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1,874 바이트 추가됨 ,  2012년 2월 7일 (화) 17:53
잔글
새 문서: 200픽셀|섬네일|[[경남 FC 영어 축구 교실 선수들]] '''유소년 체계 (Youth System)'''은 각 급 클럽이나 학원축구에서 유...
[[파일:GFC English class.jpg|200픽셀|섬네일|[[경남 FC]] 영어 축구 교실 선수들]]
'''유소년 체계 (Youth System)'''은 각 급 클럽이나 [[학원축구]]에서 유소년 선수를 육성하는 체계를 뜻하는 용어다.



== 유소년의 정의 ==
'''유소년''' 혹은 '''유소년 선수 (Youth Player)'''는 일반적으로 U-18 팀 이하 각 급 선수들을 칭한다. 한국의 경우, [[학원축구]]에서 활약하는 선수들과 [[K리그 아카데미]]에서 활동하는 선수를 모두 통칭해 유소년이라 부른다.


== 유소년의 중요성 ==
축구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유소년 선수의 육성이 매우 강조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지역 출신의 선수 발굴 및 기용으로 인한 지역 밀착형 마케팅 전략 가능

* 재능있는 유소년 선수의 발굴을 통한 팀 성적 향상

* 유소년 선수의 상위 리그 혹은 해외 진출로 인한 팀 재정 향상 및 명성 증대


== 한국 축구의 유소년 ==
한국의 유소년 체계는 U-12, U-15, U-18로 대표되는 각 급 학원 축구 중심이었으며, 그 정점에 대학 축구가 있는 형식이었다. 하지만 최근 10여년 간, [[용인시 축구센터]]나 [[진주 고봉우 FC]] 등 클럽 형식으로 운영되면서 우수한 선수들을 배출하는 유소년 팀이 상당히 많아졌고, [[KBS]]에서 방송된 [[날아라 슛돌이]]의 영향으로 클럽 축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거기에 [[K리그]]가 [[고교클럽 챌린지리그]]를 출범시키면서, 각 지역의 초, 중, 고등학교 팀들이 해당 지역 프로팀 산하 유스 클럽으로 지정되는 사례가 생겼다.

[[경남 FC]]는 영어 축구 교실을 개장하여 지역 학부모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기도 하였다.


추가예정


[[분류:유소년]]

편집

3,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