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728 바이트 추가됨
, 2011년 5월 7일 (토) 13:22
잔글'''남미왕자'''(南米王者:난베이오샤) 또는 '''CTSB인정 남미왕자'''는 일본 [[2채널]] 축구게시판에서 활동하는 유저들이 만든 유희의 일종이다. 2002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팀인 올림피아 아순시온이 일본을 방문하여 당시 [[J리그]] 2부 최하위였던 [[요코하마 FC]]에게 패하자 요코하마에게 남미왕자 타이틀을 수여하고 [[비공식 축구 세계 챔피언]]과 같이 복싱 녹아웃 타이틀매치 방식으로 챔피언을 결정하는 놀이이다.
== 유래 ==
<pre style="font-family:'ms PGothic',IPAMonaPGothic; font-size:12pt">
_____________
/ CTSB SOUTH AMERICA \
/  ̄ / ̄ ̄ ̄ ̄ ̄ ̄ ̄ ̄\  ̄ \
|l※:::※l| o o o o |l:※:::※l|
|l ∞∞∞∞|\/\/\/|∞∞∞∞ l|
|l ∞∞∞∞|i=◎= ☆ =◎=i|∞∞∞∞ l|
|l ∞∞∞∞|§§§§§§|∞∞∞∞ l|
|l※:::※l| └―ーーーー‐┘ |l※:::※l|
\ _ \________/ _ /
. \ $$ CHAMPION $$ /
 ̄ ̄ ̄ ̄ ̄ ̄ ̄ ̄ ̄ ̄ ̄ ̄</pre>
일반적으로 한국의 웹상에서는 '''남미왕자'''라고 칭하나 남미왕자(南米王者:난베이오샤)는 남미챔피언이라는 의미의 일본에서 사용하는 한자어이므로 축구에서는 [[코파 아메리카]] 우승팀과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의 우승팀을 지칭한다. 남미왕자의 정식명칭은''' CTSB인정 남미왕자'''(CTSB認定 南米王者)이다. CTSB는 Channel Two Soccer Board의 약자로 2채널 축구게시판에서 인정한 남미왕자라는 뜻.
2002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의 우승팀인 [[올림피아 아순시온]]팀이 [[도요타컵]]에 참여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여 당시 [[J리그]] 2부 최하위팀인 [[요코하마 FC]]와의 연습경기에서 3 대 1 로 무참히 패배<ref>90분경기에서는 3 대 0 이었으나 올림피아측에서 시합시간의 연장을 요청하여 20분의 추가시간을 얻어 연장후반 겨우 1득점함.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rowspan=4| '''[[요코하마 FC]]''' ||rowspan=3| 3 ||2 - 0<BR>1 - 0 ||rowspan=3| 1 ||rowspan=4| '''올림피아 아순시온'''
|-
| 연장
|-
|0 - 0<br>0 - 1
|-
|기타무라2<br>오쿠보|| 득점자 || 카바제로
|}
</ref>를 당하자 2채널 축구게시판 유저들이 요코하마 FC가 남미왕자 타이틀을 탈취한 것이라고 얘기하면서 이후 시합마다 챔피언을 가리는 복싱 형식의 녹아웃 타이틀매치로 남미왕자 놀이가 시작되었다.
