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7,838 바이트 추가됨 ,  2016년 1월 9일 (토) 01:10
'''대한민국 올림픽 축구 도전사'''는 2000년대 이전, [[올림픽 축구]] 본선 무대에 도전했던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대기를 모아놓은 것입니다.



= [[1948년 런던 올림픽]] =

== 대표팀 선발과 최종 명단 ==
[[File:1948년 런던 올림픽 한국대표팀.jpg|섬네일|런던 올림픽에 출전한 한국대표단]]
해방 직후인 1946년 [[조선축구협회]]는 [[FIFA]]에 정식으로 가입하면서, [[FIFA 월드컵]]과 [[올림픽]]에 축구 국가대표를 출전시킬 수 있는 자격을 얻게 되었다. 이후 1948년 런던 올림픽을 앞둔 조선축구협회는 광복 후 첫 국제 대회 출전에 총력을 기울였고, 미군정청과의 협의 끝에 축구팀도 런던올림픽에 출전시키겠다는 확답을 얻어내었다. 런던 올림픽 출전 확정뒤, [[조선축구협회]]는 1948년 3월 20일부터 24일까지 런던 올림픽대표 선발전을 [[동대문 운동장]] (당시, 서울운동장) 에서 개최하였으며, 이 선발전에 조선전업 ([[대전 한수원]]의 전신), [[인천 조일양조]], 연희대학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동국대학교]] 총 5팀이 참가하였다.

1차 선발과 자체 홍백전등의 선발전을 거쳐 1948년 5월 15일 런던 올림픽대표 최종 엔트리 16명이 발표되었으니 이는 다음과 같다.


<table style="background-color:#F2F5FD; font-size:100%; margin:0; border: 1px solid #C7D0F8; padding:7px 7px 0px 7px; -moz-border-radius:10px;" width="100%;"><tr><td>
* 감독
: [[박정휘]] (→ 출정 직전, [[이영민]]으로 교체)

* 선수단
: GK : [[차순종]] (조선전업), [[홍덕영]] (고려대)

: FB : [[박규정]] (조선전업), [[박대종]] (조선전업), [[이시동]] (인천 조일양조)

: HB : [[민병대]] (조선전업), [[이유형]] (인천 조일양조), [[최성곤]] (조선전업), [[김규환]] (조선전업)

: FW : [[우정환]] (조선전업), [[배종호]] (인천 조일양조), [[정남식]] (조선전업), [[김용식]] (조선전업), [[정국진]] (인천 조일양조), [[안종수]] (조선전업), [[오경환]] (인천 조일양조)
</td></tr></table>


그러나 선수 선발과정에서 문제가 있었다는 논란이 끊이질 않아, 대표팀은 제대로 된 소집훈련 조차 소화하지 못한채 6월 21일 런던으로 출발했고, [[조선축구협회]] 측은 대표팀 선발에 잘못이 있었음을 시인하며 임원진이 총사퇴하는 우여곡절을 겪었다.


== 출전 결과 ==
1948년 6월 21일 서울을 출발한 축구대표팀은 부산, 요코하마, 홍콩을 거쳐 런던에 도착하였으나 중간에 어려움이 많았다. 가장 특기할만한 것은 당초 감독이었던 [[박정휘]]씨를 건강상의 이유를 빌미로 [[조선체육회]] 측에서 출국 금지시키고, 임시로 당시 조선야구협회 시찰단 자격으로 올림픽에 참가하였던 [[이영민]] 씨를 축구 올림픽대표팀 감독으로 선임한 점이었다. 우여곡절 끝에 한국축구팀은 런던에 도착, 7월 29일 올림픽 개막식에 참가한 뒤 8월 2일 제 1회전인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와의 일전을 치루었으며, 이 경기에서 [[배종호]], [[정남식]], [[최성곤]], [[정국진]] (2골)의 연속골로 '''5:3'''승리를 거두었다. 당시 올림픽 축구는 1회전 승리시, 곧바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는 조별예선 없는 토너먼트 였기에 한국 올림픽 대표팀은 첫 국제대회 출전에 8강 진출이라는 쾌거를 거두게 되었다.<ref>대한민국 축구 역사상 [[FIFA 월드컵]], [[올림픽]] 등 [[FIFA]]가 공인하는 각종 메이져 대회 본선에서 한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1경기 5골 이상을 넣은 것은 이때가 처음이자 마지막이며, 1경기에서 멀티골을 (2골 이상) 기록한 한국 선수 ([[정국진]])가 나온 것도 이때가 유일하다.</ref>

