[국민은행]]||
 +
|-
 +
||[[제7회 박대통령컵 쟁탈 국제축구대회|제7회]]<ref>이 대회에는 처음으로 영국팀도 참가하였는데 [[미들섹스 원더러스]]라는 선교 목적의 아마축구팀이었다. 이 대회에 참가해 화랑팀에 6:1로 발리는등, 1승 3패의 초라한 성적을 기록해, 진짜 영국팀 맞냐는 핀잔을 들었다.</ref>||1977||'''브라질''' || 1:0 || 대한민국 화랑대표팀||
 +
|-
 +
||[[제8회 박대통령컵 쟁탈 국제축구대회|제8회]]<ref>이 대회에는 미국 올림픽대표 2진, 미국 프로팀인 워싱턴 디플로메츠, 서독, 모로코, 이란, 브라질 상파울루 주리그 대표등, 바레인, 뉴질랜드 등 각 대륙 대표팀이 모두 참가한 명실상부한(?) 세계축구대회로 치루어졌다.</ref>||1978||'''대한민국 화랑대표팀'''|| 6:2 ||워싱턴 디플로메츠|| 충무대표팀 3위
 +
|-
 +
||[[제9회 박대통령컵 쟁탈 국제축구대회|제9회]]<ref>올림픽 예선을 앞두고 전력 노출을 꺼린 아시아 국가들이 참가를 거부함에 따라 스리랑카, 수단, 방글라데시 등 수준 떨어지는 팀들만 참가해 결승전을 제외하고는 제대로된 경기가 없었다고 혹평을 들었다. 급기야 동대회를 국고보조했던 문교부측은 2억이나 보조해줬는데도 그따위 저질팀만 초청해왔느냐고 대학축구협회와 대한체육회 관련 인사들을 문책했다.</ref>||1979||'''브라질 비토리아 FC''' || 2:1 || 대한민국 화랑대표팀||충무대표팀 4위
 +
|-
 +
||[[제10회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제10회]]<ref>점입가경이라고 1979년보다 더 수준떨어지는 팀초청으로 빈축을 샀다. 당초 튀니지, 이란, 일본등의 참가가 예정되었으나 모두 불참 통보를 해옴에 따라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바레인만이 참가했던것.</ref>||1980||rowspan=11|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대한민국 화랑대표팀'''|| 2:0 || 인도네시아 ||
 +
|-
 +
||[[제11회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제11회]]<ref>전두환의 3S 정책의 일환이었는지는, 이 대회는 '''8억'''이나 국고보조를 타내서 초청팀들의 수준을 한껏 올리는데 성공했다. 이 대회는 우루과이의 [[다누비오 FC]], 아르헨티나의 라싱 코르도바, 프랑스 2부의 샤토루 FC, 서독 [[자르브뤼켄 FC]], 브라질 비토리아 FC 등 총 11개팀이 참가해 역대 대회중 가장 화려한 대회로 꼽힌다. 재밌는건 이 대회에서 다누비오 FC 감독은 출사표를 던지며 ''라싱 코르도바? 그건 뭐하는 듣보잡 지방팀? 우승은 우리꺼 ㅋㅋ''라고 디스했으나 라싱과는 붙지도 못하고 화랑한테 준결승에서 털려서 탈락했다.</ref>||1981||'''대한민국 화랑대표팀''',<br> '''라싱 코르도바''' 공동 우승|| 2:2 || ||
 +
|-
 +
||[[제12회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제12회]]<ref>[[허정무]] 선수가 뛰고있던 [[PSV 아인트호벤]], 브라질 축구클럽인 오페라리우, 서독의 [[레버쿠젠]]을 비롯해 [[할렐루야 독수리 축구단]], 태국, 바레인, 인도 등이 참가해 화제를 모았다. 재밌는건 이때만 해도 [[레버쿠젠]]은 완전 듣보잡 팀 취급을 받았다는것. 당시 기사를 보면 [[뒤셀도르프 FC]]보다 수준이 떨어지는 팀으로 평가했던 기록이 있다. 안습. 실제로 레버쿠젠은 이때 할렐루야에게도 5:0으로 발리는등 한심한 경기끝에 예선탈락했었다.</ref>||1982||'''대한민국 화랑 대표팀''',<br> '''오페라리우''' 공동 우승|| 0:0 || || 할렐루야 4위
 +
|-
 +
||[[제13회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제13회]]<ref>세리에 A의 제노아 FC, [[유공 코끼리]], 미국, 뉴질랜드, 나이지리아, 가나, PSV 아인트호벤 등 10개국 11개팀이 참가했다. 이때도 해외 프로팀들이 초청비만 받고 2군을 내보내며 설렁설렁 뛰어 빈축을 샀다. 물론 그렇게 대충뛰는 상대팀에게 져서 준우승한 화랑대표팀은 더더욱 웃음거리가 됐지만.. -_- 덧붙여 PSV에서 뛰고있었던 허정무 선수가 이 대회를 마지막으로 한국복귀를 결정하면서 PSV와 허정무의 고별전이 되었다. 뱀발로 직전대회인 1982년 대회부터 경품추첨이 도입되었는데, 이 대회 집행위원회 내부에서 경품 조작 사건이 터져 개망신을 당했다.</ref>||1983||'''PSV 아인트호벤'''|| 3:2 ||대한민국 화랑 대표팀 ||
