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19 바이트 추가됨 ,  2017년 3월 29일 (수) 13:28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File:홍덕영1.jpg|섬네일|220px|경기 중 홍덕영(좌). 가운데 한국 선수는 [[주영광]] 씨로 보여진다]]
 
[[File:홍덕영1.jpg|섬네일|220px|경기 중 홍덕영(좌). 가운데 한국 선수는 [[주영광]] 씨로 보여진다]]
'''홍덕영''' (洪德泳, 1926년 5월 5일 ~ 2005년 9월 13일 )은 [[대한민국]] 국적의 축구선수이자 축구인으로,전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이다.  
+
'''홍덕영''' (洪德泳, 1926년 5월 5일 ~ 2005년 9월 13일 )은 [[대한민국]] 국적의 축구 선수이자 축구인으로, 전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이다.  
      33번째 줄: 33번째 줄:     
* 현 소속팀 : 선수 생활 은퇴
 
* 현 소속팀 : 선수 생활 은퇴
 +
    
== 지도자 프로필 ==
 
== 지도자 프로필 ==
53번째 줄: 54번째 줄:  
== 실업 선수 생활 ==
 
== 실업 선수 생활 ==
 
고려대학교 졸업 이후<ref>재학중에 보성전문에서 종합대학으로 바뀌며 고려대학교로 교명이 바뀐다. </ref> 6.25 동란을 겪으면서 [[조선방직]]에 입단하여 골키퍼로 활약하였다. 이후 [[1954년 스위스 월드컵]]까지 주전 골키퍼로 활약한 뒤, 1956년 봄 현역 선수 생활을 정리한다. 당시 40세가 넘은 나이였음에도 홍선수의 은퇴 소식에 축구계 인사들이 아쉬움을 나타낼 정도로 기량이 빼어났다는 후문.
 
고려대학교 졸업 이후<ref>재학중에 보성전문에서 종합대학으로 바뀌며 고려대학교로 교명이 바뀐다. </ref> 6.25 동란을 겪으면서 [[조선방직]]에 입단하여 골키퍼로 활약하였다. 이후 [[1954년 스위스 월드컵]]까지 주전 골키퍼로 활약한 뒤, 1956년 봄 현역 선수 생활을 정리한다. 당시 40세가 넘은 나이였음에도 홍선수의 은퇴 소식에 축구계 인사들이 아쉬움을 나타낼 정도로 기량이 빼어났다는 후문.
 +
    
== 국가대표 생활 ==
 
== 국가대표 생활 ==
63번째 줄: 65번째 줄:     
== 별세 ==
 
== 별세 ==
2005년 9월 13일 서울 옥수동 자책에서 숙환으로 별세하셨으며 9월 15일 서울 아산병원에서 대한축구협회장으로 고인의 장례가 치뤄졌다. 이후 유해는 경기도 파주 동화 경모공원에 안장되었다.
+
2005년 9월 13일 서울 옥수동 자책에서 숙환으로 별세하셨으며 9월 15일 서울 아산병원에서 대한축구협회장으로 고인의 장례가 치뤄졌다. 이후 유해는 경기도 파주 동화경모공원에 안장되었다.
      69번째 줄: 71번째 줄:  
* 1948년 당시에는 [[멀티볼 시스템]]이 아니었기 때문에 경기당 하나의 공만을 가지고 경기를 했는데, 경기중 스웨덴 선수들의 슛팅을 버티다 못한 홍덕영 선수는 공을 잡으면 관중석으로 내질러 버렸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당시 골킥을 차고 되돌아가 몸을 돌리고나면 이미 공은 스웨덴 선수가 받아서 패널티 에어리어에 와 있었다고...당시 스웨덴의 슛팅은 48개였다고 한다.  
 
* 1948년 당시에는 [[멀티볼 시스템]]이 아니었기 때문에 경기당 하나의 공만을 가지고 경기를 했는데, 경기중 스웨덴 선수들의 슛팅을 버티다 못한 홍덕영 선수는 공을 잡으면 관중석으로 내질러 버렸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당시 골킥을 차고 되돌아가 몸을 돌리고나면 이미 공은 스웨덴 선수가 받아서 패널티 에어리어에 와 있었다고...당시 스웨덴의 슛팅은 48개였다고 한다.  
   −
* 은퇴 이후에 잠시 직장 생활을 하였지만 직장에 축구선수 출신임을 밝히지 않았다고 한다. 당시 축구 선수는 무식하다는 편견이 존재했기 때문이라고...[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01&aid=0004098145]
+
* 은퇴 이후에 잠시 직장 생활을 하였지만 직장에 축구선수 출신 임을 밝히지 않았다고 한다. 당시 축구 선수는 무식하다는 편견이 존재했기 때문이라고...[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01&aid=0004098145]
    
* 은퇴 이후에 국제 심판으로도 활약하였다. [[FIFA]]도 해당 공로를 인정해, 1989년 [[김덕준]], [[김주원]], [[이우현]] 씨와 함께 특별표창기장을 수여받기도 하였다.
 
* 은퇴 이후에 국제 심판으로도 활약하였다. [[FIFA]]도 해당 공로를 인정해, 1989년 [[김덕준]], [[김주원]], [[이우현]] 씨와 함께 특별표창기장을 수여받기도 하였다.
   −
* 1996년 12월 [[정남식]],[[민용식]]씨와 함께 축구인을 대표해 2002 월드컵 조직위원으로 임명되었다.
+
* 1996년 12월 [[정남식]], [[민용식]]씨와 함께 축구인을 대표해 2002 월드컵 조직위원으로 임명되었다.
    
* 2001년 12월 2일 부산에서 있었던 2002년 한,일 월드컵 본선 조추첨에 추첨자로 탤런트 송혜교씨가 선정되어 축구팬들의 빈축을 샀을 당시, [[차범근]]씨와 함께 홍덕영씨가 추첨자로 선정되었으면 모양새가 좋지 않았겠느냐는 의견이 많았다.
 
* 2001년 12월 2일 부산에서 있었던 2002년 한,일 월드컵 본선 조추첨에 추첨자로 탤런트 송혜교씨가 선정되어 축구팬들의 빈축을 샀을 당시, [[차범근]]씨와 함께 홍덕영씨가 추첨자로 선정되었으면 모양새가 좋지 않았겠느냐는 의견이 많았다.
98번째 줄: 100번째 줄:       −
[[분류:1926년생]][[분류:2005년 사망]][[분류:고려대학교의 선수]][[분류:전설적인 선수]][[분류:학원축구 지도자]][[분류:실업축구 선수]][[분류:고려대학교의 선수]][[분류:대한민국 국가대표팀의 지도자]][[분류:사망한 축구인]]
+
[[분류:1926년생]][[분류:2005년 사망]][[분류:고려대학교의 선수]][[분류:실업축구 선수]][[분류:전설적인 선수]][[분류:학원축구 지도자]][[분류:실업축구 지도자]][[분류:대한민국 국가대표팀의 지도자]][[분류:심판]][[분류:사망한 축구인]]
익명 사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