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FC 2016 편집하기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축구 클럽팀 시즌 정보
+
= 시즌 결과 =
| 이름 = <center>광주 FC</center>
 
| 로고 = 광주 FC.jpg
 
| 로고크기 = 200px
 
| 시즌 = [[K리그 클래식 2016]]
 
| 구단주 = {{국기그림|대한민국}} 윤장현
 
| 감독 = {{국기그림|대한민국}} [[남기일]]
 
| 정규리그 = 8위
 
| FA 컵 = 16강
 
| 득점왕 = {{국기그림|대한민국}} [[정조국]] (20골)
 
| 이전 시즌 = [[광주 FC 2015|2015]]
 
| 다음 시즌 = [[광주 FC 2017|2017]]
 
}}
 
2016년 [[K리그 클래식]] 소속 광주 FC의 시즌 기록 문서이다.
 
  
  
 
+
= 선수단 =
 
+
== 스탭진 ==
 
 
 
 
== 시즌 결과 ==
 
=== K리그 클래식 ===
 
* [[현대오일뱅크 K리그 클래식 2016]] '''8위'''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100%;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style="background:#C0C0C0"
 
! 순위 !!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
 
|-
 
| 1 || style="text-align:left"|{{팀/GS}} || '''70''' || 38 || 21 || 7 || 10 || 67 || 46 || +21
 
|-
 
| 2 || style="text-align:left"|{{팀/전북}} || '''67''' || 38 || 20 || 16 || 2 || 71 || 40 || +31
 
|-
 
| 3 || style="text-align:left"|{{팀/SK}}  || '''59''' || 38 || 17 || 8 || 13 || 71 || 57 || +14
 
|-
 
| 4 || style="text-align:left"|{{팀/울산}} || '''54''' || 38 || 14 || 12 || 12 || 41 || 47 || -6
 
|-
 
| 5 || style="text-align:left"|{{팀/전남}} || '''47''' || 38 || 12 || 11 || 15 || 44 || 53 || -9
 
|-
 
| 6 || style="text-align:left"|{{팀/상주}} || '''43''' || 38 || 12 || 7 || 19 || 54 || 65 || -11
 
|- style="background-color:#BBBBBB; line-height:1pt;"
 
|colspan=11|
 
|-
 
| 7 || style="text-align:left"|{{팀/수원}} || '''48''' || 38 || 10 || 18 || 10 || 56 || 59 || -3
 
|-style="background: #add8e6;"
 
| '''8''' || style="text-align:left"|'''{{팀/광주}}''' || '''47''' || 38 || 11 || 14 || 13 || 41 || 45 || -4
 
|-
 
| 9 || style="text-align:left"|{{팀/포항}}  || '''46''' || 38 || 12 || 10 || 16 || 43 || 46 || -3
 
|-
 
| 10 || style="text-align:left"|{{팀/인천}} || '''45''' || 38 || 11 || 12 || 15 || 43 || 51 || -8
 
|-
 
| 11 || style="text-align:left"|{{팀/성남}} || '''43''' || 38 || 11 || 10 || 17 || 47 || 51 || -4
 
|-
 
| 12 || style="text-align:left"|{{팀/수원F}} || '''39''' || 38 || 10 || 9 || 19 || 40 || 58 || -18
 
|}
 
 
 
 
 
=== FA컵 ===
 
* [[2016 KEB하나은행 FA컵]] '''16강 탈락'''
 
: 32강전 對 [[SK 유나이티드]] 1-1 '''무''', [[승부차기]] 5-3 '''승'''
 
: 16강전 對 [[울산 현대]] 0-1 '''패'''
 
 
 
 
 
== 선수단 ==
 
=== 스탭진 ===
 
 
{{col-begin}}
 
{{col-begin}}
 
{{col-3}}
 
{{col-3}}
83번째 줄: 25번째 줄:
  
  
=== 선수단 ===
+
== 선수단 ==
 
* '''2016년 시즌 개막 기준'''  
 
* '''2016년 시즌 개막 기준'''  
 
{{클럽팀 선수명단 시작}}
 
{{클럽팀 선수명단 시작}}
121번째 줄: 63번째 줄:
 