서전을 승리로 장식하며 8강 진출을 확정지은 올림픽 대표팀이었으나, 멕시코 전에서 FB 였던 박규정 씨가 부상을 당했고, 다른 출전 선수들도 빗속의 혈투를 치룬 후 체력이 고갈된 상태였다. 그러나 8강전은 한국 선수들이 쉴틈도 없이, 곧바로 멕시코전 3일뒤인 8월 5일에 치루어졌고 상대는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 이었다. 당시 스웨덴은 훗날 [[AC 밀란]]의 전설적인 스트라이커로 군림하는 [[군나르 노르달]]이 버티고 있는 최강의 팀구성을 갖추고 있었기에 경기의 승패는 시작하자마자 갈리고 말았다. 결과는 0:12 의 한국의 대참패. 스웨덴은 한국을 물리치고 승승장구해 동대회 금메달을 차지한다. 비록 8강전에서 대패하긴 했지만 첫 세계 대회 출전에 8강 업적을 달성하며 멋진 신고식을 치루었다. 물론 사람들은 1948년 8강 신화보다 1954년 스위스의 악몽을 더 기억하는 편이지만 -_-;


== 결과 요약 ==
<table style="background-color:#F2F5FD; font-size:100%; margin:0; border: 1px solid #C7D0F8; padding:7px 7px 0px 7px; -moz-border-radius:10px;" width="100%;"><tr><td>
* 1회전
: 對 멕시코 전 → 5:3 한국 승 ([[정국진]] 2골, [[최성곤]], [[정남식]], [[배종호]] (이상, 1골)

* 2회전
: 對 스웨덴 전 → 0:12 한국 패

* 최종성적
: 8강
</td></tr></table>


= [[1964년 도쿄 올림픽]] =

== 아시아예선 과정과 올림픽대표팀 최종 명단 ==
1963년 겨울부터 1964년 봄까지, 1964년 도쿄 올림픽 아시아예선이 벌어졌다. 아시아지역 예선에서 한국은 대만, 필리핀, 월남을 차례로 꺽고 본선에 진출하였다. 아시아 1차 예선은 대만과의 일전이었는데 한국 선수단은 1960년 로마 올림픽 아시아 예선 당시의 기억<ref>[[1960년 로마 올림픽]] 항목 참조</ref>때문에 절치부심하여 대만을 상대하였고 1차전 2:1로 승리. 2차전은 0:1로 패배 후, 승점 골득실 동률로 규정상 제3차전을 중립지역에서 치루어야 했으나, 대만의 갑작스런 올림픽 참가 포기로 한국이 2차 예선으로 진출하게 되었다. 2차 예선 상대는 필리핀이었으나, 필리핀이 자진 기권하면서 싱겁게 최종 예선에 한국이 진출했다.

최종 예선 상대는 월남이었는데 월남과의 올림픽 최종예선 1차전은 1964년 5월 30일 [[효창 운동장]]에서 벌어졌다. 1차전 결과는 3:0 대승. 2차전은 1달여후인 6월 28일에 벌어졌는데 여기서 한국은 2:2 무승부를 거두어 올림픽 본선에 진출하는데 성공하였다. [[1948년 런던 올림픽]] 본선 진출 이후, 16년만의 본선 진출이었다. 덕분에 [[대한축구협회]]는 1964년 여타 국제축구대회를 모두 참가 포기하면서까지 올림픽 준비에 총력을 기울였고, 1964년 올림픽대표팀 최종명단이 발표되었으니 그 명단은 아래와 같다.


