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대학축구정기전

풋케위키, 대한민국 대표 축구위키 FootballK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한일대학축구정기전이란 1972년부터 1991년까지 한일대학축구간의 교류를 위해 개최된 대학축구대회를 말한다. 보통 한일정기전과 세트로 치러지곤 했으며, 한일대학축구정기전은 한일정기전의 오픈 게임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여러모로 덴소컵의 전신이라 할만할듯.


역사[편집]

본래 한일대학축구간 교류전은 한일대학축구정기전이 탄생하기 이전부터 존재했다. 특히 고려대학교와 와세다대학교 축구부간 정기전의 경우는 1961년부터 주기적으로 개최될 정도로 규모가 컸다. 하지만 한국대학선발과 일본대학선발간 정식 경기는 없던차에 1970년부터 대한축구협회가 한국과 일본 간 국가대표 및 대학선발 정기교류전 개최를 구상하였다. 이에 대해 일본 측의 초기 반응은 시쿤둥하였으나, 1972년 뮌헨 올림픽 아시아예선에서 한국, 일본 모두 탈락한 후 대한축구협회 뿐만 아니라 일본축구협회도 위기감을 느끼면서 1972년부터 한일정기전 및 한일대학축구정기전이 개최되기에 이른다.


역대 결과[편집]

연도 월일 장소 스코어 어웨이 비고
1회 1972년 9월 14일 도쿄국립경기장 일본대학선발팀 1 대 1 한국대학선발팀
2회 1973년 6월 24일 서울운동장 한국 1 대 0 일본 심용욱 결승골
3회 1974년 9월 28일 도쿄국립경기장 일본 1 대 4 한국 신현호(해트트릭), 이영운 골[1]
4회 1975년 9월 8일 서울운동장 한국 2 대 2 일본
5회 1976년 12월 4일 도쿄국립경기장 일본 0 대 1 한국 이강민 결승골
6회 1977년 6월 15일 서울운동장 한국 0 대 1 일본 득점 : 나카무라('43)
7회 1979년 3월 4일 도쿄국립경기장 일본 1 대 1 한국 최경식 동점골
8회 1979년 6월 16일 서울운동장 한국 2 대 0 일본
9회 1981년 3월 8일 도쿄국립경기장 일본 0 대 0 한국
10회 1982년 3월 21일 서울운동장 한국 2 대 2 일본
11회 1983년 3월 6일 도쿄국립경기장 일본 0 대 2 한국 김종환(서울대), 백치수(한양대)
12회 1984년 9월 30일 잠실종합운동장 한국 3 대 2 일본 잠실종합운동장 준공기념대회
13회 1988년 10월 26일 도쿄국립경기장 일본 1 대 1 한국 장재학(후3), 나카야마(후17)
14회 1989년 5월 5일 동대문운동장 한국 1 대 0 일본 수원공설운동장에서 동대문으로 장소변경
노정윤('42,도움 김정혁)
15회 1991년 12월 10일 치바 나라시노시경기장 일본 1 대 2 한국 한일축구국가대표정기전과 첫 분리개최
정재권(한양대,'13,도움 김정권)
최진규(자책골), 이지마(자책골)


같이 보기[편집]


참고[편집]

  1. 한일대학축구정기전 역사상 한국의 최다 득점 승리였는데 여기에는 이유가 있다. 1974년 8월 15일 문세광저격사건으로 육영수 당시 대통령 영부인이 사망하는 사건이 불과 1달여전에 터졌었고, 이 때 문세광 신분이 재일교포였던지라 한일관계가 급랭했기 때문. 당시 국모를 또 죽인 일본에 복수하자면서 일부 극우 인사들이 단지(斷指) 시위도 벌어지는등 분위기가 매우 흉흉했고 이 상황에서 한일전을 벌이는 한국대학선발팀은 무조건 이 경기를 이겨야만 했다. 다행히 한일대학축구정기전은 4:1로 대승하며 위기(?)를 넘겼는데, 문제는 메인 이벤트격인 한일정기전에서는 1:4로 한국대표팀이 대패하는 대참사가 터져(;;) 당시 대표팀 선수들이 많은 심적 고생을 해야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