== 경과 ==
200년 12월 이래 2004년 4월까지는 타이틀이 일본내에 머물러 있다가 당시 왕자인 [[쥬빌로 이와타]]가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 [[상하이 선화]]에 패해 중국으로 유출<ref>유출의 기준은 일본. 자신들이 만든 타이틀이니 그냥 그러려니...</ref>되게 되었다. 3개월간 상하이 선화가 [[AC 밀란]]을 비롯한 여러 팀을 상대로 16차에 걸쳐 왕자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가 2004년 8월 1일, 오이타에서 열린 2002 월드컵 개최 기념 친선전에서 [[오이타 트리니타]]가 승리하여 일본으로 복귀했다. 다시 일본 국내에서 계속 머무르다가 2006년 3월, [[도쿄 베르디]]가 [[AFC 챔피언스 리그]]에 대해 울산에 패배. 2번째 해외 유출. 이 후, 남미 왕자타이틀은 한국내를 전전으로 하다가. 2006년 8월 6일, 다시 오이타에서 열린 2002 월드컵 개최 기념 친선전에서 55대 남미왕자 [[경남FC]]를 3 대 0 으로 이기며 오이타 트리니타가 타이틀을 5개월 만에 일본으로 복귀시켰다. ([[오이타 트리니타]]가 일본 복귀 스페셜리스트) 그러나 2007년 6월 7일, [[A3 챔피언스컵]]에서 70대 왕자 [[우라와 레즈]]가 [[산둥 루넝]]에 져 3번째 해외 유출. 이후 산둥을 이긴 [[성남 일화|성남]]에 의해 한국으로 왔으나 [[피스컵]]때 [[치바스 과달라하라]]에 패배하여 멕시코로 유출. 아르헨티나 리그를 거처 진짜 남미왕자인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대회에서 브라질로 옮겨져서 현재 축구 왕국 [[브라질]]을 전전중.
남미왕자 타이틀이 남미로 복귀하면 2채널 유저들이 이 유희를 그만둘꺼라 예상했으나 아직도 정리하고 있다. 현재 13번째 쓰레드 진행중이다.<ref>2채널 쓰레드는 한개의 쓰레드에 1000개의 토픽을 쓸 수 있어서 1000개의 글이 끝나면 쓰레드는 닫히고 새로운 쓰레드를 연다. 13번째 쓰레드니 12000여개의 토픽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으니 2채널 축구게시판이 국내판, 해외판, 국대판, 월드컵판 등 4개로 나뉘어져 있어서 일본 국내에 머무를 때는 국내판에 쓰레드를 개설하고 해외로 유출되면 해외판에 쓰레드를 새로 개설하므로 중간에 종료된 쓰레드가 존재한다.</ref>
2006년 11월 18일에는 60대 남미왕자인 [[FC 도쿄]]가 34대 [[북패왕자]] [[주빌로 이와타]]에 패하여 2개의 타이틀이 통합된 통합챔피언이 되었다. 북패왕자 대숭 27을 더하면 남미왕자 대수가 된다.
== CTSB ==
CTSB 남미왕자와 관련된 설명이나 기본룰은 2채널 축구게시판 남미왕자 쓰레드에 거주하는 유저들이 유희를 위해 나눈 토픽들을 마토메 사이트에 정리한 것일뿐이니 그저 유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CTSB란? ===
* CTSB = Channel Two Soccer (discussion ) Board
* 오로지 축구 남미 왕좌의 인정을 실시하는, 타이틀 인정 단체이다 (거짓말).
* CTSB는 1999년, 남미 축구 연맹(CONMEBOL)의 1 자문기관으로서 발족했다 (거짓말).
* 설립 당초는 연맹의 요구에 따라 자문하는 것에 지나지 않았지만, 2002년의 개편·타이틀 인정에 관한 권한 확충과 거의 동시기의 요코하마 FC의 활약에 의해, 첫 남미 왕좌 타이틀 인정을 일본에서 하게 된 것으로부터, 급격하게 그 인지도를 업 시켰다(거짓말).
=== 남미왕자 기본룰 ===
*1.대상 시합은 공식전으로 한다. 연습 시합, 2군, 유스 등은 인정되지 않는다. 단, 올림피아 vs 요코하마 FC전은 특별한 예로 한다. 또, PSM([[프레시즌]] 매치)에 대해서는, 대상 시합으로서 인정할 수 있다.
*2.무승부는 타이틀 방어로 한다. 단, 연장전·PK전등이 있으면, 그 결과에 따른다.
*3.타이틀 인정은 각 시합마다 실시한다. Home & Away의 합계로 승패가 정해지는 토너먼트전등에서도 각 시합별로 따로 계산한다.
*4.선수별의 득점 랭킹에서는, 그 선수의 소속에 관련되지 않고 득점을 단순 가산한다.
:예) 득점 3위 바론의 소속은, 현소속의 「센다이」라고 표기한다.(2005년 현재) 하지만, 그 득점은 주로 세렛소 오사카 시대의 기록.
*5.스포일러가 있으므로 여유를 가지고....어쨌든 올림피아는 2002년의 남미 왕자였으니…. 보수를 위해 자료, 뉴스 대환영.
