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째 줄: |
1번째 줄: |
− | [[File:조성진.png|380픽셀|섬네일|<center>수원 삼성 블루윙즈 시절 조성진</center>]] | + | [[File:조성진.png|300픽셀|섬네일|<center>수원 삼성 블루윙즈 시절 조성진</center>]] |
− | '''조성진'''(1990년 12월 4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선수로 2014년부터 [[K리그 클래식]]에서 활동하고 있는 [[센터백]]이다. | + | '''조성진''' (1990년 12월 4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2014년부터 [[K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는 [[중앙 수비수]]이다. |
| | | |
| |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 신체 : 187cm / 78kg | | * 신체 : 187cm / 78kg |
| | | |
− | * 유스클럽 : [[유성생명과학고등학교]] 졸업 | + | * 학력 : [[유성생명과학고등학교]] 졸업 |
| | | |
− | * 포지션 : '''[[센터백]]''', [[수비형 미드필더]] | + | * 포지션 : [[중앙 수비수]]ㆍ[[수비형 미드필더]] |
| | | |
| * 현 소속팀 : {{팀/안산}} | | * 현 소속팀 : {{팀/안산}} |
31번째 줄: |
31번째 줄: |
| ! 연도 !! 소속팀 !! 리그 !! 출장 !! 교체 !! 득점 !! 도움 !! 경고 !! 퇴장 | | ! 연도 !! 소속팀 !! 리그 !! 출장 !! 교체 !! 득점 !! 도움 !! 경고 !! 퇴장 |
| |- | | |- |
− | | 2014 || {{팀/수원|1|연속=2}} || rowspan="2"|클래식|| 37|| 0||0 || 0|| 3||0 | + | | 2014 || rowspan=2{{팀/수원|1}} || rowspan=2|클래식|| 37|| 0||0 || 0|| 3||0 |
| |- | | |- |
| | 2015 ||29|| 2||3|| 0|| 11||0 | | | 2015 ||29|| 2||3|| 0|| 11||0 |
| |- | | |- |
− | | 2016 || {{팀/안산}} || 챌린지 || 0 || 0 || 0 || 0 || 0 || 0 | + | | 2016 || {{팀/안산|1}} || 챌린지 || 0 || 0 || 0 || 0 || 0 || 0 |
| |- style="background:#C0C0C0" | | |- style="background:#C0C0C0" |
− | ! rowspan=2|통산 ||colspan=2| [[K리그 클래식]] || 66|| 2||3 || 0|| 14||0 | + | ! rowspan=2|통산 ||colspan=2| [[K리그 클래식]] || 66|| 2||3 || 0|| 14||0 |
| |-style="background:#C0C0C0" | | |-style="background:#C0C0C0" |
− | ! colspan=2| [[K리그 챌린지]] || 0 || 0 || 0 || 0 || 0 || 0 | + | ! colspan=2| [[K리그 챌린지]] || 0 || 0 || 0 || 0 || 0 || 0 |
| |} | | |} |
− | :[[K리그]] 통산 기록은 [[리그컵]] 기록 포함. 2016년 1월 1일 기준 | + | :[[K리그]] 통산 기록은 [[리그컵]] 기록 포함. 2016년 3월 1일 기준 |
| :{{연맹선수기록|ID=20140076}} | | :{{연맹선수기록|ID=20140076}} |
| {{col-end}} | | {{col-end}} |
59번째 줄: |
59번째 줄: |
| 2015년, 조성진은 작년과 같이 수비라인의 주축이 될 것으로 보이며 시즌 첫 경기인 [[AFC 챔피언스리그]] 조별예선 [[우라와 레즈]]와 경기와 이후 펼쳐진 [[베이징 궈안]]과의 경기, [[K리그 클래식]] 경기에 [[양상민]]과 [[민상기]]와 호흡을 맞추며 꾸준히 출전하였다. 시즌 초반에 조성진은 작년과 같은 안정적인 수비력을 보여주었으나 이후 펼쳐진 경기들에서는 집중력이 다소 떨어진 듯한 모습으로 상대 선수를 놓치는 모습을 종종 보여주는 모습을 보였다. 이후 [[서정원]] 감독은 수비 자원의 로테이션을 구상하였고 조성진은 대부분의 경기를 출전하였지만 작년과 같이 매경기 투입하지는 않는 모습을 보였다.<ref>리그와 챔피언스리그를 병행하면서 서 감독은 로테이션을 강조하면서 선수단의 체력고갈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였다. 단순히 조성진이 신뢰를 잃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ref> 조성진은 그간 경기에서 파울도 잦아진 모습이었지만 그래도 당시 주전 수비중에서는 가장 좋은 폼을 보여주었다. 또한 리그에서 이 시기에 [[광주 FC]]와의 경기에서 성공시키는 모습으로 공격가담 상황에서 더욱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후 조성진은 [[김은선]]의 부상 이탈로 6월 21일부터 [[수비형 미드필더]]로 출전하였다. 