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째 줄: |
1번째 줄: |
| [[File:오범석.jpg|300픽셀|섬네일|울산 시절 오범석]] | | [[File:오범석.jpg|300픽셀|섬네일|울산 시절 오범석]] |
− | '''오범석'''(吳範錫, 1984년 7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풀백이다. | + | '''오범석'''(吳範錫, 1984년 7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선수로, 2003년부터 [[K리그]]에서 활동한 [[사이드 풀백]]이다. |
| | | |
| |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 [[K리그 등록명|등록명]] : 오범석 | | * [[K리그 등록명|등록명]] : 오범석 |
| | | |
− | * 국적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 + | * 국적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
| | | |
| * 출생일 : 1984년 7월 29일 | | * 출생일 : 1984년 7월 29일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 [[2010년 FIFA 남아공 월드컵]] 본선 대표 | | : [[2010년 FIFA 남아공 월드컵]] 본선 대표 |
| : [[2014년 FIFA 브라질 월드컵]] 아시아예선 대표 | | : [[2014년 FIFA 브라질 월드컵]] 아시아예선 대표 |
− | : '''(통산 [[A매치]] 43경기 출장 2골)''' | + |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 통산 [[A매치]] 43경기 출장 2골)''' |
| + | : '''([[대한민국 U-23 국가대표]] 4경기 출장 1골)''' |
| + | : '''([[대한민국 U-20 국가대표]] 11경기 출장)''' |
| | | |
− | * 현 소속팀 : 항저우 뤼청 | + | * 수상 경력 |
| + | : 2013년 [[시즌 베스트 11|K리그 챌린지 시즌 베스트 일레븐]] DF 부문 선정 |
| | | |
− | * [[등번호]] : - | + | * 현 소속팀 : {{국기그림|중국}} 항저우 뤼청 |
| | | |
| + | * [[등번호]] : 32 |
| {{col-3}} | | {{col-3}} |
− | * K리그 기록 | + | * K리그 기록 |
− |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8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 |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 |- style="background:#C0C0C0" | | |- style="background:#C0C0C0" |
− | !소속팀 !! 리그!!연도 !! 출장 !! 교체 !! 득점 !! 도움 !! 경고 !! 퇴장 | + | ! 연도 !! 소속팀 !! 리그 !! 출장 !! 교체 !! 득점 !! 도움 !! 경고 !! 퇴장 |
| |- | | |- |
− | |rowspan=5| [[포항 스틸러스]] ||rowspan=9|K리그|| 2003 ||1||1 || 0||0||0 ||0 | + | | 2003 || {{팀/포항|1|연속=5}} || rowspan=9|K리그 || 1||1 || 0||0||0 ||0 |
| |- | | |- |
| | 2004 ||25 ||7 || 1||0 ||3||0 | | | 2004 ||25 ||7 || 1||0 ||3||0 |
51번째 줄: |
55번째 줄: |
| | 2007||16 ||8 || 0||0 ||6 ||0 | | | 2007||16 ||8 || 0||0 ||6 ||0 |
| |- | | |- |
− | | rowspan=2| [[울산 현대]] || 2009 ||14||1 || 0||0 ||2||0 | + | | 2009 || {{팀/울산|1|연속=2}} ||14||1 || 0||0 ||2||0 |
| |- | | |- |
− | | 2010 ||21 ||3 || 0||2 ||5||0 | + | | 2010 ||21 ||3 || 0||2 ||5||0 |
| |- | | |- |
− | |rowspan=2| [[수원 삼성 블루윙즈]] || 2011 ||29 ||3 || 0||1 ||6||0 | + | | 2011 || {{팀/수원|1|연속=2}} ||29 ||3 || 0||1 ||6||0 |
| |- | | |- |
| | 2012 ||39 || 1||0||1 ||11||0 | | | 2012 ||39 || 1||0||1 ||11||0 |
| |- | | |- |
