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695 바이트 추가됨 ,  2015년 12월 25일 (금) 19:11
잔글
편집 요약 없음
21번째 줄: 21번째 줄:  
2010년에는 [[강원 FC|강원]]이 처음으로 R리그에 참여하고 [[SK 유나이티드]]가 다시 복귀하여 사상 처음으로 K리그 15개팀의 2군이 전부 참여하게 되었다. 총 16개 팀이 참가. 2010년 R리그는 따로 결승전을 통해 우승팀을 가리지않고 A조, B조 1위를 공동 우승으로 하였고 MVP는 따로 뽑지않았다. 이는 2011년에도 마찬가지. 그러나 2012년부터 [[승강제]] 준비를 위하여 R리그를 의무참가에서 참가여부 자진 결정으로 바뀌었다. 이 때문에 많은 팀들이 R리그 불참을 하지않을까 생각했지만, 대학축구계와 학부모의 반발 때문인지 [[전북 현대]], [[전남 드래곤즈]], [[SK 유나이티드]], [[대전 시티즌]], [[대구 FC]] 총 5팀을 제외한 나머지 프로팀과 + [[경찰청 축구단]]이 합세해 총 12팀이 R리그 2012를 소화하게 되었다. R리그는 2013년을 끝으로 승강제 신설로 인한 2부 팀창단으로 인한 인원충당문제, 구단 운영을 위한 선수단 인원 축소로 인해 폐지되었다.
 
2010년에는 [[강원 FC|강원]]이 처음으로 R리그에 참여하고 [[SK 유나이티드]]가 다시 복귀하여 사상 처음으로 K리그 15개팀의 2군이 전부 참여하게 되었다. 총 16개 팀이 참가. 2010년 R리그는 따로 결승전을 통해 우승팀을 가리지않고 A조, B조 1위를 공동 우승으로 하였고 MVP는 따로 뽑지않았다. 이는 2011년에도 마찬가지. 그러나 2012년부터 [[승강제]] 준비를 위하여 R리그를 의무참가에서 참가여부 자진 결정으로 바뀌었다. 이 때문에 많은 팀들이 R리그 불참을 하지않을까 생각했지만, 대학축구계와 학부모의 반발 때문인지 [[전북 현대]], [[전남 드래곤즈]], [[SK 유나이티드]], [[대전 시티즌]], [[대구 FC]] 총 5팀을 제외한 나머지 프로팀과 + [[경찰청 축구단]]이 합세해 총 12팀이 R리그 2012를 소화하게 되었다. R리그는 2013년을 끝으로 승강제 신설로 인한 2부 팀창단으로 인한 인원충당문제, 구단 운영을 위한 선수단 인원 축소로 인해 폐지되었다.
   −
=== 2010년대 중반 ===
+
==== 2010년대 중반 ====
2012년 9월 [[23세 이하 선수 의무 등록 및 출전 규정]]이 R리그 폐지의 대안으로 신설되었으나, 2014년 12월 본격적인 시작을 앞두고 [[한국축구인노동조합]]을 필두로 한 학원축구계의 반발로 인해 2015년 제1차 이사회 및 정기총회에서 제도 시행을 포기하고 R리그의 부활을 의결했다. 다시 운영되는 R리그는 2016년부터 구단 별 자율참가를 원칙으로 운영되며, 참가 클럽이 적을 경우 운영을 재검토하기로 했다.<ref>[http://kleague.com/kr/sub.asp?avan=1005010000&bs_code=news0&NEWSMode=view&intseq=11415& 2015년 제 1차 이사회 및 총회 결과]</ref>
+
2012년 9월 [[23세 이하 선수 의무 등록 및 출전 규정]]이 R리그 폐지의 대안으로 신설되었으나, 2014년 12월 본격적인 시작을 앞두고 [[한국축구인노동조합]]을 필두로 한 학원축구계의 반발로 인해 2015년 제1차 이사회 및 정기총회에서 제도 시행을 포기하고 R리그의 부활을 의결했다. 다시 운영되는 R리그는 2016년부터 구단 별 자율참가를 원칙으로 운영되며, 참가 클럽이 적을 경우 운영을 재검토하기로 했다.<ref>[http://kleague.com/kr/sub.asp?avan=1005010000&bs_code=news0&NEWSMode=view&intseq=11415& 2015년 제 1차 이사회 및 총회 결과]</ref>2016년 참가 구단은 [[K리그 클래식]]에서 전북, 수원, GS, 성남, 울산, [[K리그 챌린지]]에서 부산, 대구, 부천, 고양, 충주다.<ref>[http://sports.chosun.com/news/news.htm?id=201512170100178320011930&ServiceDate=20151216 K리그에 부는 '칼바람' 곳곳에서 떨고 있다]</ref>
      30번째 줄: 30번째 줄:     
2012년부터 유스선수 기량 발전에 기여하고 원활한 선수 공급의 장으로 활용하게 하기 위한다는 명분하에, 소속 구단선수 최대 3명을 제외하고, '''R리그는 1989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만 23세 이하의 선수만 출전할 수 있다.''' 라고 변경되었다. 즉 기존까지 2군에서 허송세월하던 만 23세 초과한 선수들은 최대 3명까지만 R리그를 뛸수있으며, 나머지 선수들은 R리그도 뛸수없다. 다만, K리그 구단 산하 유소년클럽 선수들은 이전처럼 출전 등록만 하면 제한없이 출전이 가능하다.
 
2012년부터 유스선수 기량 발전에 기여하고 원활한 선수 공급의 장으로 활용하게 하기 위한다는 명분하에, 소속 구단선수 최대 3명을 제외하고, '''R리그는 1989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만 23세 이하의 선수만 출전할 수 있다.''' 라고 변경되었다. 즉 기존까지 2군에서 허송세월하던 만 23세 초과한 선수들은 최대 3명까지만 R리그를 뛸수있으며, 나머지 선수들은 R리그도 뛸수없다. 다만, K리그 구단 산하 유소년클럽 선수들은 이전처럼 출전 등록만 하면 제한없이 출전이 가능하다.
 +
 +
위의 규정은 부활한 R리그에서도 그대로 적용되며, 앞으로 만23세 초과 선수의 숫자를 줄여나가기로 했다. 또한 테스트 선수도 최대 2명까지 바로 출장할 수 있게 하여 선수 기용의 폭을 증가시켰다. 육성에 좀 더 초점을 두기 위해 순위 산정과 같은 제도는 시행하지 않기로 하였다.
 +
      67번째 줄: 70번째 줄:  
|[[2012 R리그|2012]]||[[경찰청 축구단|경찰청]]||[[부산 아이파크|부산]]||
 
|[[2012 R리그|2012]]||[[경찰청 축구단|경찰청]]||[[부산 아이파크|부산]]||
 
|}
 
|}
 +
 +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72번째 줄: 77번째 줄:     
* [[23세 이하 선수 의무 등록 및 출전 규정]]
 
* [[23세 이하 선수 의무 등록 및 출전 규정]]
 +
     

편집

1,182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