=== CTSB의 왕자인정 방법에 대하여 ===
* CTSB는, 기본 룰에 준거해 남미왕좌를 인정한다.
* 본 CTSB가, PSM(프레시즌 매치)를 타이틀 매치에 인정하려면, 평의원의 찬성의견이 다수라고 인정되어야 한다.
* 그 외, 다른 의견이 생겼을 때는, PSM의 타이틀 매치 인정의 방식에 준해서 결정된다.
* 평의원(쓰레드에서 활동하는 유저를 이름)
=== 요코하마FC의 타이틀 인정에 관하여 ===
* CTSB는, 올림피아가 잠정 남미왕자가 되고 나서 토요타컵을 위해서 일본 방문한 시기 전의 시합에 대해서는, 모두 연습 시합 취급으로 한다. 왜냐하면, 위대한 남미 왕좌(잠정)의 탈취 후 선수들의 모티베이션이 극단적으로 저하하고 있어 그 사이 올림피아가 진 것에 대해서는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 한편 CTSB는, 올림피아가 일본에 있어 당시 J리그 2부 최하위 요코하마 FC와의 사이에 짠 대전에 대해서는 타이틀 매치라고 인정한다. 그것은, 올림피아가 이 대전시에는, 그들의 희망으로 시합을 21분간이나 연장한 것 등 분명히 나름의 초진심 모드였기 때문이다. 이 일본의 고즈쿠에(요코하마의 지명)에서 행해진 시합에서는, 21분간의 연장에도 불구하고 올림피아는 불과 1골만 넣어, 요코하마 FC에 1대 3으로 패전했다. 이로 인해, CTSB 인정 초대 남미왕자 요코하마 FC가 탄생했다.
== 역대 남미왕자 일람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대수 !! 연월일 !! 팀 !!방어<br>횟수!! 비고
|-
| 초대왕자 || 02/12/03 || 요코하마 FC || 2 || Club Olimpia Asunción에 승리 남미왕자 Start!!
|-
| 2대왕자 || 02/12/15 || 교토 퍼플상가 || 4 || J.League
|-
| 3대왕자 || 03/03/01 || 쥬빌로 이와타 || 1 ||
|-
| 4대왕자 || 03/03/15 || 빗셀 고베 || 1 ||
|-
| 5대왕자 || 03/04/06 || 교토 퍼플상가 || 1 ||
|-
| 6대왕자 || 03/04/12 || 가시와 레이솔 || 1 ||
|-
| 7대왕자 || 03/04/23 || FC 도쿄 || 0 ||
|-
| 8대왕자 || 03/04/26 || 가시마 앤틀러스 || 1 ||
|-
| 9대왕자 || 03/05/05 || 요코하마 FM || 1 ||
|-
| 10대왕자 || 03/05/17 || 가시와 레이솔 || 2 ||
|-
| 11대왕자 || 03/07/05 || JEF 이치하라 || 3 ||
|-
| 12대왕자 || 03/07/26 || 시미즈 에스펄스 || 3 ||
|-
| 13대왕자 || 03/08/23 || 쥬빌로 이와타 || 1 ||
|-
| 14대왕자 || 03/08/30 || 교토 퍼플상가 || 0 ||
|-
|<del> 15대왕자</del> || 03/09/03 || 동패 베르디 || 7 ||
|-
| 16대왕자 || 03/11/08 || 우라와 레즈 || 0 ||
|-
| 17대왕자 || 03/11/15 || 시미즈 에스펄스 || 0 ||
|-
| 18대왕자 || 03/11/24 || 세레소 오사카 || 5 ||
|-
| 19대왕자 || 04/01/01 || 쥬빌로 이와타 || 11 ||
|-
| 20대왕자 || 04/04/22 || 상하이 선화 || 16 || AFCCL / CSL / AC Milin
|-
| 21대왕자 || 04/08/01 || 오이타 트리니타 || 2 || 2002 월드컵기념사업 국제친선경기 / J.League
|-
| 22대왕자 || 04/08/21 || 요코하마 FM || 0 ||
|-
| 23대왕자 || 04/08/30 || 나고야 그램퍼스 || 2 ||
|-
| <del>24대왕자</del> || 04/09/18 || 동패 베르디 || 1 ||
|-
