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144 바이트 추가됨 ,  2011년 2월 24일 (목) 21:54
잔글
편집 요약 없음
48번째 줄: 48번째 줄:  
=== 본선에서의 대실패 ===
 
=== 본선에서의 대실패 ===
 
----
 
----
올림픽 본선에서 한국은 브라질, 체코슬로바키아, 아랍연합공화국<ref>현재의 [[이집트]]. 범아랍주의를 추구하던 이집트 나세르에 의해 1958년 [[이집트]]와 [[시리아]]가 통합하여 수립된 나라이다. 그러나 1961년 시리아에서 군사쿠데타가 일어나면서 해체되었다. 64년 당시에는 이미 이집트만의 공화국이었으나 향후 시리아의 복귀나 다른 국가의 가입을 염두에 두고 명칭을 계속 유지했다. 그러나 67년 이스라엘과의 6일 전쟁에서 패함으로써 범아랍주의가 크게 훼손되고 1970년 나세르가 사망하자 이집트라는 명칭으로 다시 돌아왔다.</ref> 와 한조를 이루었고, 1964년 10월 12일 조별 예선 1차전을 체코슬로바키아를 상대로 가졌다. 그러나 체코슬로바키아는 동대회에서 은메달을 차지할 정도로 강팀이었고, 이런 체코에 대해 한국팀은 그 어떤 정보는 갖지 못한채 정면승부로 도전했다. 결과는 1:6 대참패. 그나마 [[이이우]] 선수의 기습적인 중거리 슈팅으로 1골을 얻어 영패는 모면했다.
+
올림픽 본선에서 한국은 브라질, 체코슬로바키아, 아랍연합공화국<ref>현재의 [[이집트]]. 범아랍주의를 추구하던 이집트 나세르에 의해 1958년 [[이집트]]와 [[시리아]]가 통합하여 수립된 나라이다. 그러나 1961년 시리아에서 군사쿠데타가 일어나면서 해체되었다. 64년 당시에는 이미 이집트만의 공화국이었으나 향후 시리아의 복귀나 다른 국가의 가입을 염두에 두고 명칭을 계속 유지했다. 그러나 67년 이스라엘과의 6일 전쟁에서 패함으로써 범아랍주의가 크게 훼손되고 1970년 나세르가 사망하자 이집트라는 명칭으로 다시 돌아왔다. [http://ko.wikipedia.org/wiki/%EC%95%84%EB%9E%8D_%EC%97%B0%ED%95%A9_%EA%B3%B5%ED%99%94%EA%B5%AD 참고 - 위키백과:아랍 연합 공화국]</ref> 와 한조를 이루었고, 1964년 10월 12일 조별 예선 1차전을 체코슬로바키아를 상대로 가졌다. 그러나 체코슬로바키아는 동대회에서 은메달을 차지할 정도로 강팀이었고, 이런 체코에 대해 한국팀은 그 어떤 정보는 갖지 못한채 정면승부로 도전했다. 결과는 1:6 대참패. 그나마 [[이이우]] 선수의 기습적인 중거리 슈팅으로 1골을 얻어 영패는 모면했다.
    
2차전은 브라질과의 경기였는데 당시 정국진 감독은 수비수였던 [[차태성]] 선수를 공격으로 스위칭하면서까지 공격 일변도로 승점을 얻어내보려고 애썻지만, 세계최강 브라질의 적수는 못됐다. 결과는 0:4 패배. 2차전 결과로 한국의 조별예선 탈락은 확정되었다.
 
2차전은 브라질과의 경기였는데 당시 정국진 감독은 수비수였던 [[차태성]] 선수를 공격으로 스위칭하면서까지 공격 일변도로 승점을 얻어내보려고 애썻지만, 세계최강 브라질의 적수는 못됐다. 결과는 0:4 패배. 2차전 결과로 한국의 조별예선 탈락은 확정되었다.

편집

4,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