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째 줄: |
1번째 줄: |
− | [[File:게인리흐.jpg|섬네일|300픽셀|2015년 11월, 북한과의 러시아 월드컵 아시아 예선에서 득점에 성공한 게인리히]] | + | [[File:게인리흐.jpg|섬네일|300픽셀|<center>수원 시절 게인리히<br>ⓒ스포탈코리아</center>]] |
− | '''알렉산드르 게인리흐''' (Alexandr Geynrikh, 1984년 10월 6일 ~ )는 우즈베키스탄 국적의 축구선수로, 2011년 [[K리그]]에서 활동한 [[스트라이커]]이다. | + | '''알렉산드르 게인리흐''' (Alexandr Geynrikh, 1984년 10월 6일 ~ )는 우즈베키스탄 국적의 축구선수로, 2011년 [[K리그]]에서 활동하였던 [[스트라이커]]이다. |
| | | |
| | | |
30번째 줄: |
30번째 줄: |
| : 2015년 [[FIFA 러시아 월드컵]] 아시아 예선 대표 | | : 2015년 [[FIFA 러시아 월드컵]] 아시아 예선 대표 |
| : 2002년 ~ 현재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 | | : 2002년 ~ 현재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 |
− | :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 A매치 통산 85경기 출전 30득점)''' | + | :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 통산 [[A매치]] 91경기 출전 31득점)''' |
| | | |
| * 현 소속팀 : {{국기그림|카자흐스탄}} 오르다바시 | | * 현 소속팀 : {{국기그림|카자흐스탄}} 오르다바시 |
41번째 줄: |
41번째 줄: |
| ! 연도 !! 소속팀 !! 리그 !! 출장 !! 교체 !! 득점 !! 도움 !! 경고 !! 퇴장 | | ! 연도 !! 소속팀 !! 리그 !! 출장 !! 교체 !! 득점 !! 도움 !! 경고 !! 퇴장 |
| |- | | |- |
− | | 2011 || {{팀/수원|1}} || K리그 ||20 ||19|| 3||0||5||0 | + | | 2011 || {{팀|수원|2011}} || K리그 ||20 ||19|| 3||0||5||0 |
| |- style="background:#C0C0C0" | | |- style="background:#C0C0C0" |
| ! 통산 ||colspan=2| [[K리그]] || 20 ||19|| 3||0||5||0 | | ! 통산 ||colspan=2| [[K리그]] || 20 ||19|| 3||0||5||0 |
| |} | | |} |
− | :[[K리그]] 통산 기록은 [[리그컵]] 기록 포함. 2016년 3월 1일 기준 | + | :[[K리그]] 통산 기록은 [[리그컵]] 기록 포함. 2017년 3월 1일 기준 |
| :{{연맹선수기록|ID=20110211}} | | :{{연맹선수기록|ID=20110211}} |
| {{col-end}} | | {{col-end}} |
51번째 줄: |
51번째 줄: |
| | | |
| == 선수 생활 == | | == 선수 생활 == |
− | === 우즈베키스탄 시절 === | + | === 우즈베키스탄과 러시아 시절 === |