{{클럽팀 선수명단|번호=40 |국적=대한민국  |포지션=MF |이름=[[이찬동]]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40 |국적=대한민국  |포지션=MF |이름=[[이찬동]] }}
 
{{클럽팀 선수명단 끝}}
 
{{클럽팀 선수명단 끝}}
 +
----
  
  
157번째 줄: 100번째 줄:
 
{{클럽팀 선수명단|번호=40 |국적=대한민국  |포지션=MF |이름=[[이찬동]] }}
 
{{클럽팀 선수명단|번호=40 |국적=대한민국  |포지션=MF |이름=[[이찬동]] }}
 
{{클럽팀 선수명단 끝}}
 
{{클럽팀 선수명단 끝}}
 +
----
  
  
== 2016 시즌 이적 상황 ==
+
= 2016 시즌 이적 상황 =
=== 군복무 현황 ===
+
== 군복무 현황 ==
 +
----
 
{{군복무 선수명단 시작}}
 
{{군복무 선수명단 시작}}
 
{{군복무 선수명단|포지션=DF |국적=대한민국 |이름=[[정준연]] |소속팀={{팀/상주}} |전역일= 2017년 9월 13일 }}
 
{{군복무 선수명단|포지션=DF |국적=대한민국 |이름=[[정준연]] |소속팀={{팀/상주}} |전역일= 2017년 9월 13일 }}
 
{{군복무 선수명단|포지션=GK |국적=대한민국 |이름=[[제종현]] |소속팀={{팀/상주}} |전역일= 2017년 9월 13일 }}
 
{{군복무 선수명단|포지션=GK |국적=대한민국 |이름=[[제종현]] |소속팀={{팀/상주}} |전역일= 2017년 9월 13일 }}
{{군복무 선수명단|포지션=MF |국적=대한민국 |이름=[[임선영]] |소속팀={{팀|안산|2016}} |전역일= 2017년 9월 23일 }}
+
{{군복무 선수명단|포지션=MF |국적=대한민국 |이름=[[임선영]] |소속팀={{팀/안산}} |전역일= 2017년 9월 23일 }}
{{군복무 선수명단|포지션=MF |국적=대한민국 |이름=[[안영규]] |소속팀={{팀|안산|2016}} |전역일= 2017년 9월 23일 }}
+
{{군복무 선수명단|포지션=MF |국적=대한민국 |이름=[[안영규]] |소속팀={{팀/안산}} |전역일= 2017년 9월 23일 }}
{{군복무 선수명단|포지션=DF |국적=대한민국 |이름=[[이으뜸]] |소속팀={{팀|안산|2016}} |전역일= 2018년 7월 }}
+
{{군복무 선수명단|포지션=DF |국적=대한민국 |이름=[[이으뜸]] |소속팀={{팀/안산}} |전역일= 2018년 7월 }}
 
{{군복무 선수명단 끝}}
 
{{군복무 선수명단 끝}}
 +
----
  
  
=== 시즌 전 이적 상황 ===
+
== 시즌 전 이적 상황 ==
 +
----
 
{{이적 상황 영입}}
 
{{이적 상황 영입}}
 
{{이적 상황|포지션=FW|이름=[[조주영]] |사유=유스지명 |팀={{국기그림|대한민국}} [[아주대학교]] }}
 
{{이적 상황|포지션=FW|이름=[[조주영]] |사유=유스지명 |팀={{국기그림|대한민국}} [[아주대학교]] }}
192번째 줄: 139번째 줄:
 
{{이적 상황|포지션=GK|이름=[[제종현]] |사유=군입대 |팀={{팀/상주}} }}
 
{{이적 상황|포지션=GK|이름=[[제종현]] |사유=군입대 |팀={{팀/상주}} }}
 
{{이적 상황|포지션=DF|이름=[[정준연]] |사유=군입대 |팀={{팀/상주}} }}
 
{{이적 상황|포지션=DF|이름=[[정준연]] |사유=군입대 |팀={{팀/상주}} }}
{{이적 상황|포지션=MF|이름=[[임선영]] |사유=군입대 |팀={{팀|안산|2016}} }}
+
{{이적 상황|포지션=MF|이름=[[임선영]] |사유=군입대 |팀={{팀/안산}} }}
{{이적 상황|포지션=DF|이름=[[안영규]] |사유=군입대 |팀={{팀|안산|2016}} }}
+
{{이적 상황|포지션=DF|이름=[[안영규]] |사유=군입대 |팀={{팀/안산}} }}
 
