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558 바이트 추가됨 ,  2016년 5월 18일 (수) 02:02
잔글
편집 요약 없음
17번째 줄: 17번째 줄:  
* 이름 : '''김현성'''
 
* 이름 : '''김현성'''
   −
* [[K-리그 등록명|등록명]] : 김현성
+
* [[K리그 등록명|등록명]] : 김현성
    
* 생년월일 : 1989년 9월 27일
 
* 생년월일 : 1989년 9월 27일
29번째 줄: 29번째 줄:  
* 국가대표 경력 : [[2012 런던 올림픽]] 본선 대표
 
* 국가대표 경력 : [[2012 런던 올림픽]] 본선 대표
   −
* 현 소속팀 : FC GS
+
* 현 소속팀 : {{팀/부산}}
   −
* [[등번호]] :  
+
* [[등번호]] : 9
    
{{col-3}}
 
{{col-3}}
48번째 줄: 48번째 줄:  
|-
 
|-
 
| [[FC GS]] || 2013 ||17 || - || 1 || 1 || -  || -
 
| [[FC GS]] || 2013 ||17 || - || 1 || 1 || -  || -
 +
|-
 +
| [[FC GS]] || 2014 || || || || || ||
 +
|-
 +
| [[FC GS]] || 2015 || || || || || ||
 +
|-
 +
| [[부산 아이파크]] || 2016 || || || || || ||
 
|-
 
|-
 
! 통산(K리그) ||-||52||28||9||2|| 4||0
 
! 통산(K리그) ||-||52||28||9||2|| 4||0
63번째 줄: 69번째 줄:  
프로 입단 후에는 GS 수석코치였던 [[이영진]]의 조련을 받았으며, 2010년 이영진 씨가 [[대구 FC]]의 제3대 감독으로 부임한 후, 김선수도 [[온병훈]], [[송제헌]] 선수 등과 함께 낙점을 받아 대구에 입단하게 되었다.<ref>당시 이영진 감독은 R리그에 뛰는 재능있는 젊은 자원들을 적극 대구에 수혈하였고, 이들은 상당수 대구의 주축 자원으로 성장하였다.</ref> 이 때 김현성 선수의 경우는 FC GS 가 1년 임대 형식으로 [[대구 FC]]에 입단시켰으며, 2011시즌에도 임대 연장에 합의해 총 2년동안 대구에서 활약했다. 2010년, 대구에서 총 10경기를 출장하였으며 10월 3일 對 [[부산 아이파크]]와의 경기에서 데뷔골을 기록하기도. 이듬해인 2011년에도 대구에서 활약했는데 시즌 대부분 경기를 소화하며 7골 2도움을 기록, 대구의 주 득점원으로 대활약했다. 특히 8월 발표된 [[2012년 런던 올림픽대표]] 강화훈련 명단에도 김현성 선수가 발탁되면서 김현성 선수의 장래가 더욱 기대받고 있다. 대구 측에서는 김현성 선수를 완전이적 시키기 위해 온갖 달콤한 유혹(?)을 했으나 아쉽게도 2011시즌 종료 후, 원소속구단인 GS로 복귀하였다.
 