<table style="background-color:#F2F5FD; font-size:100%; margin:0; border: 1px solid #C7D0F8; padding:7px 7px 0px 7px; -moz-border-radius:10px;" width="100%;"><tr><td>
* 감독
: [[정국진]]

* 코치
: [[김규환]]

* 선수단
: GK : [[함흥철]] ([[대한중석]]), 정영환 ([[한국전력]])

: FB : 김홍복 ([[제일모직]]), 김정석 ([[고려대]]), [[김정남]] (고려대), 박승옥 (대한중석), [[차태성]] (제일모직)

: HB : 이우봉 (한국전력), 김영배 (한국전력), 유광준 ([[석탄공사]]), [[김삼락]] ([[연세대]]), [[김찬기]] (석탄공사)

: FW : 김덕중 (한국전력), [[우상권]] ([[헌병감실]]), [[차경복]] (헌병감실), [[이이우]] (제일모직), 조성달 (한국전력), [[조윤옥]] (대한중석)
</td></tr></table>


== 본선에서의 대실패 ==
올림픽 본선에서 한국은 브라질, 체코슬로바키아, 아랍연합공화국<ref>현재의 [[이집트]]. 범아랍주의를 추구하던 이집트 나세르에 의해 1958년 [[이집트]]와 [[시리아]]가 통합하여 수립된 나라이다. 그러나 1961년 시리아에서 군사쿠데타가 일어나면서 해체되었다. 64년 당시에는 이미 이집트만의 공화국이었으나 향후 시리아의 복귀나 다른 국가의 가입을 염두에 두고 명칭을 계속 유지했다. 그러나 67년 이스라엘과의 6일 전쟁에서 패함으로써 범아랍주의가 크게 훼손되고 1970년 나세르가 사망하자 이집트라는 명칭으로 다시 돌아왔다. [http://ko.wikipedia.org/wiki/%EC%95%84%EB%9E%8D_%EC%97%B0%ED%95%A9_%EA%B3%B5%ED%99%94%EA%B5%AD 참고 - 위키백과:아랍 연합 공화국]</ref> 와 한조를 이루었고, 1964년 10월 12일 조별 예선 1차전을 체코슬로바키아를 상대로 가졌다. 그러나 체코슬로바키아는 동대회에서 은메달을 차지할 정도로 강팀이었고, 이런 체코에 대해 한국팀은 그 어떤 정보는 갖지 못한채 정면승부로 도전했다. 결과는 1:6 대참패. 그나마 [[이이우]] 선수의 기습적인 중거리 슈팅으로 1골을 얻어 영패는 모면했다. 2차전은 브라질과의 경기였는데 당시 정국진 감독은 수비수였던 [[차태성]] 선수를 공격으로 스위칭하면서까지 공격 일변도로 승점을 얻어내보려고 애썻지만, 세계최강 브라질의 적수는 못됐다. 결과는 0:4 패배. 2차전 결과로 한국의 조별예선 탈락은 확정되었다.

마지막 3차전 對 아랍연합공화국과의 경기는, 이미 조별예선 탈락이 확정되면서 선수들의 의욕이 떨어진 상태에서 진행되었다. 여기에 체력적으로도 한계를 드러냈던 상황, 설상가상으로 경기 도중 한국 선수단을 응원하러왔던 재일교포들이 한국 선수들의 조별예선 탈락 확정에 욕설을 퍼부어댐에 따라 선수들이 흥분하는 지경에 이르고 말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기가 제대로 됐을리 만무, 결국 아랍연합공화국에 '''0:10''' 대패를 당한다. 이 스코어는 한국 축구 역사상 최다 실점패로 남아있다.<ref>당시 아랍연합공화국은 다득점시 8강 진출이 가능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한국을 상대로 이같은 골폭죽을 터뜨린 것이었다. 결국 아랍연합공화국은 골득실에서 우위를 점하며 조별예선을 통과, 동대회 4강까지 진출하는 기염을 토한다. </ref>


== 결과 요약 ==
<table style="background-color:#F2F5FD; font-size:100%; margin:0; border: 1px solid #C7D0F8; padding:7px 7px 0px 7px; -moz-border-radius:10px;" width="100%;"><tr><td>
* 본선 조별예선 1차전
: 對 체코슬로바키아 전 → 1:6 한국 패 ([[이이우]] (1골)