{{이적 상황|포지션=FW|이름=[[까시아노2|까시아노]] |사유=임대복귀 |팀={{국기그림|브라질}} 인테르나시오나우 }}
 
{{이적 상황|포지션=FW|이름=[[까시아노2|까시아노]] |사유=임대복귀 |팀={{국기그림|브라질}} 인테르나시오나우 }}
 
{{이적 상황|포지션=FW|이름=[[김호남]] |사유=이적 |팀={{팀/SK}} }}
 
{{이적 상황|포지션=FW|이름=[[김호남]] |사유=이적 |팀={{팀/SK}} }}
206번째 줄: 153번째 줄:
 
{{이적 상황|포지션=MF|이름=[[박성용2|박성용]] |사유=만료 |팀= }}
 
{{이적 상황|포지션=MF|이름=[[박성용2|박성용]] |사유=만료 |팀= }}
 
{{이적 상황 끝}}
 
{{이적 상황 끝}}
 +
----
  
  
=== 시즌 중 이적 상황 ===
+
== 시즌 중 이적 상황 ==
 
{{이적 상황 영입}}
 
{{이적 상황 영입}}
 
{{이적 상황|포지션=MF|이름=[[본즈]] |사유=이적 |팀={{국기그림|불가리아}} PFC 몬타나 }}
 
{{이적 상황|포지션=MF|이름=[[본즈]] |사유=이적 |팀={{국기그림|불가리아}} PFC 몬타나 }}
215번째 줄: 163번째 줄:
 
{{이적 상황|포지션=DF|이름=[[웰링톤]] |사유=계약해지 |팀={{국기그림|인도}} 노스이스트 }}
 
{{이적 상황|포지션=DF|이름=[[웰링톤]] |사유=계약해지 |팀={{국기그림|인도}} 노스이스트 }}
 
{{이적 상황|포지션=MF|이름=[[파비오7|파비오]] |사유=이적 |팀={{국기그림|인도}} 노스이스트 }}
 
{{이적 상황|포지션=MF|이름=[[파비오7|파비오]] |사유=이적 |팀={{국기그림|인도}} 노스이스트 }}
{{이적 상황|포지션=DF|이름=[[이으뜸]] |사유=군입대 |팀={{팀|안산|2016}} }}
+
{{이적 상황|포지션=DF|이름=[[이으뜸]] |사유=군입대 |팀={{팀/안산}} }}
 
{{이적 상황 끝}}
 
{{이적 상황 끝}}
 +
----
  
  
== 시즌 리뷰 ==
+
= 기타 사항 =
[[K리그 클래식]] 복귀 후 두 번째 시즌인 2016년, 광주는 대표팀을 거친 자유계약 신인 선수들을 두루 영입하며 알찬 보강을 마쳤고, [[FC GS]]에서 주전 전력에서 완전히 밀려난 [[정조국]] 선수의 영입을 확정지으면서 주목받기도 했다. 유망주 [[김민혁]] 선수를 마찬가지로 GS에서 영입했으며, 수비수로 [[김진환]] 선수를 보강하며 국내 선수 영입은 알찬 모습이었다. 그러나 외국인 선수 수급은 어려움을 겪어 [[파비오7|파비오]] 선수를 잔류시키는 것에는 성공했으나, 전지훈련 장소에서 [[웰링톤]] 선수를 급하게 영입하고 2015년 [[인천 유나이티드]]에서 활동하고 원소속팀 비셀 고베와 계약이 끝나 갈 곳이 없어진 [[와다]] 선수를 영입하는데 그쳤다. 여기에 2015년까지 주축으로 활동한 선수들이 군 복무를 수행하는 이유로 전력에서 이탈하거나 부동의 에이스인 [[김호남]] 선수가 [[SK 유나이티드]]로 이적하는 등의 출혈도 있었다. 이적 시장에서의 행보만 종합해 본다면, 대거 입단한 신인 선수들의 활약과 야심차게 영입한 [[정조국]] 선수가 좋은 활약을 보인다면 긍정적인 시즌 판도를 예측할 수 있다는 평가를 받은 바 있다.
 