 +
|-
 +
||[[제14회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제14회]]<ref>처음으로 대회 상금을 6만달러나 걸어 화제가 되었던 대회로, 상금은 우승팀 3만, 준우승 2만, 3위 1만 순이었다. 참가팀은 레버쿠젠, 할렐루야, 벨기에의 클럽 브루게 KV, 페루, 브라질, 과테말라 등 총 8개팀이 참가하였다. 준결승에서 대한민국 국가대표와 할렐루야가 격돌했는데 이기면 2만달러가 생긴다는데 눈에 불을 켠 할렐루야 선수들의 적극적인 플레이에 완전히 당황한 한국대표팀은 준결승서 패배하며 탈락해버렸다. 특기할만한건 이대회가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역사상 처음이자 마지막 흑자대회'''라는것이다.</ref>||1984||'''방구 AC'''|| 2:1 ||할렐루야 축구단 || 대한민국 4위
 +
|-
 +
||[[제15회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제15회]]<ref>서울, 대전, 광주, 대구 4개 도시에서 순연되었으며 11개국 12개팀이 참가하여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이 대회에서 처음으로 [[박종환]] 감독이 이끄는 [[88 올림픽대표팀]]이 대통령배국제축구대회에 참가하기도 하였다. 대회기간동안 벌어진 28경기에서 98골이나 득점이 터지며 공격축구로 관중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하였으며, 결승전에서 88 올림픽대표팀과 86년 멕시코 월드컵 대표팀이 맞붙게 되었을때는 [[잠실주경기장]]에 5만명이나 관중이 모여 성공적으로 대회를 치뤘다는 평을 들었다. 결승전은 [[변병주]]의 골로 월드컵 대표팀의 승리.</ref>||1985||'''[[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1:0 ||[[88 올림픽대표팀]]||
 +
|-
 +
|-
 +
||[[제16회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제16회]]||1987||'''[[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A팀'''|| 1:1 (5 PK 4) ||[[호주]]||
 +
|-
 +
||[[제17회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제17회]]||1988||'''[[체코 슬로바키아]]'''|| 2:1 ||소련||
 +
|-
 +
||[[제18회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제18회]]||1989||'''[[체코 축구 국가대표팀|체코 슬로바키아]] 2진'''|| 리그전  ||[[덴마크]] 브론드비||청룡 3위
 +
|-
 +
||[[제19회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제19회]]||1991||'''[[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청룡) || 2:0 ||이집트||
 +
|-
 +
||[[제20회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제20회]]||1993||'''이집트|| 1:0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A팀||
 +
|-
 +
||[[95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제21회]]||1995||rowspan=3|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에콰도르]]'''|| 리그전 ||잠비아 || 대한민국 3위
 +
|-
 +