* 본선 조별예선 2차전
: 對 브라질 전 → 0:4 한국 패

* 본선 조별예선 3차전
: 對 아랍연합공화국 전 → 0:10 한국 패

* 최종성적
: 조별 예선 탈락</td></tr></table>


= [[1988년 서울 올림픽]] =


= [[1992년 서울 올림픽]] =


=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

=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

= [[2000년 시드니 올림픽]] =

= 아시아 예선과 평가전 ==
2000년 시드니 올림픽을 위한 '''시드니 올림픽대표팀''' 구성은 1998년 12월 22일 이루어졌다. 이후 시드니 올림픽대표팀은 아시아예선과 평가전 포함 총 25경기에서 21승 2무 2패의 호성적을 거두었으며,<ref>다만 평가전 상대가 다 수준이 한체급 낮은팀들과의 경기가 대부분이었다.</ref> 이 중 아시아예선은 1차예선 전승, 2차예선 3승 1무로 총 6승 1무의 무패행진으로 시드니 올림픽 본선 티켓을 따냈다.

시드니 올림픽대표팀이 치룬 아시아예선과 평가전 매치 결과는 이하와 같다.


=== 아시아예선 ===
----
아시아예선은 1차예선과 최종예선으로 나누어 치루어졌다. 1차예선에 참가한 아시아 34개국을 동부,서부,중앙 등 3개권역 총 9개조로 나누어 조편성이 되었으며, 대한민국은 [[인도네시아]], [[스리랑카]], [[대만]]과 함께 동부 8조에 편성되었다.


{| class="collapsible collapsed plainlinks" width="100%"
! align="left" style="background-color: #eeeeee; margin: 0 auto; padding: 0 10px 0 10px; border: 1px solid #aaa; "| <p style="font-size:110%;"> 시드니 올림픽 아시아 1차예선</p>
|-
|style="border: 1px #aaa solid;"|
{{footballbox
|날짜 = 1999년 5월 25일
|시간 =
|팀1 = [[대한민국 U-23]]
|득점 = 5 - 0
|리포트 =
|팀2 = 스리랑카 U-23
|골1 = '''[[이동국]] (3), [[설기현]], [[김남일]]'''
|골2 =
|경기장 = [[동대문종합운동장]]
|관중수 =
|심판 =
}}


{{footballbox
|날짜 = 1999년 5월 27일
|시간 =
|팀1 = 대한민국 U-23
|득점 = 7 - 0
|리포트 =
|팀2 = 대만 U-23
|골1 = '''[[박진섭]], [[안효연]], [[이영표]], [[최철우]], [[박동혁]]<br/> [[설기현]], [[전우근]]'''
|골2 =
|경기장 = [[동대문종합운동장]]
|관중수 =
|심판 =
}}


{{footballbox
|날짜 = 1999년 5월 29일
|시간 =
|팀1 = 대한민국 U-23
|득점 = 7 - 0
|리포트 =
|팀2 = 인도네시아 U-23
|골1 = '''[[이동국]] (3), [[안효연]] (2), [[박진섭]], [[이관우]]'''
|골2 =
|경기장 = [[잠실주경기장]]
|관중수 =
|심판 =
}}
|}


* 1차예선 8조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팀!!경기수!!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골득실!!승점
|- bgcolor="#ccffcc"
|align=left|{{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3||3||0||0||19||0||+19||'''9'''
|-
|align=left|{{국기그림|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3||2||0||1||4||9||-5||'''6'''
|-
|align=left|{{국기그림|중화 타이베이}} '''[[대만]]'''
|3||1||0||1||5||10||-5||'''3'''
|-
|align=left|{{국기그림|스리랑카}} '''[[스리랑카]]'''
|3||0||0||3||2||11||-9||'''0'''
|}


{| class="collapsible collapsed plainlinks" width="100%"
! align="left" style="background-color: #eeeeee; margin: 0 auto; padding: 0 10px 0 10px; border: 1px solid #aaa; "| <p style="font-size:110%;"> 시드니 올림픽 아시아 최종예선</p>
|-
|style="border: 1px #aaa solid;"|
{{footballbox
|날짜 = 1999년 10월 3일
|시간 =
|팀1 = [[대한민국 U-23]]
|득점 = 1 - 0
|리포트 =
|팀2 = [[중국 U-23]]
|골1 = '''[[신병호]]'''
|골2 =
|경기장 = [[잠실주경기장]]
|관중수 =
|심판 =
}}


{{footballbox
|날짜 = 1999년 10월 18일
|시간 =
|팀1 = 바레인 U-23
|득점 = 0 - 1
|리포트 =
|팀2 = 대한민국 U-23
|골1 =
|골2 = '''[[이동국]]'''
|경기장 = [[마나마국립경기장]] (바레인)
|관중수 =
|심판 =
}}


