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52 바이트 추가됨
, 2011년 4월 26일 (화) 11:03
잔글'''리거'''(Leaguer)는 말 그래로 연맹의 가입자, 연맹소속의 선수를 뜻하는 [[스포츠 용어]]이다. 주로 야구에서 많이 사용되며, 한국에서는 ~리그 로 끝나는 연맹의 선수를 부를 때 사용된다.
== 의미 ==
원래 영단어 Leaguer는 군대에서 사용하는 단어로 명사로 포위진 혹은 타동사 포위시키다라는 의미의 고어였다<ref>1605년 쓰여진 세익스피어의 고전 All's Well That Ends Well(끝이 좋으면 다 좋아)의 3막 6장, 26번째줄에 "the leaguer of the adversaries."(상대방(적)의 포위망)라는 표현으로 사용되었다.</ref>. 그러나 점차 스포츠 리그로 대표되는 연맹을 의미하는 리그라는 단어의 사용빈도가 높아지면서 리그의 소속 선수, 연맹의 가입자라는 현재와 같은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 랜드리거(Land Leaguers) - 아일랜드민족토지연맹(Irish National Land League)의 회원, 가입자.
== 스포츠 ==
대체로 [[북미]]에서 스포츠 리그 소속 선수라는 의미로 많이 사용된다. [[영국]]이나 [[호주]] 등 영어 사용국가에서도 League+er의 의미에 대해 충분히 알고 있으나 대중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 '''아이비리거'''(IVY Leaguer) - 미국 동부의 사립 명문 8개 대학을 뜻하는 아이비 리그의 학생을 이르는 말. 아이비 리그라는 단어 자체가 기부금 모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미식축구 교류전을 위해 탄생했으므로 [[스포츠 리그]] 유래의 단어라 할 수 있다.
* '''빅리거'''(Big Leaguer) - 북미 프로야구 [[메이져리그]]의 선수, '''메이져리거'''(Major Leaguer)라는 단어와 혼용된다.
* '''부시리거'''(Bush Leaguer) - 북미 프로야구 [[마이너리그]]의 선수를 의미한다. '''마이너리거'''(Minor Leaguer)라고 하기도 한다.
* '''아이언리거'''(アイアンリーガー, Iron Leaguer) - 1993년도에 제작된 일본 애니메이션 질풍! 아이언리거(疾風!アイアンリーガー, 한국명: [[미래영웅 아이언리거]])에서 미국판 제목 및 로봇들의 스포츠 리그인 아이언리그의 소속 로봇을 이르는 말. 인류가 오랜 시간을 거쳐 만든 스스로 생각하는 초인공지능 로봇. 인간과 별 차이없는 감정을 가진 로봇들 중, 스포츠에 특화된 로봇이다.
== 축구 ==
축구에서 리거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나라는 [[한국]]과 [[일본]]뿐이다. [[메이저리그]]의 영향으로 사용되는 단어로 축구와는 별 연관성이 없다. 아니러니하게도 한국이나 일본에서는 야구리그를 그냥 [[한국 프로야구]]와 [[일본 프로야구]]로 호칭하므로 자국내 야구종목에서는 리거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축구에서만 사용한다.
* '''[[K리거]]'''(K-Leaguer) - [[K리그]] 소속의 선수를 이름.
* '''J리거'''(Jリーガー) - [[J리그]] 소속의 선수를 이름.
* '''프리미어리거'''(Premire Leaguer) - [[잉글랜드 프리미어 리그]] 소속의 선수를 이름.
* '''프리메라리거'''(Primera Liger) - [[스페인 프리메라 리가]] 소속의 선수를 이름. 사실 스페인어+영어~er의 말도 안되는 조합.
* '''분데스리거'''(Bundesliger) - [[독일 분데스리가]] 소속의 선수를 이름. 독일어+영어~er의 콩글리시.
메이저리거의 영향인지 [[K리그]]보다 수준이 낮다고 생각되는 리그에는 이러한 명칭을 잘 사용하지 않는다. [[J리그]] 진출은 그래도 해외파라서??
== 같이 보기 ==
* '''[[K리거]]'''
== 참고 ==
<references/>
[[분류:스포츠]][[분류:스포츠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