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5,958 바이트 추가됨 ,  2016년 9월 22일 (목) 18:01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Leejongsung.JPG|300픽셀|섬네일|오른쪽|후보명단에 올랐던 이종성 선수가 몸을 풀고있다.]]
 
[[파일:Leejongsung.JPG|300픽셀|섬네일|오른쪽|후보명단에 올랐던 이종성 선수가 몸을 풀고있다.]]
'''이종성'''(1992년 8월 5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선수로, 2011년부터 K리그에서 활동 중인 [[미드필더]]이다.
+
'''이종성''' (1992년 8월 5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2011년부터 [[K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는 [[수비형 미드필더]]이다.
      9번째 줄: 9번째 줄:  
* 이름 : '''이종성'''
 
* 이름 : '''이종성'''
   −
* 등록명 : 이종성
+
* [[K리그 등록명|등록명]] : 이종성
    
* 국적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 국적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
* 생년월일 : 1992년 8월 5일
+
* 출생일 : 1992년 8월 5일
    
* 신체 : 187cm / 72kg
 
* 신체 : 187cm / 72kg
   −
* 포지션 : [[수비형 미드필더]], [[센터백]]
+
* 학력 : [[매탄고등학교]] 졸업
 +
 
 +
* 포지션 : [[수비형 미드필더]]ㆍ[[중앙 수비수]]
 +
 
 +
* 수상 경력
 +
: 2004년 [[금석배 전국학생축구대회]] MVP
    
* 국가대표 경력
 
* 국가대표 경력
23번째 줄: 28번째 줄:  
: 2011년 [[수원컵 국제청소년축구대회]] 선발
 
: 2011년 [[수원컵 국제청소년축구대회]] 선발
 
: 2012년 [[2013 AFC U-22 챔피언십]] 예선 대표
 
: 2012년 [[2013 AFC U-22 챔피언십]] 예선 대표
: '''([[대한민국 U-23 국가대표]] 5경기 출장)'''
+
: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 5경기 출전)'''
: '''([[대한민국 U-20 국가대표]] 1경기 출장)'''
+
: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 1경기 출전)'''
: '''([[대한민국 U-17 국가대표]] 7경기 출장)'''
+
: '''([[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 7경기 출전)'''
 
  −
* 수상 경력
  −
: 2004년 [[금석배 전국학생축구대회]] MVP
      
* 현 소속팀 : {{팀/수원}}
 
* 현 소속팀 : {{팀/수원}}
41번째 줄: 43번째 줄:  
| 2011 || {{팀/수원|1}} || rowspan=2|K리그 || 2 ||0|| 0||0 ||1||0  
 
| 2011 || {{팀/수원|1}} || rowspan=2|K리그 || 2 ||0|| 0||0 ||1||0  
 
|-
 
|-
| 2012 || {{팀/상주|1|연속=2}} || 0||0|| 0||0 ||0 ||0  
+
| 2012 || rowspan=2{{팀/상주|1}} || 0||0|| 0||0 ||0 ||0  
 
|-
 
|-
| rowspan=2| 2013 || 챌린지||0 ||0|| 0||0 ||0 ||0  
+
| rowspan=2|2013 || 챌린지||0 ||0|| 0||0 ||0 ||0  
 
|-
 
|-
| {{팀/수원|1|연속=2}} || rowspan=2|클래식 ||0 ||0|| 0||0 ||0 ||0  
+
| rowspan=2{{팀/수원|1}} || rowspan=2|클래식 ||0 ||0|| 0||0 ||0 ||0  
 
|-
 
|-
 
| 2014 || 3 || 3 || 0||0 ||0 ||0  
 
| 2014 || 3 || 3 || 0||0 ||0 ||0  
57번째 줄: 59번째 줄:  
! colspan=2| [[K리그 챌린지]] || 31 || 0 || 0 || 2 || 10 || 0  
 
! colspan=2| [[K리그 챌린지]] || 31 || 0 || 0 || 2 || 10 || 0  
 
|}
 
|}
:[[K리그]] 통산 기록은 [[리그컵]] 기록 포함. 2016년 1월 1일 기준
+
:[[K리그]] 통산 기록은 [[리그컵]] 기록 포함. 2016년 3월 1일 기준
 