{{footballbox
|날짜 = 1999년 10월 29일
|시간 =
|팀1 = 중국 U-23
|득점 = 1 - 1
|리포트 =
|팀2 = 대한민국 U-23
|골1 = '''[[장 유닝]]'''
|골2 = '''[[이동국]]'''
|경기장 = [[상하이 바완런경기장]] (중국)
|관중수 =
|심판 =
}}


{{footballbox
|날짜 = 1999년 11월 13일
|시간 =
|팀1 = 대한민국 U-23
|득점 = 2 - 1
|리포트 =
|팀2 = 바레인 U-23
|골1 = '''[[김은중]], [[박진섭]]'''
|골2 = '''자랄'''
|경기장 = [[잠실주경기장]]
|관중수 =
|심판 =
}}
|}


* 최종예선 B조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팀!!경기수!!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골득실!!승점
|- bgcolor="#ccffcc"
|align=left|{{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4||3||1||0||5||2||+3||'''10'''
|-
|align=left|{{국기그림|중국}} '''[[중국]]'''
|4||1||1||2||3||4||-1||'''4'''
|-
|align=left|{{국기그림|바레인}} '''[[바레인]]'''
|4||1||0||3||3||5||-2||'''3'''
|}


=== 평가전 ===
----
{| class="collapsible collapsed plainlinks" width="100%"
! align="left" style="background-color: #eeeeee; margin: 0 auto; padding: 0 10px 0 10px; border: 1px solid #aaa; "| <p style="font-size:110%;"> 평가전</p>
|-
|style="border: 1px #aaa solid;"|
{{footballbox
|날짜 = 1999년 1월 15일
|시간 =
|팀1 = [[호주 U-23]]
|득점 = 0 - 1
|리포트 =
|팀2 = [[대한민국 U-23]]
|골1 =
|골2 = '''[[이관우]]'''
|경기장 = 호주 모웰
|관중수 =
|심판 =
}}


{{footballbox
|날짜 = 1999년 1월
|시간 =
|팀1 = [[호주 U-23]]
|득점 = 0 - 2
|리포트 =
|팀2 = [[대한민국 U-23]]
|골1 =
|골2 ='''[[설기현]], 호주 자책골'''
|경기장 = 호주 멜버른
|관중수 =
|심판 =
}}


{{footballbox
|날짜 = 1999년 1월 30일
|시간 =
|팀1 = [[대한민국 U-23]]
|득점 = 2 - 1
|리포트 =
|팀2 = [[중국 U-23]]
|골1 = '''[[이동국]] (2)'''
|골2 = '''[[장 유닝]]'''
|경기장 = 호치민시동얏스타디움 (베트남)
|관중수 =
|심판 =
}}


{{footballbox
|날짜 = 1999년 2월 1일
|시간 =
|팀1 = [[대한민국 U-23]]
|득점 = 3 - 0
|리포트 =
|팀2 = [[말레이시아 대표팀]]
|골1 = '''[[이동국]], [[김도균]], [[최철우]]'''
|골2 =
|경기장 = 호치민시동얏스타디움 (베트남)
|관중수 =
|심판 =
}}


{{footballbox
|날짜 = 1999년 2월 3일
|시간 =
|팀1 = [[대한민국 U-23]]
|득점 = 5 - 1
|리포트 =
|팀2 = [[불가리아 U-23]]
|골1 = '''[[김동선]] (2), [[신병호]] (2), [[이관우]]'''
|골2 = '''초마코프'''
|경기장 = 호치민시동얏스타디움 (베트남)
|관중수 =
|심판 =
}}


{{footballbox
|날짜 = 1999년 2월 5일
|시간 =
|팀1 = [[대한민국 U-23]]
|득점 = 2 - 0
|리포트 =
|팀2 = [[이란 U-23]]
|골1 = '''[[이동국]], [[설기현]]'''
|골2 =
|경기장 = 호치민시동얏스타디움 (베트남)
|관중수 =
|심판 =
}}


