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39 바이트 추가됨 ,  2017년 7월 27일 (목) 22:08
6번째 줄: 6번째 줄:  
== 역사 ==
 
== 역사 ==
 
=== 개요 ===
 
=== 개요 ===
1913년 [[대구]] [[달성군]]에서 출생하여 대구고보(경북고), [[보성전문학교]](고려대)를 나와 대구상공은행에서 은행원 생활을 하던 김성곤(金成坤)이 1939년 일본인이 운영하던 대구 칠성동의 비누공장인 송전석감(松田石鹼)을 인수하여 삼공유지(三共油脂)합자회사를 설립하여 이를 모태로 성장 발전한 그룹이다. 김성곤은 기업가 뿐만 아니라 언론인, 정치가, 교육자로도 유명했는데 UP통신의 한국지점이던 동양통신 등 언론을 바탕으로 한 정보와 자유당 4대 민의원, 공화당 6,7,8대 국회의원이라는 핵심권력, 65년 공화당 재정위원장으로 운크라자금, 한일협정 보상금 등에 대한 자금관리 및 커미션 등을 바탕으로 1950년대 면방직(금성방직), 보험(고려화재), 무역(금성산업), 육영(국민대학교), 1960년대 시멘트(쌍용양회), 제지(삼화제지), 해운(금성해운), 1970년대 정유(한국이란석유), 중공업(쌍용중기), 종합상사(금성산업→쌍용산업), 건설(쌍용건설), 1980년대의 컴퓨터(우성정보산업), 증권(쌍용투자증권), 자동차(동아자동차)에 이르기까지 시대 흐름에 발맞춰 사업을 변화 발전시켰으나 그의 사후 아들세대에서 자동차산업에 대한 과도한 투자가 부메랑이 되어 1997년 외환위기를 극복하지 못하고 2004년 그룹이 해체되고 말았다.  
+
1913년 [[대구]] [[달성군]]에서 출생하여 대구고보(경북고), [[보성전문학교]](고려대)를 나와 대구상공은행에서 은행원 생활을 하던 김성곤(金成坤)이 1939년 일본인이 운영하던 대구 칠성동의 비누공장인 송전석감(松田石鹼)을 인수하여 삼공유지(三共油脂)합자회사를 설립하여 이를 모태로 성장 발전한 그룹이다. 김성곤은 기업가 뿐만 아니라 언론인, 정치가, 교육자로도 유명했는데 UP통신의 한국지점이던 동양통신 등 언론을 바탕으로 한 정보와 자유당 4대 민의원, 공화당 6,7,8대 국회의원이라는 핵심권력, 65년 공화당 재정위원장으로 운크라자금, 한일협정 보상금 등에 대한 자금관리 및 커미션 등을 바탕으로 1950년대 면방직(금성방직), 보험(고려화재), 무역(금성산업), 육영(국민대학교), 1960년대 시멘트(쌍용양회), 제지(삼화제지), 해운(금성해운), 1970년대 정유(한국이란석유), 중공업(쌍용중기), 종합상사(금성산업→쌍용산업), 건설(쌍용건설), 1980년대의 컴퓨터(우성정보산업), 증권(쌍용투자증권), 자동차(동아자동차)에 이르기까지 시대 흐름에 발맞춰 사업을 변화 발전시켰으나 그의 사후 아들세대에서 자동차산업에 대한 과도한 투자가 부메랑이 되어 1997년 외환위기를 극복하지 못하고 계열사를 매각하고 현재는 시멘트, 레미콘 전문그룹이 되었다.
      
=== 연혁 ===
 
=== 연혁 ===
익명 사용자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