− | | [[경찰 축구단]] ||rowspan=2|챌린지|| 2013 ||23 ||3 || 2||2 ||10||0 | + | | 2013 || {{팀/경찰|1}} ||rowspan=2|챌린지|| 23 ||3 || 2||2 ||10||0 |
| |- | | |- |
− | | [[안산경찰청 축구단]] || 2014 ||16||1 || 2||0 ||9||0 | + | | rowspan=2|2014 || {{팀/안산|1}} || 16||1 || 2||0 ||9||0 |
| |- | | |- |
− | | rowspan=2| [[수원 삼성 블루윙즈]] || rowspan=2|클래식|| 2014 ||11||1 || 0||0 ||2||0 | + | | {{팀/수원|1|연속=2}} || rowspan=2|클래식|| 11||1 || 0||0 ||2||0 |
| |- | | |- |
− | | 2015 || 29 || 5 || 1 || 1 || 9 || 0 | + | | 2015 || 29 || 5 || 1 || 1 || 9 || 0 |
− | |- | + | |- style="background:#C0C0C0" |
− | ! rowspan=2|통산 ([[K리그]]) ||클래식||- ||251 || 39 || 10 || 7 || 61 ||0 | + | ! rowspan=2|통산 ||colspan=2| [[K리그 클래식]] || 251 || 39 || 10 || 7 || 61 ||0 |
− | |- | + | |- style="background:#C0C0C0" |
− | ! 챌린지||- ||39|| 4 || 4||2 ||19||0 | + | ! colspan=2| [[K리그 챌린지]] ||39|| 4 || 4||2 ||19||0 |
| |} | | |} |
− | :[[K리그]] 통산 기록은 [[리그컵]]기록 포함. 2016년 1월 1일 기준 | + | :[[K리그]] 통산 기록은 [[리그컵]] 기록 포함. 2016년 3월 1일 기준 |
| :{{연맹선수기록|ID=20030104}} | | :{{연맹선수기록|ID=20030104}} |
| {{col-end}} | | {{col-end}} |
| | | |
| | | |
− | = 유소년 시절 = | + | == 유소년 시절 == |
| 옥동초등학교, 학성중학교,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머리를 잘 써 상대 선수를 잘 피해 다니며 오버래핑을 하여 꾀돌이를 뜻하는 포르투갈어인 '사까나시 (Sacanage, 사카나지. 어감이 좀......)'라는 별명이 붙었다. 터프한 플레이로 지능적이고 꼭 필요한 상황에서 반칙을 많이 범하여 '반칙왕'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하였다. | | 옥동초등학교, 학성중학교,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머리를 잘 써 상대 선수를 잘 피해 다니며 오버래핑을 하여 꾀돌이를 뜻하는 포르투갈어인 '사까나시 (Sacanage, 사카나지. 어감이 좀......)'라는 별명이 붙었다. 터프한 플레이로 지능적이고 꼭 필요한 상황에서 반칙을 많이 범하여 '반칙왕'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하였다. |
| | | |
| | | |
− | = 프로 생활 = | + | == 프로 생활 == |
− | == 포항 스틸러스 시절 == | + | === 포항 스틸러스 시절 === |
| 2003년 포항제철고 출신답게 연고 구단인 [[포항 스틸러스]]에 입단했다. [[최순호]] 감독은 오범석을 유틸리티 플레이어로 활용했고, 오범석은 기대에 부응하듯이 오른쪽 풀백과 중앙 미드필더 및 수비수를 오가며 맹활약했다. 당시에는 [[이영표]]를 이을 차세대 측면 수비수라 평가받기도 하였다. 오범석은 이를 바탕으로 2004년 K리그 준우승에 공헌하였다. 이후 오범석은 기복없이 꾸준히 2007년까지 포항에서 활약하면서 국가대표에도 뽑히는 등 성공적인 생활을 이어나갔다. | | 2003년 포항제철고 출신답게 연고 구단인 [[포항 스틸러스]]에 입단했다. [[최순호]] 감독은 오범석을 유틸리티 플레이어로 활용했고, 오범석은 기대에 부응하듯이 오른쪽 풀백과 중앙 미드필더 및 수비수를 오가며 맹활약했다. 당시에는 [[이영표]]를 이을 차세대 측면 수비수라 평가받기도 하였다. 오범석은 이를 바탕으로 2004년 K리그 준우승에 공헌하였다. 이후 오범석은 기복없이 꾸준히 2007년까지 포항에서 활약하면서 국가대표에도 뽑히는 등 성공적인 생활을 이어나갔다. |
| | | |
| | | |
− | == 요코하마 FC 시절 == | + | === 요코하마 FC 시절 === |