{{footballbox
|날짜 = 1999년 2월 7일
|시간 =
|팀1 = [[대한민국 U-23]]
|득점 = 1 - 0
|리포트 =
|팀2 = [[중국 U-23]]
|골1 = '''[[최철우]]'''
|골2 =
|경기장 = 호치민시동얏스타디움 (베트남)
|관중수 =
|심판 =
}}


{{footballbox
|날짜 = 1999년 4월
|시간 =
|팀1 = [[대한민국 U-23]]
|득점 = 2 - 0
|리포트 =
|팀2 = [[할렐루야 축구단]]
|골1 = '''[[전우근]], [[김장현]]'''
|골2 =
|경기장 = [[동대문종합운동장]]
|관중수 =
|심판 =
}}


{{footballbox
|날짜 = 1999년 8월 7일
|시간 =
|팀1 = [[대한민국 U-23]]
|득점 = 0 - 0
|리포트 =
|팀2 = [[카타르 U-23]]
|골1 =
|골2 =
|경기장 =
|관중수 =
|심판 =
}}


{{footballbox
|날짜 = 1999년 8월 14일
|시간 =
|팀1 = [[에스토니아 U-23]]
|득점 = 1 - 5
|리포트 =
|팀2 = [[대한민국 U-23]]
|골1 =
|골2 = '''[[박재홍]], [[설기현]], [[최철우]], [[고민기]], [[박동혁]]'''
|경기장 = 마리아예 경기장 (에스토니아)
|관중수 =
|심판 =
}}


{{footballbox
|날짜 = 1999년 8월 18일
|시간 =
|팀1 = [[체코 U-23]]
|득점 = 1 - 4
|리포트 =
|팀2 = [[대한민국 U-23]]
|골1 =
|골2 = '''[[박진섭]], [[박지성]], [[안효연]], [[나희근]]'''
|경기장 = 프로스테요프 구장 (체코)
|관중수 =
|심판 =
}}


{{footballbox
|날짜 = 1999년 9월 7일
|시간 =
|팀1 = [[일본 U-23]]
|득점 = 4 - 1
|리포트 =
|팀2 = [[대한민국 U-23]]
|골1 = '''[[후쿠다]], [[히라세]] (2), [[엔도]]'''
|골2 = '''[[최철우]]'''
|경기장 = [[도쿄국립경기장]]
|관중수 =
|심판 =
}}


{{footballbox
|날짜 = 1999년 9월 27일
|시간 =
|팀1 = [[대한민국 U-23]]
|득점 = 0 - 1
|리포트 =
|팀2 = [[일본 U-23]]
|골1 =
|골2 = '''[[후쿠다]]'''
|경기장 = [[잠실주경기장]]
|관중수 =
|심판 =
}}


{{footballbox
|날짜 = 1999년 10월 14일
|시간 =
|팀1 = [[사우디아라비아 U-23]]
|득점 = 1 - 3
|리포트 =
|팀2 = [[대한민국 U-23]]
|골1 = '''알 사위 (PK)'''
|골2 = '''[[이관우]], [[신병호]], [[박동혁]]'''
|경기장 = [[킹파드스타디움]] (사우디아라비아)
|관중수 =
|심판 =
}}


{{footballbox
|날짜 = 2000년 1월
|시간 =
|팀1 = [[뉴질랜드 U-23]]
|득점 = 1 - 2
|리포트 =
|팀2 = [[대한민국 U-23]]
|골1 =
|골2 = '''[[안효연]], [[설기현]]'''
|경기장 = 뉴질랜드
|관중수 =
|심판 =
}}


{{footballbox
|날짜 = 2000년 1월
|시간 =
|팀1 = [[뉴질랜드 U-23]]
|득점 = 1 - 5
|리포트 =
|팀2 = [[대한민국 U-23]]
|골1 =
|골2 = '''[[김대욱]], [[안효연]], [[김도균]], [[김승현]], [[최철우]]'''
|경기장 = 뉴질랜드
|관중수 =
|심판 =
}}
|}


