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688 바이트 추가됨 ,  2015년 12월 6일 (일) 20:42
잔글
편집 요약 없음
48번째 줄: 48번째 줄:     
== K리그 생활 ==
 
== K리그 생활 ==
 +
=== 2014 시즌 ===
 
[[2014년 드래프트]]에서 신인 자유계약을 통해 [[전북 현대 모터스]]에 입단하여 프로 생활을 시작하게 되었다. 전북 입단 이전부터 U-23 대표팀에도 곧잘 발탁되는 등 유망주로 기대를 모았기 때문에, [[최강희]] 감독 아래에서 잘 커주길 바라는 팬들이 많은 편. 이재성은 팬들의 이와 같은 기대에 [[AFC 챔피언스 리그 2014|2014 AFC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4차전 [[광저우 에버그란데]]와의 홈 경기에서 [[레오나르도]]의 결승골을 돕는 아름다운 로빙 패스를 넣어주면서 응답했고, 두터운 전북 선수진 속에서 주전을 넘어서 핵심 선수로 발돋움 했다. 또한 신인으로 소속팀의 우승 및 아시안게임 금메달 획득을 통해 병역 혜택까지 얻어내며 최고의 한 해를 보내는데 성공했다.
 
[[2014년 드래프트]]에서 신인 자유계약을 통해 [[전북 현대 모터스]]에 입단하여 프로 생활을 시작하게 되었다. 전북 입단 이전부터 U-23 대표팀에도 곧잘 발탁되는 등 유망주로 기대를 모았기 때문에, [[최강희]] 감독 아래에서 잘 커주길 바라는 팬들이 많은 편. 이재성은 팬들의 이와 같은 기대에 [[AFC 챔피언스 리그 2014|2014 AFC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4차전 [[광저우 에버그란데]]와의 홈 경기에서 [[레오나르도]]의 결승골을 돕는 아름다운 로빙 패스를 넣어주면서 응답했고, 두터운 전북 선수진 속에서 주전을 넘어서 핵심 선수로 발돋움 했다. 또한 신인으로 소속팀의 우승 및 아시안게임 금메달 획득을 통해 병역 혜택까지 얻어내며 최고의 한 해를 보내는데 성공했다.
 
프로 데뷔 경기는 2014년 2월 26일 [[요코하마 F. 마리노스]]와의 [[AFC 챔피언스 리그 2014|2014 AFC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1차전이며, [[K리그]] 데뷔 경기는 2014년 3월 15일 [[K리그 클래식]] 2라운드 [[인천 유나이티드]]와의 경기이다. 데뷔 득점은 2014년 4월 26일 [[K리그 클래식]] 10라운드 [[경남 FC]]와의 홈 경기에서의 두 번째 득점이다. (이 경기의 결승골이기도 하다.)
 
프로 데뷔 경기는 2014년 2월 26일 [[요코하마 F. 마리노스]]와의 [[AFC 챔피언스 리그 2014|2014 AFC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1차전이며, [[K리그]] 데뷔 경기는 2014년 3월 15일 [[K리그 클래식]] 2라운드 [[인천 유나이티드]]와의 경기이다. 데뷔 득점은 2014년 4월 26일 [[K리그 클래식]] 10라운드 [[경남 FC]]와의 홈 경기에서의 두 번째 득점이다. (이 경기의 결승골이기도 하다.)
 +
시즌 중간에 2014 인천 아시안게임 남자축구 국가대표로 차출되자 [[전북 현대 모터스|전북]]의 경기력이 크게 흔들릴 정도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선수로 성장했다. '''신인의 무덤'''이라고 불리는 전북에서 <del>염</del> 이후 8년만에 나타난 특출난 신인이라 모든 팬들의 예쁨을 한 몸에 받았다. 기세를 몰아 [[영플레이어상]] 후보에 올라갔으나, [[김승대]]에 밀려 탈락했다. 베스트 11 후보에도 올랐으나 본 포지션인 미드필더가 아닌 공격수 포지션에 올라 이 역시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
=== 2015 시즌 ===
 
2015시즌 [[이승기]], [[신형민]]이 2014 시즌 종료 후 모두 군 복무를 위해 팀을 떠나면서 전북의 중앙을 책임지는 핵심 미드필더로 자리 잡았으며, 전북의 공수 밸런스를 유지하는 핵심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재성의 존재 유무, 컨디션 상태에 따라 전북의 경기력이 전체가 요동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del>유럽은 젭알ㅠㅠ</del> 2014년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롤(중앙 미드필더, 공격형 미드필더, 윙포워드)을 맡고 있는데, 시즌 초 4-2-3-1 포메이션에서는 공격형 미드필더 포지션에서 [[에두]]와의 연계 및 침투를 담당하고, 후반 [[이동국]]이 투입되면서 4-4-2로 변할 때는 중앙 미드필더로 공격보다는 연계에 치중했다. 꾸준한 국가대표 발탁으로 체력이 부친다는 인상을 주기 시작한 시즌 중반 이후부터는 공격적으로 전진하기 보다는 중앙에서 연계 플레이와 수비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는 이재성을 제외하고 전방으로 양질의 패스를 공급할만한 미드필더가 전북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혹사는 활동량은 물론 특유의 패싱 능력과 간혹 보여주던 번뜩이는 드리블까지 같이 죽이는 결과를 낳았는데, 후반기 일정이 널널해지면서 조금씩 회복세에 접어들었다. 그리고 스플릿 전후를 기점으로 침체에 빠져 우승을 확정짓지 못하던 팀에게 36R [[SK 유나이티드]] 원정 경기에서 결승골을 넣어 승리를 안겨줌으로써 네 번째 우승을 가져다 주었다. 이러한 성과를 인정받아 [[영플레이어상]]을 수상했으며, 베스트 11에 포함되었다.
 
2015시즌 [[이승기]], [[신형민]]이 2014 시즌 종료 후 모두 군 복무를 위해 팀을 떠나면서 전북의 중앙을 책임지는 핵심 미드필더로 자리 잡았으며, 전북의 공수 밸런스를 유지하는 핵심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재성의 존재 유무, 컨디션 상태에 따라 전북의 경기력이 전체가 요동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del>유럽은 젭알ㅠㅠ</del> 2014년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롤(중앙 미드필더, 공격형 미드필더, 윙포워드)을 맡고 있는데, 시즌 초 4-2-3-1 포메이션에서는 공격형 미드필더 포지션에서 [[에두]]와의 연계 및 침투를 담당하고, 후반 [[이동국]]이 투입되면서 4-4-2로 변할 때는 중앙 미드필더로 공격보다는 연계에 치중했다. 꾸준한 국가대표 발탁으로 체력이 부친다는 인상을 주기 시작한 시즌 중반 이후부터는 공격적으로 전진하기 보다는 중앙에서 연계 플레이와 수비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는 이재성을 제외하고 전방으로 양질의 패스를 공급할만한 미드필더가 전북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혹사는 활동량은 물론 특유의 패싱 능력과 간혹 보여주던 번뜩이는 드리블까지 같이 죽이는 결과를 낳았는데, 후반기 일정이 널널해지면서 조금씩 회복세에 접어들었다. 그리고 스플릿 전후를 기점으로 침체에 빠져 우승을 확정짓지 못하던 팀에게 36R [[SK 유나이티드]] 원정 경기에서 결승골을 넣어 승리를 안겨줌으로써 네 번째 우승을 가져다 주었다. 이러한 성과를 인정받아 [[영플레이어상]]을 수상했으며, 베스트 11에 포함되었다.
  

편집

1,182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