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416 바이트 추가됨 ,  2017년 12월 1일 (금) 23:47
편집 요약 없음
9번째 줄: 9번째 줄:  
| 우승 = {{국기그림|이탈리아 왕국}} [[이탈리아]]
 
| 우승 = {{국기그림|이탈리아 왕국}} [[이탈리아]]
 
| 우승 횟수 = 1
 
| 우승 횟수 = 1
| 준우승 = {{국기그림|체코}}[[체코슬로바키아]]
+
| 준우승 = {{국기그림|체코}} [[체코슬로바키아]]
| 3위 = {{국기그림|나치독일}}[[독일]]
+
| 3위 = {{국기그림|나치독일}} [[독일]]
| 4위 = {{국기그림|오스트리아}}[[오스트리아]]
+
| 4위 = {{국기그림|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 경기 수 = 17
 
| 경기 수 = 17
 
| 골 수 = 70
 
| 골 수 = 70
| 득점왕 = {{국기그림|체코}}[[네예들리]]<br />(6골)
+
| 득점왕 = {{국기그림|체코}} [[네예들리]] (6골)
 
| 최고 선수 = {{국기그림|이탈리아 왕국}} [[주세페 메아차]]
 
| 최고 선수 = {{국기그림|이탈리아 왕국}} [[주세페 메아차]]
 
| 갱신일 = 2015년 1월 25일
 
| 갱신일 = 2015년 1월 25일
22번째 줄: 22번째 줄:  
'''1934 FIFA 월드컵'''(1934 FIFA World Cup, Campionato mondiale di calcio 1934)은 [[이탈리아]]에서 열린 2번째 [[FIFA 월드컵]]으로, 1934년 5월 27일부터 동년 6월 10일까지 열렸다.  
 
'''1934 FIFA 월드컵'''(1934 FIFA World Cup, Campionato mondiale di calcio 1934)은 [[이탈리아]]에서 열린 2번째 [[FIFA 월드컵]]으로, 1934년 5월 27일부터 동년 6월 10일까지 열렸다.  
   −
== 지역예선 ==
+
 
 +
 
 +
== 지역 예선 ==
 
[[1934년 FIFA 이탈리아 월드컵 지역예선]] 문서를 참고 바랍니다.
 
[[1934년 FIFA 이탈리아 월드컵 지역예선]] 문서를 참고 바랍니다.
 +
    
== 달라진점 ==
 
== 달라진점 ==
* 이전 대회까지 모든 참가국이 초청국으로 구성되었지만, 처음으로 지역예선을 통해 참가국이 정해졌다. 즉, 전체 31개 국가가 참가 신청을 하였으며, 이 중 16개 국가 만이 본선 무대를 밟았던 것이다. 이처럼 본선 16개 국가 참가의 틀은 [[1978년 월드컵]]까지 유지된다.
+
* 초대 월드컵의 경우 모든 초청국이 본선에 참가했던 것과 달리, 이 대회부터 처음으로 지역 예선을 통해 참가국을 정했다. 때문에 전체 31개 참가 신청 국가 중 16개 국가 만이 본선 무대를 밟았다. 이처럼 본선 16개 국가 참가의 틀은 [[1978년 월드컵]]까지 유지된다.
 +
 
    
= 기록 =  
 
= 기록 =  
   
==16강전==
 
==16강전==
 
<BR>
 
<BR>
282번째 줄: 285번째 줄:  
}}
 
}}
   −
==3.4위전==
+
==3/4위전==
 
<BR>
 
<BR>
 
{{footballbox
 
{{footballbox
323번째 줄: 326번째 줄:  
|bgcolor=gold|'''[[그림:1280px-Flag of Italy (1861-1946) crowned.svg.png|80px]]<br>[[이탈리아]] '''<br /> '''[[그림:Jules Rimet cup.png |40px]]'''
 