== 본선 대표팀 선발과 최종 명단 ==
아시아예선을 통과한 시드니 올림픽대표팀의 본선 참가를 위해 대한축구협회는 2000년 8월 시드니 올림픽대표팀 최종 엔트리를 구성하였으니 이는 다음과 같다.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포지션 !! 이름 !! 당시 소속팀 !! 현 소속팀
|-
| colspan="4" bgcolor="white" | '''스탭진'''
|-
| '''감독''' || [[허정무]] || KFA || MBC 축구해설위원
|-
| rowspan="2" |'''코치 ''' || [[정해성]] || KFA || [[전남 드래곤즈]] 감독
|-
| [[김현태]] || KFA || [[인천 유나이티드]] GK 코치
|-
| colspan="4" bgcolor="white" | '''선수단'''
|-
| rowspan="2" |'''GK''' || [[김용대]] || [[연세대학교]] || [[FC GS]]
|-
| [[최현]] || [[중앙대학교]] || [[대전 시티즌]]
|-
| rowspan="6" |'''DF''' || [[박동혁]] || [[고려대학교]] || [[다렌 스더]] ([[CSL]])
|-
| [[박재홍]] || [[명지대학교]] || 인시 폴리스 유나이티드 FC (태국)
|-
| [[심재원]] || [[부산 아이콘스]] || 은퇴
|-
| [[조세권]] || [[고려대학교]] || 은퇴
|-
| [[이영표]] || [[안양 LG 치타스]] || 벤쿠버 화이트캡스 FC
|-
| [[박진섭]] || [[상무]] || [[미포조선 돌고래]]
|-
| rowspan="4" |'''MF'''|| [[박지성]] || [[교토 퍼플상가]] || [[퀸즈 파크 레인저스]] ([[EPL]])
|-
| [[김도균]] || [[울산 현대]] || 은퇴
|-
| [[이천수]] || [[고려대학교]] || 무소속
|-
| [[고종수]] || [[수원 삼성]] || [[수원 삼성]] 코치
|-
| rowspan="3" |'''FW''' || [[최철우]] || [[울산 현대]] || 은퇴
|-
| [[이동국]] || [[포항 스틸러스]] || [[전북 현대 모터스]]
|-
| [[최태욱]] || [[안양 LG 치타스]] || [[FC GS]]
|-
| colspan="4" bgcolor="white" | '''[[와일드카드]]'''
|-
| DF || [[강철]]<ref>본래 [[홍명보]]가 와일드카드였으나, 시드니올림픽 개최 직전 전지훈련에서 부상으로 강철로 교체되었다.</ref> || [[부천 SK]] || 은퇴
|-
| MF || [[김상식]] || [[성남 일화 천마]] || [[전북 현대 모터스]]
|-
| FW || [[김도훈]] || [[전북 현대 모터스]] || [[성남 일화]] 코치
|-
| colspan="4" bgcolor="white" | '''예비 엔트리'''
|-
| GK || [[이운재]] || [[상무]] || [[전남 드래곤즈]]
|-
| DF || [[송종국]] || [[연세대학교]] || 은퇴
|-
| MF || [[박강조]] || [[성남 일화 천마]] || [[비셀 고베]]
|-
| FW || [[김길식]] || [[단국대학교]] || 은퇴
|-
|}
※ 현 소속팀은 2012년 8월 1일 기준입니다.


== 본선대회 ==
=== 1차전 (對 스페인) ===
시드니 올림픽 B조에서 스페인, 모로코, 칠레와 경기를 가지게된 한국 올림픽대표팀은 스페인 U-23을 맞아, 2000년 9월 14일 호주 애들레이드에 위치한 [[하인마시스타디움]]에서 1차전을 가지게되었다. 하지만 이 경기에서 한국은 최악의 출발을 하고 말았으니.. [[홍명보]]를 대신해 와일드카드로 차출된 [[강철]]은 계속해서 스페인 선수들에게 뒷공간을 허용하다 전반 30여분 만에 교체아웃 되었고, 한국의 공격패턴은 단조롭기 그지없어 스페인에게 위협이 되지 못했다. 결국 전반에만 3골을 넣은 스페인은 후반부터 여유있는 플레이로 한국의 공격을 차단했고, 한국은 후반 30분경 [[박진섭]]을 투입하며 좌영표 우진섭 라인을 뒤늦게 가동했지만 스페인 골문에 별다른 위협이 되지못한채 경기를 마무리지었다. 결과는 '''0:3 패'''.