조성진이 전문 수미가 아니기에 포지션 변경 후 초반에는 어색한 모습을 보였으나, 조성진 특유의 지능적인 움직임으로 점차 [[김은선]]의 가장 이상적인 대체자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ref>이 과정에서 [[서정원]] 감독은 3월에 [[오범석]]을 그 자리에 기용해보기도 하였지만 한계가 있었고, [[백지훈]]은 컨디션이 회복되지 않아 수비 상황에서 밀리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한 [[조지훈]]도 기용해 보았지만 피지컬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여 주전으로 기용하기에 무리가 있었다.</ref> 그러나 조성진은 빌드업 과정에서 적극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고 시간이 지날수록 상대 감독들이 이러한 허점을 교묘하게 이용하는 전술<ref>미드필드 진영에서 강한 압박을 전개하여 공격라인과 조성진을 아예 분리시켜 버리는 전술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서 재미를 본 감독은 [[최용수]]와 [[김학범]].</ref>을 펼쳤고 점차 한계를 나타냈었다. 이후 스플릿 라운드 잔여 두 경기에서는 본래의 포지션인 [[센터백]]으로 다시 돌아갔으며, 안정적인 수비력으로 시즌을 마감하였다. | | 2015년, 조성진은 작년과 같이 수비라인의 주축이 될 것으로 보이며 시즌 첫 경기인 [[AFC 챔피언스리그]] 조별예선 [[우라와 레즈]]와 경기와 이후 펼쳐진 [[베이징 궈안]]과의 경기, [[K리그 클래식]] 경기에 [[양상민]]과 [[민상기]]와 호흡을 맞추며 꾸준히 출전하였다. 시즌 초반에 조성진은 작년과 같은 안정적인 수비력을 보여주었으나 이후 펼쳐진 경기들에서는 집중력이 다소 떨어진 듯한 모습으로 상대 선수를 놓치는 모습을 종종 보여주는 모습을 보였다. 이후 [[서정원]] 감독은 수비 자원의 로테이션을 구상하였고 조성진은 대부분의 경기를 출전하였지만 작년과 같이 매경기 투입하지는 않는 모습을 보였다.<ref>리그와 챔피언스리그를 병행하면서 서 감독은 로테이션을 강조하면서 선수단의 체력고갈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였다. 단순히 조성진이 신뢰를 잃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ref> 조성진은 그간 경기에서 파울도 잦아진 모습이었지만 그래도 당시 주전 수비중에서는 가장 좋은 폼을 보여주었다. 또한 리그에서 이 시기에 [[광주 FC]]와의 경기에서 성공시키는 모습으로 공격가담 상황에서 더욱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후 조성진은 [[김은선]]의 부상 이탈로 6월 21일부터 [[수비형 미드필더]]로 출전하였다. 조성진이 전문 수미가 아니기에 포지션 변경 후 초반에는 어색한 모습을 보였으나, 조성진 특유의 지능적인 움직임으로 점차 [[김은선]]의 가장 이상적인 대체자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ref>이 과정에서 [[서정원]] 감독은 3월에 [[오범석]]을 그 자리에 기용해보기도 하였지만 한계가 있었고, [[백지훈]]은 컨디션이 회복되지 않아 수비 상황에서 밀리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한 [[조지훈]]도 기용해 보았지만 피지컬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여 주전으로 기용하기에 무리가 있었다.</ref> 그러나 조성진은 빌드업 과정에서 적극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고 시간이 지날수록 상대 감독들이 이러한 허점을 교묘하게 이용하는 전술<ref>미드필드 진영에서 강한 압박을 전개하여 공격라인과 조성진을 아예 분리시켜 버리는 전술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서 재미를 본 감독은 [[최용수]]와 [[김학범]].</ref>을 펼쳤고 점차 한계를 나타냈었다. 이후 스플릿 라운드 잔여 두 경기에서는 본래의 포지션인 [[센터백]]으로 다시 돌아갔으며, 안정적인 수비력으로 시즌을 마감하였다. |
| | | |
− | 조성진은 2016년부터 [[안산 경찰청]]에서 군복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 + | 조성진은 2016년부터 [[안산 경찰청]]에서 군 복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
| | | |
| | | |
74번째 줄: |
74번째 줄: |
| ! 시즌 !! 소속팀 !! 리그 !! 비고 | | ! 시즌 !! 소속팀 !! 리그 !! 비고 |
| |- | | |- |
− | | 2009 ~ 2011 || {{국기그림|일본}} [[로앗소 구마모토]] || [[J2리그]] || | + | | 2009 ~ 2011 || {{국기그림|일본}} [[로앗소 구마모토]] || [[J리그 디비전2]] || |
| |- | | |- |
| | 2012 || {{국기그림|일본}} [[가마타마레 사누키]] || [[JFL]] || | | | 2012 || {{국기그림|일본}} [[가마타마레 사누키]] || [[JFL]] || |
| |- | | |- |
− | | 2013 || {{국기그림|일본}} [[콘사도레 삿포르]] || [[J2리그]] || | + | | 2013 || {{국기그림|일본}} [[콘사도레 삿포르]] || [[J리그 디비전2]] || |
| |- | | |- |
| | 2014 ~ 현재 || {{팀/수원}} || [[K리그 클래식]] || | | | 2014 ~ 현재 || {{팀/수원}} || [[K리그 클래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