:{{연맹선수기록|ID=20110032}}
 
:{{연맹선수기록|ID=20110032}}
 
{{col-end}}
 
{{col-end}}
69번째 줄: 71번째 줄:  
매탄고 졸업 직후 [[2011년 드래프트]]에서 [[우선지명]]되어 수원에 입단하였으며, 2011년 6월 29일 [[SK 유나이티드]]와의 [[러쉬앤캐쉬컵 2011]] 원정 경기에서 프로 데뷔전을 치뤘다. 2011시즌 1군 후보 명단에 간간히 이름을 올렸지만, 출전한 것은 컵대회 2경기가 전부인게 아쉽다는 평. 2011시즌 종료 후, [[상주 상무]] 입대를 신청하였으며 서류 전형과 체력 테스트를 모두 무사히 통과해 입대가 결정되었다. 2012년부터는 [[상주 상무]]에서 2년간 군복무를 수행할 예정이다.<ref>축구선수 치고 무척이나 빠른 군 입대 케이스로 매탄고 동기인 [[신연수]]와 함께 입단하였다.</ref>[[박항서]] 상주 감독은 부족한 공격자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종성을 중앙 공격수로 활용한다고 밝혔지만 결과적으로 상주 상무에서 2시즌동안 한경기도 나서지 못한채 수원으로 복귀하고 말았다.
 
매탄고 졸업 직후 [[2011년 드래프트]]에서 [[우선지명]]되어 수원에 입단하였으며, 2011년 6월 29일 [[SK 유나이티드]]와의 [[러쉬앤캐쉬컵 2011]] 원정 경기에서 프로 데뷔전을 치뤘다. 2011시즌 1군 후보 명단에 간간히 이름을 올렸지만, 출전한 것은 컵대회 2경기가 전부인게 아쉽다는 평. 2011시즌 종료 후, [[상주 상무]] 입대를 신청하였으며 서류 전형과 체력 테스트를 모두 무사히 통과해 입대가 결정되었다. 2012년부터는 [[상주 상무]]에서 2년간 군복무를 수행할 예정이다.<ref>축구선수 치고 무척이나 빠른 군 입대 케이스로 매탄고 동기인 [[신연수]]와 함께 입단하였다.</ref>[[박항서]] 상주 감독은 부족한 공격자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종성을 중앙 공격수로 활용한다고 밝혔지만 결과적으로 상주 상무에서 2시즌동안 한경기도 나서지 못한채 수원으로 복귀하고 말았다.
   −
이후 같이 상주 상무에 입단했던 신연수, [[백지훈]] 등이 모두 수원을 떠나는 와중에도 14시즌을 앞두고 수원의 동계전지훈련에 참가하며 잔류 가능성을 높이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이종성은 2014년에 단 3경기에 출전에 그쳤다. 이듬해 2015년부터는 챌린지 소속의 [[대구 FC]]로 임대 이적하였다. 이종성은 초반 수비형 미드필더로 출전하여 어시스트를 기록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이후 부상으로 주전 스쿼드에 빠지게 되었다. 부상에서 복귀한 이종성은 이후 대구의 3백의 수비수로 출전하였고  기량이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수비형 미드필더에서 보이던 단점이 중앙 수비수로 출전하면서 최소화 되고 187cm라는 좋은 신체조건으로 공중볼 장악력도 준수하다는 평. 이종성은 수비수 이외에도 수비형 미드필더로 출전한 경우도 몇 경기 있었으며 때에 따라서 윙백으로도 출전하는 모습으로 수비 지역의 멀티 플레이어와 같이 활약하였다.
+
이후 같이 상주 상무에 입단했던 신연수, [[백지훈]] 등이 모두 수원을 떠나는 와중에도 14시즌을 앞두고 수원의 동계전지훈련에 참가하며 잔류 가능성을 높이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이종성은 2014년에 단 3경기에 출전에 그쳤다. 이듬해 2015년부터는 챌린지 소속의 [[대구 FC]]로 임대 이적하였다. 이종성은 초반 수비형 미드필더로 출전하여 어시스트를 기록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이후 부상으로 주전 스쿼드에 빠지게 되었다. 부상에서 복귀한 이종성 선수는 대구의 백스리 전술에 한 축으로 출전하면서 기량이 만개하였고, 적극적인 모습과 악착같은 수비로 성장한 모습을 선보인데다가 그동안 부족하다고 평가받았떤 신장을 이용한 공중볼 장악 능력 또한 많이 다듬어졌다는 평가를 받게 되었다. 프로 데뷔 이후 주로 2군에 머물면서 적은 출전 기회로 성장이 정체되던 이 선수는 대구 임대 기간에 31경기에 출전하며 [[김종우]]와 함께 성공적인 임대 생활을 보낸 선수로 불리며 원소속팀 수원으로 복귀하게 되었다. 시즌 초반에는 이러한 기대를 바탕으로 [[AFC 챔피언스리그]] 조별 예선 경기에 출전하기도 했으나, 대구 시절 보여준 적극적인 모습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해 여름 넘어까지 주전 전력으로 오르지 못하는 불운을 겪게 되었다. 이후 기존 주전 전력으로 출전하던 [[박현범]]과 [[백지훈]] 등의 선수들이 컨디션 난조와 부상 등의 이유로 경기력이 떨어지자 부상에서 회복한 [[이용래]]와 함께 주전 전력으로 오르며 주전으로 출전하고 있으며, 자신감 넘치는 플레이에서 호평을 받기도 하지만 운영 능력이 부족해 비판도 받는 성장통을 겪고 있다.<ref>특히 역습 상황에서 위치 선정 등에서 아쉬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패스 보는 시야는 좋지만 패스의 강약 조절이 미흡한 모습을 보여주었다.</ref>
       