| 25대왕자 || 04/09/26 || 산프레체 히로시마 || 4 ||
|-
| 26대왕자 || 04/10/31 || 나고야 그램퍼스 || 3 ||
|-
| 27대왕자 || 04/11/23 || 빗셀 고베 || 3 ||
|-
| 28대왕자 || 05/03/19 || 우라와 레즈 || 1 ||
|-
| 29대왕자 || 05/04/02 || 오이타 트리니타 || 0 ||
|-
| 30대왕자 || 05/04/09 || JEF 이치하라 치바 || 1 ||
|-
| 31대왕자 || 05/04/16 || 가시마 앤틀러스 || 2 ||
|-
| 32대왕자 || 05/05/01 || 세레소 오사카 || 2 ||
|-
| 33대왕자 || 05/05/14 || 감바 오사카 || 2 ||
|-
| 34대왕자 || 05/06/04 || 산프레체 히로시마 || 0 ||
|-
| 35대왕자 || 05/06/11 || 가와사키 프론탈레 || 2 ||
|-
| 36대왕자 || 05/07/09 || 가시마 앤틀러스 || 0 ||
|-
| 37대왕자 || 05/07/13 || 나고야 그램퍼스 || 0 ||
|-
| 38대왕자 || 05/07/17 || 알비렉스 니가타 || 3 ||
|-
| 39대왕자 || 05/08/24 || 가시마 앤틀러스 || 0 ||
|-
| <del>40대왕자</del> || 05/08/27 || 동패 베르디 || 0 ||
|-
| 41대왕자 || 05/09/03 || 감바 오사카 || 1 ||
|-
| 42대왕자 || 05/09/17 || 가시와 레이솔 || 0 ||
|-
| 43대왕자 || 05/09/24 || 쥬빌로 이와타 || 3 ||
|-
| 44대왕자 || 05/10/29 || 산프레체 히로시마 || 1 ||
|-
| 45대왕자 || 05/11/12 || 오이타 트리니타 || 3 ||
|-
| <del>46대왕자</del> || 05/12/03 || 동패 베르디 || 1 || AFCCL / K-League
|-
| 47대왕자 || 06/03/08 || 울산 현대 호랑이 || 1 ||
|-
| 48대왕자 || 06/03/15 || 전남 드래곤즈 || 11 ||
|-
| 49대왕자 || 06/05/10 || 대전 시티즌 || 2 ||
|-
| <del>50대왕자</del> || 06/05/20 || 남패 || 0 ||
|-
| <del>51대왕자</del> || 06/05/27 || 북패 || 1 ||
|-
| 52대왕자 || 06/06/03 || 포항 스틸러스 || 2 ||
|-
| 53대왕자 || 06/07/19 || 성남 일화 천마 || 0 ||
|-
| <del>54대왕자</del> || 06/07/22 || 남패 || 0 ||
|-
| 55대왕자 || 06/07/26 || 경남 FC || 1 ||
|-
| 56대왕자 || 06/08/06 || 오이타 트리니타 || 6 || 2002 월드컵기념사업 국제친선경기 / J-League
|-
| 57대왕자 || 06/09/16 || 감바 오사카 || 1 ||
|-
| 58대왕자 || 06/10/01 || 반후레 고후 || 1 ||
|-
| 59대왕자 || 06/10/14 || 가와사키 프론탈레 || 3 ||
|-
| 60대왕자 || 06/11/11 || FC 도쿄 || 0 ||
|-
| 61대왕자 || 06/11/18 || 쥬빌로 이와타 || 4 || 34대 북패왕자
|}
== 같이보기 ==
* [[2채널]]
* [[왕자]]
* [[북패왕자]]
* [[남패왕자]]
== 외부 링크 ==
* [http://www.2ch.net 2채널 홈페이지]
* [http://www.geocities.jp/sekiguti_jr/ctsb/ 남미왕자 마토메 사이트(정리사이트)]
== 참고 사항 ==
<references/>
[[분류:유희]][[분류:일본]][[분류:비공식 타이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