=== 2차전 (對 모로코) ===
한국 올림픽대표팀의 2차전 경기는 1차전으로부터 3일뒤인 17일, 1차전때와 동일한 [[하인마시스타디움]]에서 치루어졌다. 이 경기에서 한국은 모로코를 다득점으로 이겨야만 8강 진출의 희망을 엿볼수 있었는데.. 결국 슈팅 13개, 유효슈팅 6개를 퍼붓고도 후반 8분 터진 [[이천수]]의 골을 제외하고는 추가골이 터지지않아 아쉬움을 남겼다. 그나마 스페인전에 비해 강철은 와일드카드 다운 움직임을 보여주었고, 미드필더진이 살아남아 모로코를 압도했다는 점이 위안거리였다. 결과는 '''1:0 승'''.


=== 3차전 (對 칠레) ===
마지막 조별예선 3차전 경기는 칠레와의 일전이었다. 칠레는 1,2차전에서 스페인과 모로코를 잇달아 격파하며 이미 B조 1위를 확정지은 상태였고, 때문에 8강전 대비를 위해 주전 멤버중 4명을 3차전 스타팅에서 제외하는 여유를 보였다. 반면 한국은 칠레를 무조건 이기고, 모로코가 스페인과 최소한 비겨야만 8강행이 가능한 상황이었다. 한국은 모든 가용자원을 투입하며 칠레의 골문을 두드렸는데.. 전반 12분 [[이천수]]가 칠레의 곤살레스 선수를 가격해 퇴장을 당하면서 경기 주도권은 혼돈 양상으로 빠졌고, 결국 한국은 전반 [[이동국]]의 골을 제외하고는 이렇다할 찬스를 만들어내는데 실패하며 경기를 마무리지었다. 결과는 '''1:0 승'''. 10:11의 상황에서도 물러서지않고 승리를 따낸 한국 대표팀이었으나, 결국 B조 3위를 기록한 한국은 시드니 올림픽을 허망하게 마무리짓고 말았다.


{| class="collapsible collapsed plainlinks" width="100%"
! align="left" style="background-color: #eeeeee; margin: 0 auto; padding: 0 10px 0 10px; border: 1px solid #aaa; "| <p style="font-size:110%;"> 시드니 올림픽 본선 조별예선</p>
|-
|style="border: 1px #aaa solid;"|
{{footballbox
|날짜 = 2000년 9월 14일
|시간 =
|팀1 = [[대한민국 U-23]]
|득점 = 0 - 3
|리포트 =
|팀2 = [[스페인 U-23]]
|골1 =
|골2 = '''전 10 [[벨라마산]]''' <br/>'''전 26 [[호세 마리]]''' <br/> '''전 37 [[사비 에르난데스]]'''
|경기장 = 애들레이드
|관중수 =
|심판 =
}}


{{footballbox
|날짜 = 2000년 9월 17일
|시간 =
|팀1 = 대한민국 U-23
|득점 = 1 - 0
|리포트 =
|팀2 = 모로코 U-23
|골1 = '''후 52 [[이천수]]'''
|골2 =
|경기장 = 애들레이드
|관중수 =
|심판 =
}}


{{footballbox
|날짜 = 2000년 9월 20일
|시간 =
|팀1 = 대한민국 U-23
|득점 = 1 - 0
|리포트 =
|팀2 = 칠레 U-23
|골1 = '''전 27 [[이동국]]'''
|골2 =
|경기장 = 애들레이드
|관중수 =
|심판 =
}}
|}


=== 결과 요약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팀!!경기수!!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골득실!!승점
|- bgcolor="#ccffcc"
|align=left|{{국기그림|칠레}} '''[[칠레]]'''
|3||2||0||1||7||3||+4||'''6'''
|- bgcolor="#ccffcc"
|align=left|{{국기그림|스페인}} '''[[스페인]]'''
|3||2||0||1||6||3||+3||'''6'''
|-
|align=left|{{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3||2||0||1||2||3||-1||'''6'''
|-
|align=left|{{국기그림|모로코}} '''[[모로코]]'''
|3||0||0||3||1||7||-6||'''0'''
|}

* 2승 1패로 조별예선 3위 기록. 본선 조별예선 탈락.

= 같이 보기 =
* [[대한민국 월드컵 도전사]]

* [[올림픽 축구]]


= 참고 =
<references/>

[[분류:올림픽]]
rollbacks, 관리자

편집

9,731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