| 포항에서 맹활약하던 오범석에게 가장 손을 내민 것은 일본 [[J리그]]의 [[요코하마 FC]]였다. 오범석은 새로운 도전을 원했고, 포항은 2007년 7월, 1년 임대의 형식으로 오범석을 요코하마에 보냈다, 그러나 시민구단인 요코하마 FC는 약체 팀이었고, 시즌 중반 감독마저 포풍 경질을 당하면서, 팀은 최하위를 마크하면서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 | 포항에서 맹활약하던 오범석에게 가장 손을 내민 것은 일본 [[J리그]]의 [[요코하마 FC]]였다. 오범석은 새로운 도전을 원했고, 포항은 2007년 7월, 1년 임대의 형식으로 오범석을 요코하마에 보냈다, 그러나 시민구단인 요코하마 FC는 약체 팀이었고, 시즌 중반 감독마저 포풍 경질을 당하면서, 팀은 최하위를 마크하면서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
| | | |
| | | |
− | == 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시절 == | + | === 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시절 === |
| 일본에서의 활약에 자극을 받은 오범석은 2008년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의 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로의 이적을 추진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성남 일화 천마]]로의 이적을 추진하던 포항 스틸러스와 마찰을 빚었다. 포항 스틸러스측과 오범석측은 각각 '임의탈퇴'와 'FIFA 제소'라는 강경책을 내세워 대립하였고, 결국 포항 스틸러스가 이적동의서를 발급하면서 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로 완전 이적하였다.<REF> 여기서 포항은 성남에게 꼼짝없이 위약금을 물어주게 되게 생겼는데, [[정성룡]]의 이적료에서 이 위약금을 빼면서 이를 상쇄하였다</REF> 이 과정에서 포항과 성남의 팬들에게 많은 비난을 받기도 하였다. 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로 이적한 이후 데뷔전 상대로 FC 테레크 그로즈니를 맞아 '최우수선수'에 선정되는 등 주전 선수로 뛰며 좋은 활약을 펼쳤지만, 2009 시즌엔 로만 시스킨에게 주전 경쟁에서 밀리며 많은 기회를 잡지 못하였다. 2008시즌 [[제니트]] 시절 아나톨리 티모슈크에게 철저하게 밀린 [[이호1|이호]]의 전철을 그대로 밟고 말았다. 결국 오범석은 1년 반만에 국내로 돌아올수 밖에 없게 되었다. | | 일본에서의 활약에 자극을 받은 오범석은 2008년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의 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로의 이적을 추진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성남 일화 천마]]로의 이적을 추진하던 포항 스틸러스와 마찰을 빚었다. 포항 스틸러스측과 오범석측은 각각 '임의탈퇴'와 'FIFA 제소'라는 강경책을 내세워 대립하였고, 결국 포항 스틸러스가 이적동의서를 발급하면서 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로 완전 이적하였다.<REF> 여기서 포항은 성남에게 꼼짝없이 위약금을 물어주게 되게 생겼는데, [[정성룡]]의 이적료에서 이 위약금을 빼면서 이를 상쇄하였다</REF> 이 과정에서 포항과 성남의 팬들에게 많은 비난을 받기도 하였다. 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로 이적한 이후 데뷔전 상대로 FC 테레크 그로즈니를 맞아 '최우수선수'에 선정되는 등 주전 선수로 뛰며 좋은 활약을 펼쳤지만, 2009 시즌엔 로만 시스킨에게 주전 경쟁에서 밀리며 많은 기회를 잡지 못하였다. 2008시즌 [[제니트]] 시절 아나톨리 티모슈크에게 철저하게 밀린 [[이호1|이호]]의 전철을 그대로 밟고 말았다. 결국 오범석은 1년 반만에 국내로 돌아올수 밖에 없게 되었다. |
| | | |
| | | |
− | == 울산 현대 시절 == | + | === 울산 현대 시절 === |
