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3,321 바이트 추가됨 ,  2016년 2월 22일 (월) 00:26
새 문서: '''프로축구 산하 아마팀'''은 프로축구단 산하에 있던 별도의 아마추어 축구단에 대해 다룬 문서이다. ==프로축구 산하 아마팀의 역사== ==...
'''프로축구 산하 아마팀'''은 프로축구단 산하에 있던 별도의 아마추어 축구단에 대해 다룬 문서이다.

==프로축구 산하 아마팀의 역사==
===연이은 프로팀의 창단===
1983년 수퍼리그가 출범하고 1983년 수퍼리그의 인기에 힘입어 현대와 럭키금성이 연이어 프로팀 창단을 선언했고, 선수수급이 어려워지자 자구책으로 아마추어 팀을 함께 운영하는 방안으로 프로팀 산하의 아마추어팀을 두기 시작했다. <ref>부족한選手 스스로 키워 갖자 (1983년 08월 19일 동아일보)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308190020920901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3-08-19&officeId=00020&pageNo=9&printNo=19039&publishType=00020]</ref> 이는 강제성이 없는 각 구단의 자율이었다.
===체육부의 지시===
그러나 1983년 10월 28일 체육부는 1984년부터 신설 프로팀은 의무적으로 아마팀을 함께 운용하고 매게임 3~5명의 아마선수를 출전시키도록 의무화한다. 기존 프로팀인 [[할렐루야 축구단]]과 [[유공 코끼리 축구단]]은 아마팀 창단에 1년의 여유를 얻었다.<ref>슈퍼리그 아마선수 포함지시 각 球團 난색 (1984년 01월 26일 동아일보)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308190020920901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3-08-19&officeId=00020&pageNo=9&printNo=19039&publishType=00020]</ref>
체육부가 이와 같은 지시를 내린것은 [[1986년 서울 아시안게임]]과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유치하였고 당시에는 올림픽과 아시안게임은 [[아마추어리즘]]에 입각해 프로선수는 참가가 불가능 했기 때문이었다. <ref>하지만 1984년에 아마추어리즘 폐지가 거론되어왔으며 아시안게임은 1986년 서울대회부터 프로참가가 완전히 허용됐고, 1987년 이스탄불 IOC총회에서 올림픽의 프로선수의 참가가 한시적이라는 조건이 붙었지만 사실상 허용된다.</ref>
===체육부의 유권해석===
이후 프로팀내 산하 아마팀은 2군으로 운영되며 각종 아마대회에 출전했다. 하지만 이후에 체육부는 프로 산하 아마팀을 아마가 아닌 프로로 유권해석하며 협회가 개최하는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를 제외하고는 전국체전을 포함한 아마 대회에 참가가 불가능해진다.<ref>월드축구 1990년 4월호</ref> <del>니들이 아마추어팀 만들라며</del>
===2군리그 참가===
1990년 프로축구 2군리그가 창설되면서 프로 산하의 아마팀들은 '''프로 2군'''으로써 활약한다.
하지만 1년에 팀당 8경기에 불과했던 프로축구 2군리그는 1년만 시행되고 폐지된다.
===1990년 이후===
이후로 프로 산하의 아마팀은 프로팀의 2군으로 운영되며 오늘에 이른것으로 '''추정'''된다.<ref>각 구단별로 2군의 운영의 역사가 차이가 있다.</ref> 1990년대말에 들어서 실업축구가 침체에 이르면서 프로 2군은 실업축구연맹전에 참가가 가능해진다.
== 같이 보기 ==
* [[대우 아마축구단 목록]]
* [[포항제철 축구단(1984 아마)]]



== 외부링크 ==


== 참고 ==
<references/>
rollbacks, 관리자

편집

9,731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