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52 바이트 추가됨 ,  2011년 8월 11일 (목) 20:15
잔글
편집 요약 없음
19번째 줄: 19번째 줄:  
* '''[[박준홍]]''' - 전 [[대한축구협회]] 회장
 
* '''[[박준홍]]''' - 전 [[대한축구협회]] 회장
   −
== 계성고 축구부 ==
+
= 계성고 축구부 =
 
[[파일:계성1937.jpg‎|thumb|335px|계성고축구부(1937년 5월 부산 원정기념 대구역)]]
 
[[파일:계성1937.jpg‎|thumb|335px|계성고축구부(1937년 5월 부산 원정기념 대구역)]]
 
''''계성고 축구부의 전성기는 1930년대였다. 영남일대에서는 어느 학교나 단체도 감히 도전하지 못하였다. 전국대회에 A,B팀이 출전하여 동교끼리 결승전을 할만큼 상대가 없었다''''<ref>계성고등학교 홈페이지 학교역사 내용 발췌. 당시의 기록이 남아 있는 건 [[전조선축구대회]]의 우승, 준우승팀 뿐이라 확인할 길이 없지만 당시 전조선축구대회도 일부팀(숭실학원,평양,함흥축구단)을 제외하곤 서울까지 원정가기가 만만치 않았을 터이므로 전조선축구대회에 우승명단이 없다는 이유로 무시할 수는 없을 것이다.</ref>라고 전한다. 42년 학교체육에서 구기종목을 폐기하라는 총독부 지시에 따라 구기종목이 없어진 후 해방후에도 농구부만 부활하고 축구부는 없는 상태가 유지되었다.  
 
''''계성고 축구부의 전성기는 1930년대였다. 영남일대에서는 어느 학교나 단체도 감히 도전하지 못하였다. 전국대회에 A,B팀이 출전하여 동교끼리 결승전을 할만큼 상대가 없었다''''<ref>계성고등학교 홈페이지 학교역사 내용 발췌. 당시의 기록이 남아 있는 건 [[전조선축구대회]]의 우승, 준우승팀 뿐이라 확인할 길이 없지만 당시 전조선축구대회도 일부팀(숭실학원,평양,함흥축구단)을 제외하곤 서울까지 원정가기가 만만치 않았을 터이므로 전조선축구대회에 우승명단이 없다는 이유로 무시할 수는 없을 것이다.</ref>라고 전한다. 42년 학교체육에서 구기종목을 폐기하라는 총독부 지시에 따라 구기종목이 없어진 후 해방후에도 농구부만 부활하고 축구부는 없는 상태가 유지되었다.  
27번째 줄: 27번째 줄:  
이후 이렇다 할 성적을 올리지 못하다가 1981년을 끝으로 해체되고 말았다. 당시 체육특기자는 학생수의 3%를 선발할 수 있었는데 계성고 학년 정원이 700명이었고 3%는 21명. 21명의 쿼터로는 유도부, 농구부, 축구부에 유력선수를 모두를 스카우트 할 수 없다는 한계와 재정적 부담이 해체 원인이었다. 계성중을 거쳐 계성고에 입학했던 [[황보관]]은 1학년때 축구부가 해체되어버리는 상황을 맞이해서 눈물을 머금고 [[서울체고]]로 전학갈 수 밖에 없었다.
 
이후 이렇다 할 성적을 올리지 못하다가 1981년을 끝으로 해체되고 말았다. 당시 체육특기자는 학생수의 3%를 선발할 수 있었는데 계성고 학년 정원이 700명이었고 3%는 21명. 21명의 쿼터로는 유도부, 농구부, 축구부에 유력선수를 모두를 스카우트 할 수 없다는 한계와 재정적 부담이 해체 원인이었다. 계성중을 거쳐 계성고에 입학했던 [[황보관]]은 1학년때 축구부가 해체되어버리는 상황을 맞이해서 눈물을 머금고 [[서울체고]]로 전학갈 수 밖에 없었다.
   −
=== 출신 선수 ===
+
== 출신 선수 ==
 
* [[이영민]]  
 
* [[이영민]]  
* [[김희수]] - 22회 졸업, [[함흥 축구단]]소속   
+
* [[김희수]] - 22회 졸업, [[함흥 축구단]]소속
 +
* [[조용해]] - 24회 졸업, [[함흥 축구단]] GK  
 
* [[오세권]] - [[학성고]] 축구부 감독, [[오범석]] 선수의 아버지
 
* [[오세권]] - [[학성고]] 축구부 감독, [[오범석]] 선수의 아버지
  

편집

4,979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