| 2009년 7월 K리그의 울산 현대 호랑이에 입단하며 국내에 복귀한 오범석은 포항에서와 마찬가지로 안정된 활약을 보여주었다. 울산에서 오범석은 포항에서 뛰던 시절보다 더 공격적인 플레이를 펼쳤고, 이는 공격 다변화를 꾀하던 울산에 호재로 다가왔다.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오범석은 [[2010 남아공 월드컵]] 국가대표에도 선발되는 등 좋은 활약을 보였다.<REF> 하지만 월드컵 B조 예선 아르헨티나와의 경기에서 오범석은 메시만을 따라다니다 다른 선수들을 놓쳤고, 대한민국은 1-4 대패를 당하고 말았다. 당시의 네티즌들은 동점골 기회를 날려먹은 염기훈과 함께 오-염라인으로 불렀다 </REF> | | 2009년 7월 K리그의 울산 현대 호랑이에 입단하며 국내에 복귀한 오범석은 포항에서와 마찬가지로 안정된 활약을 보여주었다. 울산에서 오범석은 포항에서 뛰던 시절보다 더 공격적인 플레이를 펼쳤고, 이는 공격 다변화를 꾀하던 울산에 호재로 다가왔다.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오범석은 [[2010 남아공 월드컵]] 국가대표에도 선발되는 등 좋은 활약을 보였다.<REF> 하지만 월드컵 B조 예선 아르헨티나와의 경기에서 오범석은 메시만을 따라다니다 다른 선수들을 놓쳤고, 대한민국은 1-4 대패를 당하고 말았다. 당시의 네티즌들은 동점골 기회를 날려먹은 염기훈과 함께 오-염라인으로 불렀다 </REF> |
| | | |
| | | |
−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시절 == | +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시절 === |
| [[윤성효]] 감독 부임 이후 오른쪽 수비를 맡았던 [[송종국]]이 떠나고 이를 뒷받침해주던 [[조원희]]마저 떠나자 우측면 수비자원이 부족해진 수원은 오범석의 영입을 줄기차게 요구해 왔으며, 결국 2011년 1월 10일, [[강민수]]와 트레이드 되어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이적하였다. | | [[윤성효]] 감독 부임 이후 오른쪽 수비를 맡았던 [[송종국]]이 떠나고 이를 뒷받침해주던 [[조원희]]마저 떠나자 우측면 수비자원이 부족해진 수원은 오범석의 영입을 줄기차게 요구해 왔으며, 결국 2011년 1월 10일, [[강민수]]와 트레이드 되어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이적하였다. |
| | | |
| | | |
− | *'''[[강민수]]'''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오범석]]''' ('''울산 현대''') | + | *'''[[강민수]]''' ('''{{팀/수원}}''') ↔ '''[[오범석]]''' ('''{{팀/울산}}''') |
| | | |
| | | |
109번째 줄: |
113번째 줄: |
| | | |
| | | |
− | == 항저우 뤼청 시절 == | + | === 항저우 뤼청 시절 === |
| 2015 시즌이 종료하고 FA 자격을 얻은 오범석은 [[홍명보]] 감독이 부임한 [[중국 슈퍼리그]]의 항저우 뤼청으로 연장 옵션이 있는 1년 계약으로 이적하였다. | | 2015 시즌이 종료하고 FA 자격을 얻은 오범석은 [[홍명보]] 감독이 부임한 [[중국 슈퍼리그]]의 항저우 뤼청으로 연장 옵션이 있는 1년 계약으로 이적하였다. |
| | | |
| | | |
− | = 플레이 스타일 = | + | == 플레이 스타일 == |
| 수비 상황에서 영리하게 상대 선수들을 방어하는 것이 특기이다. 스피드도 준수하여 측면 수비수로 좋은 활약을 하였고 전술 이해도가 높아 오범석을 지휘한 감독들은 여러 포지션이 기용하기도 하였다. 측면 수비수 이외에도 수비형 미드필더나 중앙 수비수까지 준수하게 수행하는 것이 특징.<ref>2015년, 수비형 미드필더로 출전하여 경기력이 좋지 못하였지만 전임 감독인 [[윤성효]] 아래에서는 센터백은 물론 수비형 미드필더까지 무난하게 수행하였다.</ref> 심지어 [[경찰청 축구단]] 시절에는 '''공격형 미드필더'''까지 했다고 한다. 그러나 30대가 넘어서면서 이러한 유틸성이 떨어지고 손을 많이 써서 반칙을 자주 범하는 것이 아쉬운 점. | | 수비 상황에서 영리하게 상대 선수들을 방어하는 것이 특기이다. 스피드도 준수하여 측면 수비수로 좋은 활약을 하였고 전술 이해도가 높아 오범석을 지휘한 감독들은 여러 포지션이 기용하기도 하였다. 측면 수비수 이외에도 수비형 미드필더나 중앙 수비수까지 준수하게 수행하는 것이 특징.<ref>2015년, 수비형 미드필더로 출전하여 경기력이 좋지 못하였지만 전임 감독인 [[윤성효]] 아래에서는 센터백은 물론 수비형 미드필더까지 무난하게 수행하였다.</ref> 심지어 [[경찰청 축구단]] 시절에는 '''공격형 미드필더'''까지 했다고 한다. 그러나 30대가 넘어서면서 이러한 유틸성이 떨어지고 손을 많이 써서 반칙을 자주 범하는 것이 아쉬운 점. |
| | | |
| | | |
| | | |
− | = 국가대표 생활 = | + | == 국가대표 생활 == |