− | 2001년 두스틀리크 타슈켄트에서 데뷔했다. 입단당시에는 별다른 주목을 못받았고, 12경기 출전에 무득점으로 평범한 신인 시즌을 보냈다. 이후, 2002년 FC 파흐타코르 타슈켄트에 입단한 게인리히는 23경기 9골을 기록하며 서서히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고, 2005년에는 12경기 5골을 기록했고, 러시아에서 돌아온 2007년부터 2010년까지 36경기 출장 21골이라는 놀라운 득점력을 보여주며 우즈베키스탄의 간판 골잡이로 두각을 드러냈다.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게인리히는 우즈베키스탄 국가대표팀의 간판 골잡이로 자리잡았다.<ref>그 이전까지는 우즈베키스탄에서 유일하게 국내팬들에게 지명도 높았던 공격수 [[막심 샤츠키흐]]에 밀렸었다.</ref> | + | 2001년 두스틀리크 타슈켄트에서 데뷔했다. 입단당시에는 별다른 주목을 못받았고, 12경기 출전에 무득점으로 평범한 신인 시즌을 보냈다. 이후, 2002년 FC 파흐타코르 타슈켄트에 입단한 게인리히는 23경기 9골을 기록하며 서서히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고, 2005년에는 12경기 5골을 기록했고, 러시아에서 돌아온 2007년부터 2010년까지 36경기 출장 21골이라는 놀라운 득점력을 보여주며 우즈베키스탄의 간판 골잡이로 두각을 드러냈다.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게인리히는 우즈베키스탄 국가대표팀의 간판 골잡이로 자리잡았다.<ref>그 이전까지는 우즈베키스탄에서 유일하게 국내팬들에게 지명도 높았던 공격수 [[막심 샤츠키흐]]에 밀렸었다.</ref> 2003/2004 시즌과 2005/2006시즌 각각 [[CSKA 모스크바]]와 [[FC 토르페도 모스크바]]에 입단해 활동하였지만, CSKA에서는 2경기 출장 1골, 토르페도에서는 12경기 출장 무득점을 기록하며 그다지 좋지못한 러시아 생활을 보냈다. |
− | | |
− | | |
− | === 러시아 시절 ===
| |
− | 2003/2004 시즌과 2005/2006시즌 각각 [[CSKA 모스크바]]와 [[FC 토르페도 모스크바]]에 입단해 활동하였지만, CSKA에서는 2경기 출장 1골, 토르페도에서는 12경기 출장 무득점을 기록하며 그다지 좋지못한 러시아 생활을 보냈다. | |
| | | |
| | | |
64번째 줄: |
60번째 줄: |
| | | |
| === K리그 이후 === | | === K리그 이후 === |
− | 수원에서 퇴단 후, 아랍에미리트의 에미리츠 클럽으로 임대 이적했으나 단 6경기 출전에 그쳤고, 2012년 6월을 끝으로 원소속팀 파흐타코르 타슈켄트와 인연을 정리하고 카자흐스탄의 FC 악퇴베로 이적하였다. 2014시즌까지 카자흐스탄에서 활약한 뒤, 우즈베키스탄으로 돌아와 로코모티프 타슈켄트에 입단, 11경기에 출전해서 7골을 득점하며 건재함을 과시하기도 했으나 2015년 2월 우즈베키스탄을 떠나 카자흐스탄의 오르다바시에 입단해 활약 중이다. | + | 수원에서 퇴단 후, 아랍에미리트의 에미리츠 클럽으로 임대 이적했으나 단 6경기 출전에 그쳤고, 2012년 6월을 끝으로 원소속팀 파흐타코르 타슈켄트와 인연을 정리하고 카자흐스탄의 FC 악퇴베로 이적하였다. 2014시즌까지 카자흐스탄에서 활약한 뒤, 우즈베키스탄으로 돌아와 로코모티프 타슈켄트에 입단, 11경기에 출전해서 7골을 득점하며 건재함을 과시하기도 했으나 2015년 2월 우즈베키스탄을 떠나 카자흐스탄의 오르다바시에 입단해 활동하고 있으며, 2016년에 20경기 10골을 넣어 건재함을 과시하고 있다. |
| | | |
| | | |
| == 국가대표 생활 == | | == 국가대표 생활 == |
− | 우즈베키스탄 간판 골잡이로 2002년부터 활약 중이다. 2014년 세대교체로 인해 국가대표팀의 부름을 받지 못하기도 했으나 2015년 9월 13일에 있었던 러시아 월드컵 아시아 예선 예맨과의 경기에 복귀해서 득점까지 성공시켜 1-0 승리에 이바지 했다. 11월 [[북한]]과 경기에서도 차출되어 득점에 성공, 우즈베키스탄의 3-1 승리를 이끌며 2016년까지 국가대표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 + | 우즈베키스탄 간판 골잡이로 2002년부터 활약하고 있따. 2014년 세대교체로 인해 국가대표팀의 부름을 받지 못하기도 했으나 2015년 9월 13일에 있었던 러시아 월드컵 아시아 예선 예맨과의 경기에 복귀해서 득점까지 성공시켜 1-0 승리에 이바지 했다. 11월 [[북한]]과 경기에서도 차출되어 득점에 성공하면서 우즈베키스탄의 3-1 승리를 이끌었고, 이후에는 계속 국가대표팀에 차출되어 활동하며 [[A매치]] 통산 100경기 출전을 목전에 두고 있다. |