프로 입단 후에는 GS 수석코치였던 [[이영진]]의 조련을 받았으며, 2010년 이영진 씨가 [[대구 FC]]의 제3대 감독으로 부임한 후, 김선수도 [[온병훈]], [[송제헌]] 선수 등과 함께 낙점을 받아 대구에 입단하게 되었다.<ref>당시 이영진 감독은 R리그에 뛰는 재능있는 젊은 자원들을 적극 대구에 수혈하였고, 이들은 상당수 대구의 주축 자원으로 성장하였다.</ref> 이 때 김현성 선수의 경우는 FC GS 가 1년 임대 형식으로 [[대구 FC]]에 입단시켰으며, 2011시즌에도 임대 연장에 합의해 총 2년동안 대구에서 활약했다. 2010년, 대구에서 총 10경기를 출장하였으며 10월 3일 對 [[부산 아이파크]]와의 경기에서 데뷔골을 기록하기도. 이듬해인 2011년에도 대구에서 활약했는데 시즌 대부분 경기를 소화하며 7골 2도움을 기록, 대구의 주 득점원으로 대활약했다. 특히 8월 발표된 [[2012년 런던 올림픽대표]] 강화훈련 명단에도 김현성 선수가 발탁되면서 김현성 선수의 장래가 더욱 기대받고 있다. 대구 측에서는 김현성 선수를 완전이적 시키기 위해 온갖 달콤한 유혹(?)을 했으나 아쉽게도 2011시즌 종료 후, 원소속구단인 GS로 복귀하였다.
   −
GS 복귀 이후에는 [[데얀]], [[정조국]] 등에 밀려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고있으며, 2012시즌 6개월동안 일본 J리그 팀인 시미즈S-펄스에 임대되기도 하였으나, 시미즈에서는 17경기에 나서 3골을 기록 후 GS로 복귀하였다. 13시즌 현재에도 여전히 GS에서 서브 신세다. 그래도 14시즌에는 [[데얀]]도 없고 [[몰리나]]도 전력외 취급인데다가 [[하대성]]도 떠났기때문에 전술의 변경이 불가피한데 [[최용수]]감독이 여러 실험도중 김현성을 중심으로도 전술을 실험해봤다고 한다. 아주 약간이나마 기대되기도...<del>[[고요한]],[[윤일록]]을 비롯한 측면들을 중심으로도 실험했다. 너무 기대는 말자.</del>
+
GS 복귀 이후에는 [[데얀]], [[정조국]] 등에 밀려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고있으며, 2012시즌 6개월동안 일본 J리그 팀인 시미즈S-펄스에 임대되기도 하였으나, 시미즈에서는 17경기에 나서 3골을 기록 후 GS로 복귀하였다. 13시즌 현재에도 여전히 GS에서 서브 신세다. 그래도 14시즌에는 [[데얀]]도 없고 [[몰리나]]도 전력외 취급인데다가 [[하대성]]도 떠났기때문에 전술의 변경이 불가피한데 [[최용수]]감독이 여러 실험도중 김현성을 중심으로도 전술을 실험해봤다고 한다. 아주 약간이나마 기대되기도...<del>[[고요한]],[[윤일록]]을 비롯한 측면들을 중심으로도 실험했다. 너무 기대는 말자.</del> 15시즌에도 로테이션 멤버로 시즌을 시작하여 선발 출장기회는 많이 주어지지 않았음에도 17경기 4골이라는 나쁘지 않은 성적을 올렸지만, 여전히 팀 주전으로 자리잡지는 못했다.
 +
 
 +
 
 +
결국, 2016 시즌을 앞두고 [[주세종]] 선수와 트레이드 되어 [[부산 아이파크]]로 이적하게 되었다.
      71번째 줄: 80번째 줄:     
== 경력 ==
 
== 경력 ==
* 2009 ~ 현재 : [[FC GS]]
+
* 2009 ~ 2014 : {{팀/GS}}
   −
* 2010 ~ 2011 : [[대구 FC]] / K리그 (임대)
+
* 2010 ~ 2011 : {{팀/대구}} / K리그 (임대)
    
* 2012.8 ~ 2012.12 : 시미즈 S-펄스 / J리그 (임대)
 
* 2012.8 ~ 2012.12 : 시미즈 S-펄스 / J리그 (임대)
   −
* 2012.12 ~ 현재
+
* 2016 ~ : {{팀/부산}} / K리그 챌린지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
== 외부 링크 ==
         
== 참고 ==
 
== 참고 ==
 
<references/>
 
<references/>
[[분류:1989년생]][[분류:동북고등학교의 선수]][[분류:건국대학교의 선수]][[분류:2009년 드래프트 지명자]][[분류:대구 FC의 선수]][[분류:해외진출 선수]]
+
[[분류:1989년생]][[분류:동북고등학교의 선수]][[분류:건국대학교의 선수]][[분류:2009년 드래프트 지명자]][[분류:대구 FC의 선수]][[분류:부산 아이파크의 선수]][[분류:해외진출 선수]]
사무관, rollbacks, 관리자

편집

5,728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