|bgcolor=gold|'''[[그림:1280px-Flag of Italy (1861-1946) crowned.svg.png|80px]]<br>[[이탈리아]] '''<br /> '''[[그림:Jules Rimet cup.png |40px]]'''
 
|}
 
|}
 +
    
= 결과 =
 
= 결과 =
366번째 줄: 370번째 줄:     
= 에피소드 =
 
= 에피소드 =
* [[1930년 월드컵|지난 대회]] 개최국이자 우승국이었던 [[우루과이]]가 해당 대회에 참가 신청을 하지 않았다, 이 때의 불참 이유로는 30년 월드컵 당시, 유럽 국가가 대거 불참해 대회 규모를 축소시켰던 전례에 대한 보복 등이 거론된다. 어쨋거나, 이로 인해 34년 월드컵은 전 대회 우승국이 참가하지 않은 유일한 월드컵이 되었고, 이후 대회 우승국은 해당 대회 본선에 자동 진출권이 부여되기에 이른다.  
+
* [[1930년 월드컵|직전 대회]] 개최국이자 우승국이었던 [[우루과이]]가 해당 대회에 참가 신청을 하지 않았다.<ref>이 때의 불참 이유로는 직전 대회 당시, 유럽 국가가 대거 불참해 대회 규모를 축소되었던 전례에 대한 보복 등이 거론된다.</ref> 이유야 어쨋거나 우루과이의 불참으로 인해 34년 월드컵은 전 대회 우승국이 참가하지 않은 유일한 월드컵이 되었고, 이후 직전 대회 우승국은 해당 대회 본선에 자동 진출권이 부여되기에 이른다.  
   −
* 개최국 [[이탈리아]]도 당시 지역 예선을 치르고 본선에 출전했다. 덕분에 [[2010년 남아공 월드컵]] 당시,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아프리카 예선에 참가<ref>이는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조별예선이 2010년 남아공 월드컵 지역예선을 겸했기 때문에 벌어진 일이었다.</ref>했던 것과 함께 개최국이 지역 예선에 참가한 유이한 사례지만 2010년의 [[남아공]]은 본선진출이 보장되어 있었고 1934년의 [[이탈리아]]는 본선 진출이 보장되지 않았다. 개최국이 참가하지 않은 대회는 흥행에 성공하기 어렵다고 생각한 [[국제축구연맹]]은 차기대회부터 개최국을 본선에 자동진출 시킨다.
+
* 개최국 [[이탈리아]]도 당시 지역 예선을 치르고 본선에 출전했다. 덕분에 [[2010년 남아공 월드컵]] 당시,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아프리카 예선에 참가<ref>이는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조별 예선이 2010년 남아공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을 겸했기 때문에 벌어진 일이었다.</ref>했던 것과 함께 개최국이 지역 예선에 참가한 유이한 사례로 남아있다. 다만 2010년의 [[남아공]]은 본선 진출이 보장되어 있었고 1934년의 [[이탈리아]]는 본선 진출이 보장되지 않았다는 점이 차이점. 본래 FIFA는 대회 개최국은 지역 예선에 참가시키지 않으려 했으나, 자신들의 축구 실력에 자신감이 넘쳤던 이탈리아는 굳이 지역 예선을 치르고 본선에 올라가겠다고 우겨댔다. 결국 해당 대회는 이탈리아의 지역 예선 참가가 이루어졌으나, 이후 대회부터는 개최국이 지역 예선 탈락시 흥행에 성공하기 어렵다고 생각한 FIFA의 판단으로 개최국은 본선에 자동 진출 시키게 된다.
    
* [[이집트]]는 아시아/아프리카 예선에서 영국령 팔레스타인을 꺾고 본선에 진출하면서, 최초의 아프리카 대표로 기록됐다.
 
* [[이집트]]는 아시아/아프리카 예선에서 영국령 팔레스타인을 꺾고 본선에 진출하면서, 최초의 아프리카 대표로 기록됐다.
 +
    
= 참고 =
 
= 참고 =
익명 사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