== 플레이 스타일 ==
 
== 플레이 스타일 ==
수원 시절에는 신체조건에 비하여 경기 운영을 소극적으로 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대구로 임대 이적하게 되면서 그러한 모습이 줄어들고 지능적으로 수비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프로 데뷔 초반에는 지극히 기술적인 면을 보여주려는 모습과 수비 상황에서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경기 운영을 소극적으로 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기에 주전 전력으로 오르지 못하였다. 게다가 첫 시즌을 마치고 [[상주 상무]]에서는 [[박항서]] 감독의 구상에 따라 최전방 공격수로 기용될 것이라고 언급되기도 하며 본 포지션에서 제대로 활동하지 못하였고, 그러한 이유로 프로 데뷔 첫 시즌에 받은 평가를 군 전역 후에도 받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뚜렷한 장점이 없는 선수로 불리기도 했으나, 대구로 임대 이적하게 되고 시즌 초반 이러한 플레이 스타일을 유지하다가 [[문기한]]과 [[세르징요]] 선수들에게 밀리고 부상이 겹쳐 경쟁에서 뒤쳐지는 모습까지 보여주었는데, 부상에서 회복한 이후로 적극적이고 때로는 거칠고 투쟁적인 모습으로 존재감을 보여 31경기에 출전하게 되었다. 수원으로 복귀한 뒤로 초반에는 이런 모습을 이어가지 못해 주전 경쟁에서 밀리기도 했으나, 다시 대구 시절 보여준 모습 그대로 보여주자 주전 전력에 오르게 되었다. 이밖에 아쉬운 점으로는 경기 운영 능력이 다소 아쉽고, 신경전에만 집중하다가 이에 휘말려 경고나 퇴장을 받는 모습으로 팀을 어렵게 만드는 점이 아쉬운 것으로 손꼽힌다. 대표적인 예는 [[2016 KEB하나은행 FA컵]] 8강전 [[성남 FC]]와 경기에 전반 중반에 [[김태윤]]과 신경전을 벌이다 퇴장 당한 것과 [[현대오일뱅크 K리그 클래식 2016]] 30라운드 [[전북 현대 모터스]]와 경기에서 거친 태클로 경고 누적 태클로 퇴장당한 것.
       