||[[97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제22회]]||1997||'''[[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리그전 ||유고 슬라비아||
 +
|-
 +
||[[99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제23회]]||1999||'''크로아티아'''|| 리그전 ||멕시코 ||대한민국 3위
 +
|-
 +
|}
      −
== 1970년 제 2회 대회 ==
  −
1970년 대회는 동년 12월 3일부터 12월 14일까지 [[구덕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 2회 대회는 A,B,C 3개조를 나누어 예선라운드를 벌였으며, A조에는 [[기업은행]], [[국민은행]], [[산업은행]], [[신탁은행]]이 B조에는 [[한일은행]], [[제일은행]], [[주택은행]], [[외환은행]]이 C조에는 [[조흥은행]], [[서울은행]], [[상업은행]]이 참가해 총 13개 팀이 참가하여 예선 라운드를 펼쳤다. 예선 라운드 결과 각 조 1위인 기업은행, 외환은행, 상업은행이 결승리그에 진출해 일전을 벌였으며, 결승리그에서 종합전적 1승 1무의 상업은행이 우승을 차지하였고, 1승 1패의 기업은행은 준우승, 1무 1패의 외환은행은 3위를 차지하였다. 순조롭게 일정이 진행되는듯 했지만, 한겨울인 12월에 대회가 치루어진 탓에 관중이 거의 없는채로 진행되어 행정 미숙으로 비판을 받았다.
        −
== 1971년 제 3회 대회 ==
  −
1971년 제 3회 대통령배 쟁탈 금융단축구대회는 동년 7월 20일부터 8월 1일까지 [[효창운동장]]에서 진행되었다. 당시 [[1972년 뮌헨 올림픽]] 준비에 한창이던 [[청룡]] 대표팀 멤버들이 제외되고, 제15회 [[메르데카컵]]에 [[백호]] 대표팀 멤버들도 차출됨에 따라 제3회 대회는 각 축구단이 대표급 선수들이 모조리 제외된채로 경기가 진행되었다. 결국 국가대표 선수가 가장 많았던 [[기업은행]] (5명), [[신탁은행]] (4명), [[서울은행]] (3명) 등이 예선탈락의 수모를 당했고, 결국 결승전은 [[외환은행]]과 [[조흥은행]]이 격돌하여 외환은행이 후반 44분 박대호 선수의 결승골로 1:0으로 승리하여 우승을 차지하였다.
  −
  −
  −
== 1972년 제 4회 대회 ==
  −
1972년 9월, 서울운동장에서 개최된 4회 대회 우승의 주인공은 [[서울은행]] 이었다. 서울은행의 창단 첫 금융단축구대회 우승. 서울은행은 결승전에서 [[한일은행]]을 맞이해 이준옥 선수의 결승골을 잘지켜 1:0 승리를 거두었다. 특히 준우승 팀이었던 [[한일은행]]은 기업합리화 작업의 여파로 축구단 해체의 위기를 겪고있었는데, 동대회의 준우승 덕분에 해체 위기를 넘길 수 있었다.
  −
  −
  −
== 1973년 제 5회 대회 ==
  −
1973년 10월, 제5회 대통령배쟁탈금융단축구대회로 [[효창운동장]]에서 치루어졌다. 당시 결승전은 [[상업은행]] vs [[조흥은행]]의 경기로 이루어졌으며, 상업은행 선수였던 [[김호]]의 맹활약으로 조흥은행을 2:0으로 누르고 우승컵을 거머쥐었다. 상업은행의 우승은 1970년 2회 대회 우승 이후 3년만의 재우승. 결승전에서 상업은행은 김호의 어시스트를 받은 김성환과 오준공 선수의 연속골로 우승을 차지하였다. 동대회 최우수 선수상은 결승전에서 2도움을 올린 김호에게 돌아갔다.
  −
  −
  −
== 1974년 제 6회 대회 ==
  −
1974년 6월 1일부터 18일까지 [[서울운동장]]에서 치루어졌다. 18일 결승전에서 [[신탁은행]]과 [[국민은행]]이 격돌하였으며, 신탁은행은 김세휘 선수가 2골을 연달아 몰아치며 [[노흥섭]] 선수의 1골로 앞서가던 국민은행을 제치고 역전 우승을 차지하였다. 이 날 결승전에서 주심 [[성낙운]] 씨는 국민은행과 신탁은행 선수들의 잦은 항의로 꽤 고생을 했다는 후문. 대회 MVP는 신탁은행의 [[김기효]] 선수에게 돌아갔다.
         
[[분류:금융단 축구리그]][[분류:폐지된 대회]]
 
[[분류:금융단 축구리그]][[분류:폐지된 대회]]
 
{{틀:대통령배 금융단 축구대회}}
 
{{틀:대통령배 금융단 축구대회}}
rollbacks, 관리자

편집

9,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