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495 바이트 추가됨 ,  2017년 12월 19일 (화) 00:29
119번째 줄: 119번째 줄:     
* 국내에서 처음으로 연고지명이 공식 구단명에 들어간 구단이다.<ref>[[포항제철 아톰즈]]의 경우는 연고지명인 포항이 아니라 기업명인 포항제철이 들어간것이다. 당시 언론에서도 포항제철 아톰즈의 구단명을 순위표에 약자로 표시할 때 '''포철'''로 표시하였다. 1995년 법인화를 통해 포항 아톰즈로 팀명이 변경됐을때 순위표에 약자로 '''포항'''을 표기하였다. </ref>1996년 완전지역연고지제도<ref>이를 계기로 팀명에 공식적으로 연고지명이 표기됐고 언론도 모기업명이 아닌 연고지명으로 표기했다.</ref> 실시이전인 1995년 [[전남 드래곤즈]]와 [[전북 다이노스]]가 연고지명을 공식 구단명에 넣었으나,버팔로는 이보다 1년이 앞선다.
 
* 국내에서 처음으로 연고지명이 공식 구단명에 들어간 구단이다.<ref>[[포항제철 아톰즈]]의 경우는 연고지명인 포항이 아니라 기업명인 포항제철이 들어간것이다. 당시 언론에서도 포항제철 아톰즈의 구단명을 순위표에 약자로 표시할 때 '''포철'''로 표시하였다. 1995년 법인화를 통해 포항 아톰즈로 팀명이 변경됐을때 순위표에 약자로 '''포항'''을 표기하였다. </ref>1996년 완전지역연고지제도<ref>이를 계기로 팀명에 공식적으로 연고지명이 표기됐고 언론도 모기업명이 아닌 연고지명으로 표기했다.</ref> 실시이전인 1995년 [[전남 드래곤즈]]와 [[전북 다이노스]]가 연고지명을 공식 구단명에 넣었으나,버팔로는 이보다 1년이 앞선다.
 +
 +
* 이듬해 창단된 별개의 구단인 [[전북 다이노스]]는 [[95 아디다스컵]] 전주 개막전에서 [[완산 푸마]]와 버팔로의 회원권을 우대한다는 문구를 홍보 포스터에 넣는다. 이는 다이노스가 버팔로를 승계한다는것이 아니라. 어려운 시절 전북 축구 발전에 동참한 지역팬들을 우대하고 프로축구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차원이었다고 한다.<ref>월간축구 1995년 5월호 66P</ref>
 +
 +
    
== 전북 버팔로 <del>사건</del> 연혁 ==
 
== 전북 버팔로 <del>사건</del> 연혁 ==
rollbacks, 관리자

편집

9,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