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055 바이트 추가됨 ,  2017년 5월 3일 (수) 18:12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File:산토스3.jpg|섬네일|300px|<center>수원 삼성 블루윙즈 산토스</center>]]
 
[[File:산토스3.jpg|섬네일|300px|<center>수원 삼성 블루윙즈 산토스</center>]]
'''산투스'''(Santos, 1985년 12월 25일 ~ )는 브라질 국적의 축구 선수로, 2010년부터 [[K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는 [[공격형 미드필더]]이다.
+
'''산투스''' (Santos, 1985년 12월 25일 ~ )는 브라질 국적의 축구 선수로, 2010년부터 [[K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는 [[공격형 미드필더]]이다.
 
{{다른 사람|산토스}}
 
{{다른 사람|산토스}}
   22번째 줄: 22번째 줄:  
* 수상 경력
 
* 수상 경력
 
: 2014년 [[K리그 득점상]]
 
: 2014년 [[K리그 득점상]]
: 2014년 [[K리그 클래식]] [[시즌 베스트 11]] FW 부문 선정
+
: 2014년 [[K리그 클래식 시즌 베스트 11]] FW 부문 선정
   −
* 현 소속팀 : {{팀/수원}}
+
* 현 소속팀 : {{팀|수원}}
    
* [[등번호]] : 10
 
* [[등번호]] : 10
33번째 줄: 33번째 줄:  
! 연도 !! 소속팀 !! 리그 !! 출장 !! 교체 !! 득점 !! 도움 !! 경고 !! 퇴장  
 
! 연도 !! 소속팀 !! 리그 !! 출장 !! 교체 !! 득점 !! 도움 !! 경고 !! 퇴장  
 
|-
 
|-
|  2010 || rowspan=3 {{팀/SK|1}} ||rowspan=3|K리그 || 28||18||14||5||0||0
+
|  2010 || {{왼}} rowspan=3|{{팀|SK}} ||rowspan=3|K리그 || 28||18||14||5||0||0
 
|-
 
|-
 
|  2011 ||29||6||14||4||2||0
 
|  2011 ||29||6||14||4||2||0
39번째 줄: 39번째 줄:  
|  2012 ||35||12||14||11||0||0
 
|  2012 ||35||12||14||11||0||0
 
|-
 
|-
|  2013 ||rowspan=4 {{팀/수원|1}} || rowspan=4| 클래식|| 19||7||8||1||1||0
+
|  2013 || {{왼}} rowspan=5|{{팀|수원|2017}} || rowspan=5| 클래식|| 19||7||8||1||1||0
 
|-
 
|-
 
|  2014 || 35 || 27 ||14||7||2|| 0
 
|  2014 || 35 || 27 ||14||7||2|| 0
46번째 줄: 46번째 줄:  
|-
 
|-
 
|  2016 || 33 || 19 || 12 || 3 || 1 || 0   
 
|  2016 || 33 || 19 || 12 || 3 || 1 || 0   
 +
|-
 +
|  2017 || 0 || 0 || 0 || 0 || 0 || 0
 
|- style="background:#C0C0C0"
 
|- style="background:#C0C0C0"
 
! 통산 ||colspan=2| [[K리그 클래식]] || 208 || 112 || 88 || 32 || 6 || 0
 
! 통산 ||colspan=2| [[K리그 클래식]] || 208 || 112 || 88 || 32 || 6 || 0
|-
   
|}
 
|}
:[[K리그]] 통산 기록은 [[리그컵]] 기록 포함. 2016년 12월 1일 기준
+
:[[K리그]] 통산 기록은 [[리그컵]] 기록 포함. 2017년 3월 1일 기준
 