| | | |
| | | |
| == 플레이 스타일 == | | == 플레이 스타일 == |
− | 페널티 박스 내에서의 파괴력이 좋은 편이었지만, 움직임이 너무 정적이라 K리그 스타일과 맞지 않았다. 다만 [[윤성효]] 감독의 전술에 반발하는 수원 팬들은 게인리히를 상당히 애틋한 감정으로 바라봤던바 있다. | + | 페널티 박스 내에서의 파괴력이 좋은 편이었지만, 움직임이 너무 정적이라 K리그 스타일과 맞지 않았다. 다만 [[윤성효]] 감독의 전술에 반발하는 수원 팬들은 게인리히를 상당히 애틋한 감정으로 바라봤던 바 있다. |
| | | |
| | | |
90번째 줄: |
86번째 줄: |
| ! 시즌 !! 소속팀 !! 리그 !! 비고 | | ! 시즌 !! 소속팀 !! 리그 !! 비고 |
| |- | | |- |
− | | 2001 || {{국기그림|우즈베키스탄}} 두스틀리크 다슈켄트 || 우즈베키스탄 리그 || | + | | 2001.01 ~ 2001.12 || {{국기그림|우즈베키스탄}} 두스틀리크 다슈켄트 || 우즈베키스탄 리그 || |
| |- | | |- |
| | 2002.01 ~ 2002.12 || {{국기그림|우즈베키스탄}}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 우즈베키스탄 리그 || | | | 2002.01 ~ 2002.12 || {{국기그림|우즈베키스탄}}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 우즈베키스탄 리그 || |
104번째 줄: |
100번째 줄: |
| | 2008.01 ~ 2012.06 || {{국기그림|우즈베키스탄}}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 우즈베키스탄 리그 || | | | 2008.01 ~ 2012.06 || {{국기그림|우즈베키스탄}}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 우즈베키스탄 리그 || |
| |-bgcolor=#f0fff0 | | |-bgcolor=#f0fff0 |
− | | → 2011.01 ~ 2011.11 || {{팀/수원}} || [[K리그]] || 임대 | + | | → 2011.01 ~ 2011.11 || {{팀|수원|2011}} || [[K리그]] || 임대 |
| |-bgcolor=#f0fff0 | | |-bgcolor=#f0fff0 |
| | → 2012.01 ~ 2012.06 || {{국기그림|아랍에미리트}} 에미리츠 클럽 || UAE 아라비안 걸프 리그 || 임대 | | | → 2012.01 ~ 2012.06 || {{국기그림|아랍에미리트}} 에미리츠 클럽 || UAE 아라비안 걸프 리그 || 임대 |
119번째 줄: |
115번째 줄: |
| * [[제파로프]] | | * [[제파로프]] |
| * [[카파제]] | | * [[카파제]] |
− |
| |
− |
| |
− | == 외부 링크 ==
| |
| | | |
| | | |
128번째 줄: |
121번째 줄: |
| | | |
| | | |
− | [[분류: 1984년생]][[분류: 우즈베키스탄 국적의 선수]][[분류: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선수]] | + | [[분류:1984년생]][[분류:우즈베키스탄 국적의 선수]][[분류: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선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