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750 바이트 추가됨 ,  2016년 3월 23일 (수) 15:00
편집 요약 없음
8번째 줄: 8번째 줄:     
== 사용 ==
 
== 사용 ==
목포에서 전국체전, 전남도체전 등이 열릴 때마다 육상 종목 경기장으로 쓰였으며 1997년에는, 개항 100주년을 기념하는 열린음악회 행사가 열리기도 했다. 이후 2006년에는 6.15남북공동선언을 기념해 목포를 방문한 북한공연단이 이곳에서 음악단 공연을 펼쳤으며 2007년 제11회 한·일청소년 하계 스포츠 교류행사가 열리기도 했다.  
+
목포에서 전국체전, 전남도체전 등이 열릴 때마다 육상 종목 경기장으로 쓰였으며 1997년에는, 개항 100주년을 기념하는 열린음악회 행사가 열리기도 했다. 이후 2006년에는 6.15남북공동선언을 기념해 목포를 방문한 북한공연단이 이곳에서 음악단 공연을 펼쳤으며 2007년 제11회 한·일청소년 하계 스포츠 교류행사가 열리기도 했다. 이러한 공식적인 행사와 별개로 매일 아침, 저녁으로 하루 2회 일반에 내부를 개방되며, 개방 시간은 오전 6시 ~ 8시와 오후 6시 ~ 10시다. 다만 동계에는 전지 훈련차 목포를 찾은 선수들의 훈련이 많이 있기 때문에 시 당국에서 이를 조절하는 경우가 잦다.  
      −
== 외부 개방 ==
+
== K리그 ==
아침, 저녁으로 하루 2회 일반에 내부를 개방되며, 개방 시간은 오전 6시 ~ 8시와 오후 6시 ~ 10시다. 다만 동계에는 전지 훈련차 목포를 찾은 선수들의 훈련이 많이 있기 때문에 시 당국에서 이를 조절하는 경우가 잦다.  
+
연고지 홈&어웨이가 명확하게 정착되지 않았던 시기, 목포에서도 곧잘 K리그 경기가 치러지곤 하였다. 특히 [[전남 드래곤즈]]는 창단 이후 목포에서도 곧잘 경기를 개최하곤 하였다. 이후 2015년 [[광주 FC]]가 하계유니버시아드 준비로 [[광주월드컵경기장]]을 사용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2015년 4월 12일(對 전북 현대 모터스), 4월 18일(對 성남 FC), 4월 26일(對 FC GS) 광주 홈경기를 목포 유달경기장에서 치렀던바 있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2/09/0200000000AKR20150209092200054.HTML?input=1179m 목포국제축구센터-광주FC 시설사용협약]</ref>
     
익명 사용자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