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84년 1월, 국방부의 승인과 [[대한체육회]]의 협조를 얻어 육해공 3군 체육부대는 대통합을 맞이, 21개 종목<ref>사격, 육상, 복싱, 사이클, 유도, 태권도, 궁도, 레슬링, 근대5종, 역도, 농구, 배구, 축구, 야구, 럭비, 승마, 테니스, 수영, 체조, 배드민턴까지 총 21개 종목이었다. 이후 [[1986년 서울 아시안게임]]과 [[1988년 서울 올림픽]] 등을 거치면서 여기에 핸드볼, 하키, 조정, 펜싱, 아이스하키 등 다른 종목들도 추가된다.</ref> 4백여명의 선수를 거느리는 국군체육부대로 새롭게 발돋움하기에 이른다. 새로이 창단된 국군체육부대의 홈구장은 성남시 남한산성 근교의 국군체육부대 경기 단지였으며, 이곳에서는 1988년 서울 올림픽 레슬링 종목 및 장애인 올림픽 8개 종목이 개최된 바 있다. | | 1984년 1월, 국방부의 승인과 [[대한체육회]]의 협조를 얻어 육해공 3군 체육부대는 대통합을 맞이, 21개 종목<ref>사격, 육상, 복싱, 사이클, 유도, 태권도, 궁도, 레슬링, 근대5종, 역도, 농구, 배구, 축구, 야구, 럭비, 승마, 테니스, 수영, 체조, 배드민턴까지 총 21개 종목이었다. 이후 [[1986년 서울 아시안게임]]과 [[1988년 서울 올림픽]] 등을 거치면서 여기에 핸드볼, 하키, 조정, 펜싱, 아이스하키 등 다른 종목들도 추가된다.</ref> 4백여명의 선수를 거느리는 국군체육부대로 새롭게 발돋움하기에 이른다. 새로이 창단된 국군체육부대의 홈구장은 성남시 남한산성 근교의 국군체육부대 경기 단지였으며, 이곳에서는 1988년 서울 올림픽 레슬링 종목 및 장애인 올림픽 8개 종목이 개최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