== 에피소드 ==
 
== 에피소드 ==
* 유달리 [[풋볼매니저 시리즈]]에서 사랑받는 선수이다. 몇 년째 꾸준히 최고 수준 유망주로 등장중.
+
* 유달리 [[풋볼매니저 시리즈]]에서 사랑받는 선수이다. 몇 년째 꾸준히 최고 수준 유망주로 등장 중.
 +
 
 +
* [[현대오일뱅크 K리그 클래식 2016]] 30라운드 [[전북 현대 모터스]]와 원정 경기에서 [[이동국]] 선수를 밀쳐 크게 비난받고 대형 포털에서 실시간 검색 1위에 오르기도 하였다. 사건의 전말은 [[조나탄]]과 [[김신욱]]이 신경전을 벌이는 중에 [[이동국]]이 이를 말리러 오다가 옆에 있는 이종성을 밀쳤고, 거기에 도발로 생각한 이종성은 그대로 [[이동국]]을 밀어 버려 내동댕이친 것이었다. 이후 이종성은 넘어진 선수가 [[이동국]]인 것을 알아채자 두 차례 사과를 했으나, 이런 장면이 중계 화면에서는 잡히지 않아 고의적으로 이동국을 밀친 것으로 포장되고 말았다. 여기에 주말 예능에 출연하며 "대박이 아빠"로 불리는 [[이동국]]을 밀었다는 것에 격앙된 몇 네티즌들은 "대선배를 밀는 예의 없는 선수"라고 욕하는 볼성사나운 모습을 보였고, 여기에 "13살 어린 후배가 대선배 [[이동국]]을 밀쳤다" 따위의 자극적인 기사로 기름을 붙고 말았다.<ref>[http://www.wowtv.co.kr/newscenter/news/view.asp?bcode=T30001000&artid=A201609190205 이동국 밀친 이종성 `황당`… 축구팬 비난 쏟아져 "개념없다, 인성이 뻔해"]</ref> 결국, 이종성은 개인 SNS에 사과문과 당시 상황을 설명하는 글을 올렸으나, '구질구질하게 변명하려 든다'라며 더욱 거세진 비난에 시달리게 되었는데, 차후 다른 방향에서 촬영된 자료에는 이종성의 해명이 맞는 것으로 밝혀지고 말았다.<ref>[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60919000400 '비매너 논란' 이종성 사과문 게재… 다른 각도보니 "이동국이 먼저 밀어"]</ref> 여기에 어느 정도 누명은 벗어나게 되었으나, 감정 싸움으로 신경전을 벌이며 밀친 행위에만 대해 집중되지 않고, 이미 밀쳐진 대상만 집중되어 과도한 비판을 받은 뒤였다.<ref>물론 무조건 도발을 맞대응 하는 것이 문제 없는 행동은 아니다. 이 선수는 불과 몇 달전 [[2016 KEB하나은행 FA컵]] 8강전 [[성남 FC]]와 경기에서 전반 초반에 경고가 있음에도, 세트피스 공격 상황에 가담했다가 성남 [[김태윤]]이 밀친 것을 대응했다가 경고 누적으로 전반 초중반에 퇴장당하면서 팀을 어렵게 만들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종성-이동국 충돌 사건은 오로지 '''"감히 대선배를 밀어"''' 라는 반응으로 논점이 벗어난 채 물고 뜯는 데에만 혈안이 되었기에 문제가 되고 말았다. 축구팬들 중 '과연 밀쳐진 대상이 이동국이 아니었다면 이렇게 화제가 됐을까?' 라는 반응이 나온 것이 무리가 아닐 정도. 여기에 몇 축구팬들은 축구장에서 늘상 일어나던 일이 왜이리 커지고 사과문까지 게시해야 될 정도의 중대한 사항인지 이해하지 못하겠다는 반응을 나오기도 하였다.</ref><ref>[http://sports.new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260&aid=0000001092 참고 칼럼 : <서형욱> 무명의 K리거, '실검 1위' 등극 사건의 전말]</ref>
      94번째 줄: 98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구자룡]], [[권태안]], [[노형구]], [[신연수]], [[김승민]] (매탄고등학교 동기)
+
* [[구자룡]][[권태안]][[노형구]][[신연수]][[김승민]] (매탄고등학교 동기)
 
  −
 
  −
== 외부 링크 ==
       

편집

7,499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