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575 바이트 제거됨 ,  2020년 10월 21일 (수) 10:50
11번째 줄: 11번째 줄:     
== 대한민국과의 관계 ==
 
== 대한민국과의 관계 ==
1989년 한중수교 이전까지는 적성국가내 거주민이었던 재중교포들에 대한 정보가 희박했으나, 한중수교 이후 한국 기업들의 중국 진출 교두보로 재중교포 거주지가 이용되면서 재중교포들과 한국인들간의 교류가 활성화되었다. 이후 재중교포들의 국내 취업이 활성화되었고, 현재 많은 수의 재중교포들이 한국 내에서 활동중이다.
+
1992년 한중수교 이전까지는 적성국가내 거주민이었던 재중교포들에 대한 정보가 희박했으나, 한중수교 이후 한국 기업들의 중국 진출 교두보로 재중교포 거주지가 이용되면서 재중교포들과 한국인들간의 교류가 활성화되었고 재중교포들이 한국과 중국의 가교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이후 재중교포들의 국내 취업이 활성화되었고, 현재 많은 수의 재중교포들이 한국 내에서 활동중이다.
 
  −
최근 한국 경제사정이 나빠짐에 따라, 재중교포들에 대한 한국 네티즌들의 혐오감이 급증하는 추세인데 이는 보이스피싱 등 각종 범죄에 재중교포이 연루되고있다는 사실과 인터넷 사회의 우경화 경향에 발맞춰 겉잡을수 없이 확산되고 있다.<ref>그러나 보이스피싱 범죄의 가담자 대부분이 한국인이라는 점은 사람들이 도외시한다. '보이스피싱의 예방과 대책마련을 위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09.12 윤해성, 곽대경) 에 따르면, 2006년 6월부터 2009년 7월까지 보이스피싱 검거자 17741명 중 한국인의 숫자는 15416명, 중국인 1757명, 대만인 545명 순이었다. 또한 보이스피싱 조직은 '중국,대만 내 조직폭력배 총책 -> 한국인 + 중국인 + 재중교포 주모자와 한국인 대포통장 개설자 -> 한국인 + 재중교포 전화원으로 이루어지는 형태였으며, 무엇보다 대부분의 보이스피싱 조직은 중국내에서 암약하고 있다. </ref>재중교포들도 캐나다, 미국, 일본 거주 한인교포들의 경우 자기나라처럼 한국에서 살며 오히려 외국인이라서 받는 특혜와 재외동포라는 보호를 동시에 누리지만 자신들은 '재외동포의 출입국과 법적 지위에 관한 법률'에 따라 사실상 차별을 받고 있는데다, 한국인들이 황당한 이유를 들어 자신들을 터부시하니 당연히 한국인들에 대해 좋은 감정을 가지지못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결국 서로 불신만 커가는 양상을 낳고 있다.
  −
 
      
== 축구 ==
 
== 축구 ==
익명 사용자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