| 2005년 1월 16일, [[콜롬비아]]와의 친선경기에서 A매치 데뷔전을 치루었으며,, 2007년 AFC 아시안컵은 물론 2010년 FIFA 남아공 월드컵 본선 무대에도 참가하며 국가대표 내 사이드 풀백 자원으로 오랜 시간 활약하였다. 한 때 [[송종국]]의 뒤를 이어 국가대표팀의 차세대 오른쪽 풀백을 맡을 적임자로 지목되기도 하였는데.. 2010년 남아공 월드컵 본선 무대에서 세계 최정상급 선수들을 상대로 실망스러운 모습을 보여준 뒤 국내 여론의 뭇매를 맞았고, 이후 국가대표에서 얼굴을 보기 힘들어지고 있다. | | 2005년 1월 16일, [[콜롬비아]]와의 친선경기에서 A매치 데뷔전을 치루었으며,, 2007년 AFC 아시안컵은 물론 2010년 FIFA 남아공 월드컵 본선 무대에도 참가하며 국가대표 내 사이드 풀백 자원으로 오랜 시간 활약하였다. 한 때 [[송종국]]의 뒤를 이어 국가대표팀의 차세대 오른쪽 풀백을 맡을 적임자로 지목되기도 하였는데.. 2010년 남아공 월드컵 본선 무대에서 세계 최정상급 선수들을 상대로 실망스러운 모습을 보여준 뒤 국내 여론의 뭇매를 맞았고, 이후 국가대표에서 얼굴을 보기 힘들어지고 있다. |
| | | |
| | | |
| | | |
− | = 에피소드 = | + | == 에피소드 == |
| * 오범석의 아버지는 [[오세권]]으로, 과거 축구선수로 활약했으며 포지션은 [[골키퍼]]였다. 은퇴 이후에 대한축구협회 기술위원과 내셔널리그 사무국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김희태축구센터에서 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오범석이 [[국대]]에서 잘 못하면 심심하면 아버지가 언급되기도 했다. 기술위원이라는 자리가 국대설발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할 만큼 막강한 자리가 아니다. | | * 오범석의 아버지는 [[오세권]]으로, 과거 축구선수로 활약했으며 포지션은 [[골키퍼]]였다. 은퇴 이후에 대한축구협회 기술위원과 내셔널리그 사무국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김희태축구센터에서 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오범석이 [[국대]]에서 잘 못하면 심심하면 아버지가 언급되기도 했다. 기술위원이라는 자리가 국대설발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할 만큼 막강한 자리가 아니다. |
| | | |
135번째 줄: |
139번째 줄: |
| | | |
| | | |
− | = 경력 = | + | == 경력 == |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 |- style="background:#C0C0C0" | | |- style="background:#C0C0C0" |
| ! 시즌 !! 소속팀 !! 리그 !! 비고 | | ! 시즌 !! 소속팀 !! 리그 !! 비고 |
| |- | | |- |
− | | 2003 ~ 2007 || {{국기그림|대한민국}} [[포항 스틸러스]] || [[K리그]] || | + | | 2003 ~ 2007 || {{팀/포항}} || [[K리그]] || |
− | |- | + | |-bgcolor=#f0fff0 |
| | → 2007 || {{국기그림|일본}} 요코하마 FC || [[J리그]] || 임대 | | | → 2007 || {{국기그림|일본}} 요코하마 FC || [[J리그]] || 임대 |
| |- | | |- |
| | 2008 ~ 2009 || {{국기그림|러시아}} Krylia Sovetov || Russian Premier League || | | | 2008 ~ 2009 || {{국기그림|러시아}} Krylia Sovetov || Russian Premier League || |
| |- | | |- |
− | | 2009 ~ 2010 || {{국기그림|대한민국}} [[울산 현대]] || [[K리그]] || | + | | 2009 ~ 2010 || {{팀/울산}} || [[K리그]] || |
| |- | | |- |
− | | 2011 ~ 2015 || {{국기그림|대한민국}} [[수원 삼성 블루윙즈]] || [[K리그 클래식]] || | + | | 2011 ~ 2015 || {{팀/수원}} || [[K리그]], [[K리그 클래식]] || |
− | |- | + | |-bgcolor=#F6FFCC |
− | | → 2013 ~ 2014 || {{국기그림|대한민국}} [[경찰청 축구단]] → [[안산 경찰청]] || [[K리그 챌린지]] || 병역 | + | | → 2013 ~ 2014 || {{팀/경찰}} → {{팀/안산}} || [[K리그 챌린지]] || 군복무 |
| |- | | |- |
− | | 2016 ~ || {{국기그림|중국}} 항저우 뤼청 || [[중국 슈퍼리그]] || | + | | 2016 ~ 현재 || {{국기그림|중국}} 항저우 뤼청 || [[중국 슈퍼리그]]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