:{{연맹선수기록|ID=20100172}}
 
:{{연맹선수기록|ID=20100172}}
 
{{col-end}}
 
{{col-end}}
72번째 줄: 73번째 줄:     
2015년 산토스는 [[염기훈]]과 함께 수원 공격의 핵심으로 활약할 것으로 전망되기도 했으나 [[정대세]], [[카이오]]와 호흡이 좋지 못했고, 부상과 컨디션 난조가 겹쳐 기복 있는 플레이를 보이며 지난 시즌보다는 못하다는 평을 듣기도 했다. 그러나 여름부터 컨디션을 회복하며 2015년 6월 17일 [[SK 유나이티드]], 6월 21일 [[전북 현대 모터스]]와 경기에서 두 경기 연속 멀티 골을 폭발시켰고, 경기력을 되찾아 7월 이후 [[카이오]]의 연이은 부진과 [[일리안]]의 부적응으로 무주공산이 된 수원 공격을 [[염기훈]], [[권창훈]]과 함께 이끌며 자신의 몫 이상을 하는 활약을 이어갔다. 리그 마지막 경기 [[광주 FC]]와 경기에서는 [[해트트릭]]을 성공하기도 했고, 스플릿 라운드까지 꾸준히 출전하여 2년 연속 팀 내 최다 득점자에 이름을 올려 수원의 리그 준우승에 이바지하며 활약을 인정받아 재계약 체결하며 수원에 잔류하게 되었다. 이듬해 2016년 산토스는 부쩍 개인플레이가 늘어나고 팀플레이에 겉도는 모습을 보이며 득점을 올렸음에도 비판받는 상황에 놓이면서 주춤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으나 2016년 4월 19일 [[AFC 챔피언스리그]] 조별예선 [[감바 오사카]]와 경기에서 경기력을 회복해 팀 공격을 이끌었고, 멀티 골까지 성공시키며 부진하던 수원을 구하였다. 이후 [[김건희]] 등 어린 공격진을 이끌며 공격을 진두지휘한 산토스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득점포를 연일 가동하며 팀내 최고 공격 자원임을 자랑하였다. 그러나 여름 이적 시장에서 [[조나탄]] 선수가 수원에 입단하면서 점차 입지가 애매해지는 모습을 보였는데, 입단 초반에는 [[조나탄]] 선수가 부상과 적응으로 좋지 못한 활약에 위상에 큰 변화가 없었으나, 팀 공격 중심이 [[조나탄]]으로 편성되면서 점차 서브로 내려가는 일이 잦아지게 되고 말았다.<ref>산토스 중심으로 공격을 풀어갈 때 견제를 풀어주기 위해 최전방 공격수들의 역할이 상당히 많았었다. 그러나 [[조나탄]] 선수가 공격 중심으로 활약하게 되자 이런 역할을 줄이고 득점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서정원]] 감독이 전술을 수정하게 되면서 산토스 선수의 입지는 애매해진 것이다. 게다가 두 선수의 침투 동선이 겹치는 문제점도 있었다.</ref> 이는 하위 스플릿 라운드까지 이어져 [[광주 FC]]와 경기에 출전해 하나의 득점을 올린 것에 만족해야만 했다.<ref>이 득점으로 [[서정원]] 감독이 선수시절 보유하고 있던 수원 통산 최다 득점자 기록인 46득점에 동률을 이루게 되었다.</ref>
 