 
 
 
 
광주의 시즌 초반 행보는 긍정적인 요소가 더 돋보였다. [[정조국]] 선수는 시즌 초반부터 득점포를 가동시키며 부활을 알렸고, [[김민혁]] 선수도 활발하고 창의적인 플레이로 다소 투박하다 평가받은 광주 미드필더진에 활력소가 되었다. 이런 이유로 [[이찬동]] 선수의 경우 공격과 수비 모두 비중이 높았던 것에서 수비적으로 더 안정적인 경기 운영을 보여줄 수 있었으며, [[여름]] 선수도 공격과 수비 부담이 많았던 전 시즌보다 조금더 안정적으로 중원을 조율할 수 있었다. 게다가 특히 기대를 많이 걸었던 신인 선수들 중 수비인 [[홍준호]], [[박동진]] [[정동윤]] 선수들은 프로 적응기 없이 곧바로 거칠게 상대 공격수를 압박하며 수비 전력은 예전보다 나아졌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이런 이유들로 광주는 버티는 힘이 생겨 상대를 막다가 득점포를 올려 승점을 챙기며 중위권을 유지하기도 했다. 또한, [[최봉진]] 선수가 기복과 부상이 생기기도 했지만, 신인인 [[윤보상]] 선수의 깜짝 등장으로 골문마저 단단해져 2015년에 이어 다크호스의 위치를 공고히 했다.
 
 
 
 
 
그러나 이런 긍정적인 행보에도 불안 요소가 있었으니, 그것은 신인 선수들이 많이 포진한 관계로 분위기를 타는 경향이 심해 중위권 이상 올라가는 힘을 보이지 못했다. 이는 일정 경기력을 유지하지 못한다는 치명적인 단점으로 자리잡고 말았으며, 전력이 좋고 노련한 선수들이 많은 팀을 상대로도 광주 특유의 패기가 발동되지 않는다면 어려운 경기를 펼치기도 했다. 여기에 신인 수비 3인방과 [[이찬동]] 선수는 거칠게 상대를 압박하는 것은 좋았으나, 그 정도가 조금은 심하다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ref>어찌보면 대놓고 시비(?) 건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도발하는 장면이 자주 목격되었다. 그리고 여기에 넘어간 선수들도 상당했다. 대표적으로 [[인천 유나이티드]]의 [[이효균]].</ref> 게다가 [[정조국]] 선수를 제외하고 [[송승민]] 선수나 [[조주영]] 선수의 득점포가 드물어 정 선수가 부상으로 전력으로 이탈한 여름에는 치고 올라가는 힘을 잃기도 했다. 게다가 여름 이적 시장에서도 조용한 모습이었는데, 활약이 미진한 선수들을 보내는 것까지는 좋았지만 영입은 [[본즈]] 단 한명에 그치고 [[정조국]] 선수의 견제를 분산시켜 줄만한 공격 영입이 없었던 것은 아쉬운 부분이다. 그나마 [[본즈]] 선수는 도통 외국인으로 재미를 못보던 2016년 광주에서 유일하게 제대로 된 활약을 선보였다고 하지만 위에 지적된 문제는 후반기에도 똑같이 이어지고 말았으며, 후반기와 하위 스플릿에서도 비슷한 경기력과 장점, 단점을 유지했다는 평이다.
 
  
  
광주의 2016년 소득은, 강등권과 거리가 먼 대표적인 중위권 팀으로 자리잡아가는 모습에 [[남기일]] 감독이 추구하는 축구가 무르익어 가는 모습이었고, 교체 전술도 발전되었다.<ref>역습 위주로 버티다가 후반에 몰아치는 실리 축구. 여기에 수비 선수들은 강한 압박으로 상대를 무력화 하는 것이다. 이 축구는 예전부터 많은 팀들이 많이 활용한 전략이기도 하지만, 2016년 [[K리그 클래식]]에서는 광주가 가장 잘 활용한 편이다. 하지만 강한 압박이 도가 지나친 상황이 많아 광주가 다른팀 팬들에게 프로 의식이 없다고 비판받기도 했는데, 광주의 변변치 못했던 전력에 신인 선수 위주인 상황을 본다면 이렇게라도 패기로 버티지 않는다면 연패를 거듭하고 말았을 수도 있을 것이다.</ref> 신인 선수들의 프로 적응기를 최대한 빨리 마치게 만들어 여름까지 계속된 [[정조국]] 원맨팀이라는 타이틀을 벗어나기도 했다. 위에 언급된 것 처럼 유망주 공격진들이 [[정조국]] 선수 만큼의 득점포를 올리지 못한 것은 사실이었지만, 자신의 경기 스타일 색이 점차 자리잡으면서 정조국 선수가 부상에서 이탈했을 때 자신만의 스타일로 경기를 만들기도 했으며, 이는 대표적으로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 경기에서 잘 보여주었다. 그러나 시민구단이라는 특성상 이런 상황이 언제 급변할지 모르고 자금 사정도 넉넉치 못해 임금 체불 등의 문제가 있기에 2017년에도 이런 모습과 경기력을 유지 할지는 미지수이다.
+
= 참고 =
 
 
 
 
== 에피소드 ==
 
=== 남기일 감독과 조덕제 감독의 설전 ===
 
[[현대오일뱅크 K리그 클래식 2016]] 12라운드 [[광주 FC]]와 경기에서 [[남기일]] 감독에게 격앙된 목소리로 '''"어린놈의 XX가!!!"'''라고 소리치는 장면이 중계 화면에 잡히기도 했다. 이는 수원 FC의 패배 후 [[김병오]]가 화풀이로 공을 찬 것이 광주 선수를 맞추며 선수들간 싸움이 일어나다가 두 감독의 언쟁으로 번진 것에서 시작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조덕제]] 감독은 덕장 이미지에 먹칠을 하고 말았다. [[조덕제]] 감독과 [[남기일]] 감독이 상호간 무슨 언쟁을 벌였는지는 정확히 나오지는 않았으나, 논란의 당사자인 [[조덕제]] 감독과 [[김병오]] 선수는 다음날 사건에 대해 사과하면서 일단락되었다.
 
 
 
 
 
=== 광주 FC 역사상 첫 시즌 득점상과 MVP 배출 ===
 
이는 [[정조국]] 선수가 해냈다. 정 선수는 20득점으로 개인 커리어 통산 첫 득점상에 오른 것과 동시에 광주 소속으로 첫 득점상 출신이 되었다. 여기에 [[K리그 MVP]]와 [[K리그 클래식 시즌 베스트 11]] 공격수 부문에 이름을 올려 3관왕에 오르는 겹경사를 맞이했다. 마찬가지로 광주 구단 역사상 첫 시즌 MVP 수상자이기도 하다.<ref>또한 하위 스플릿 팀 최초의 [[K리그 MVP]] 수상자이다.</ref>
 
 
 
 
 
== 수상 ==
 
=== [[현대오일뱅크 K리그 클래식 2016]] ===
 
[[K리그 MVP]]
 
: {{국기그림|대한민국}} [[정조국]]
 
 
 
[[K리그 득점상]]
 
: {{국기그림|대한민국}} [[정조국]] (20득점)
 
 
 
[[K리그 클래식 시즌 베스트 11]]
 
: {{국기그림|대한민국}} [[정조국]] (FW)
 
 
 
 
 
== 같이 보기 ==
 
* [[현대오일뱅크 K리그 클래식 2016]]
 
* [[광주 FC]]
 
* [[정조국]]
 
 
 
 
 
== 참고 ==
 
 
<references/>
 
<references/>
 
  
 
{{광주 FC}}
 
{{광주 FC}}
 
[[분류:광주 FC]][[분류:광주 FC 시즌]]
 
[[분류:광주 FC]][[분류:광주 FC 시즌]]

FootballK WIKI-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FootballK WIKI: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