2015년 산토스는 [[염기훈]]과 함께 수원 공격의 핵심으로 활약할 것으로 전망되기도 했으나 [[정대세]], [[카이오]]와 호흡이 좋지 못했고, 부상과 컨디션 난조가 겹쳐 기복 있는 플레이를 보이며 지난 시즌보다는 못하다는 평을 듣기도 했다. 그러나 여름부터 컨디션을 회복하며 2015년 6월 17일 [[SK 유나이티드]], 6월 21일 [[전북 현대 모터스]]와 경기에서 두 경기 연속 멀티 골을 폭발시켰고, 경기력을 되찾아 7월 이후 [[카이오]]의 연이은 부진과 [[일리안]]의 부적응으로 무주공산이 된 수원 공격을 [[염기훈]], [[권창훈]]과 함께 이끌며 자신의 몫 이상을 하는 활약을 이어갔다. 리그 마지막 경기 [[광주 FC]]와 경기에서는 [[해트트릭]]을 성공하기도 했고, 스플릿 라운드까지 꾸준히 출전하여 2년 연속 팀 내 최다 득점자에 이름을 올려 수원의 리그 준우승에 이바지하며 활약을 인정받아 재계약 체결하며 수원에 잔류하게 되었다. 이듬해 2016년 산토스는 부쩍 개인플레이가 늘어나고 팀플레이에 겉도는 모습을 보이며 득점을 올렸음에도 비판받는 상황에 놓이면서 주춤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으나 2016년 4월 19일 [[AFC 챔피언스리그]] 조별예선 [[감바 오사카]]와 경기에서 경기력을 회복해 팀 공격을 이끌었고, 멀티 골까지 성공시키며 부진하던 수원을 구하였다. 이후 [[김건희]] 등 어린 공격진을 이끌며 공격을 진두지휘한 산토스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득점포를 연일 가동하며 팀내 최고 공격 자원임을 자랑하였다. 그러나 여름 이적 시장에서 [[조나탄]] 선수가 수원에 입단하면서 점차 입지가 애매해지는 모습을 보였는데, 입단 초반에는 [[조나탄]] 선수가 부상과 적응으로 좋지 못한 활약에 위상에 큰 변화가 없었으나, 팀 공격 중심이 [[조나탄]]으로 편성되면서 점차 서브로 내려가는 일이 잦아지게 되고 말았다.<ref>산토스 중심으로 공격을 풀어갈 때 견제를 풀어주기 위해 최전방 공격수들의 역할이 상당히 많았었다. 그러나 [[조나탄]] 선수가 공격 중심으로 활약하게 되자 이런 역할을 줄이고 득점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서정원]] 감독이 전술을 수정하게 되면서 산토스 선수의 입지는 애매해진 것이다. 게다가 두 선수의 침투 동선이 겹치는 문제점도 있었다.</ref> 이는 하위 스플릿 라운드까지 이어져 [[광주 FC]]와 경기에 출전해 하나의 득점을 올린 것에 만족해야만 했다.<ref>이 득점으로 [[서정원]] 감독이 선수시절 보유하고 있던 수원 통산 최다 득점자 기록인 46득점에 동률을 이루게 되었다.</ref>
 +
 +
2017년에는 시즌 초반 [[AFC 챔피언스리그]]에서 [[광저우 에버그란데]]를 상대로 헤딩 골로 시즌 첫 득점을 올리기도 했으나, 점차 [[다미르]]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거나 공격 자리에서도 [[조나탄]]. [[염기훈]] 등의 선수들이 산토스의 자리를 대신하면서 벤치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고 말았다. 그리고 2017년 5월 3일 [[KEB하나은행 K리그 클래식 2017]] 9라운드 [[포항 스틸러스]]를 상대로 절묘한 로빙슛으로 리그 첫 골을 기록함과 동시에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통산 최다 득점자에 이름을 올리는 활약을 선보여 주전 경쟁에 뒤쳐지지 않았음을 보여주었다.
      90번째 줄: 93번째 줄:     
* 유난히 숫자 '''14'''와 관련이 많은 선수이다. SK 시절 3시즌 연속 14득점을 기록하더니 우한 줘얼에선 14경기 출전에 그치며 중국 생활을 마무리 했고, 2014년에 수원에서 14골을 득점하여 득점왕에 오르기도 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2015년에도 14득점 징크스를 이어가는지가 화재가 되기도 했는데, 초반에는 부진한 활약에 불가능할 것 같더니 스플릿 라운드 진입 후 12득점을 기록하면서 또 14득점을 달성하는 가했으나, 결국 12득점에서 득점 행진을 멈추게 되며 14 징크스에서 탈출(?)하였으며 2016년에도 12득점으로 시즌을 마무리 했다.
 
* 유난히 숫자 '''14'''와 관련이 많은 선수이다. SK 시절 3시즌 연속 14득점을 기록하더니 우한 줘얼에선 14경기 출전에 그치며 중국 생활을 마무리 했고, 2014년에 수원에서 14골을 득점하여 득점왕에 오르기도 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2015년에도 14득점 징크스를 이어가는지가 화재가 되기도 했는데, 초반에는 부진한 활약에 불가능할 것 같더니 스플릿 라운드 진입 후 12득점을 기록하면서 또 14득점을 달성하는 가했으나, 결국 12득점에서 득점 행진을 멈추게 되며 14 징크스에서 탈출(?)하였으며 2016년에도 12득점으로 시즌을 마무리 했다.
 +
 +
* 2017년 5월 3일자로 2004년 이후 경신되지 않았던 [[서정원]] 감독의 수원 통산 최다 득점 기록인 46득점을 [[포항 스틸러스]]와 경기에서 득점함으로 47골을 기록, 최다 득점자에 자신의 이름을 올렸다.
      107번째 줄: 112번째 줄:  
| 2009 || {{국기그림|브라질}} 카스카베우 || [[캄페오나투 파라나엔시]] 세리 오루 ||
 
| 2009 || {{국기그림|브라질}} 카스카베우 || [[캄페오나투 파라나엔시]] 세리 오루 ||
 
|-
 
|-
| 2010 ~ 2012 || {{팀/SK}} || [[K리그]] ||
+
| 2010 ~ 2012 || {{팀|SK}} || [[K리그]] ||
 
|-
 
|-
 
| 2013.02 ~ 2013.07 || {{국기그림|중국}} 우한 줘얼 || [[중국 슈퍼리그]] ||
 
| 2013.02 ~ 2013.07 || {{국기그림|중국}} 우한 줘얼 || [[중국 슈퍼리그]] ||
 
|-
 
|-
| 2013.07 ~ 현재 || {{팀/수원}} || [[K리그 클래식]] ||
+
| 2013.07 ~ 현재 || {{팀|수원|2017}} || [[K리그 클래식]] ||
 
|}
 
|}
  

편집

7,499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