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File:유상철.jpg|200픽셀|섬네일|울산 시절의 유상철]] | [[File:유상철.jpg|200픽셀|섬네일|울산 시절의 유상철]] | ||
− | '''유상철'''(柳想鐵, Yoo, Sang Chul, 1971년 10월 18일~)은 대한민국 서울 출생으로 1994년부터 2006년까지 [[울산 현대]]에서 뛴 올라운드 플레이어이다. 유비라는 별명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K리그의 프랜차이즈 스타. 2011년 7월부터 대전 시티즌 제 6대 감독으로 | + | '''유상철'''(柳想鐵, Yoo, Sang Chul, 1971년 10월 18일~)은 대한민국 서울 출생으로 1994년부터 2006년까지 [[울산 현대]]에서 뛴 올라운드 플레이어이다. 유비라는 별명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K리그의 프랜차이즈 스타. |
+ | |||
+ | 2011년 7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대전 시티즌 제 6대 감독으로 지휘봉을 잡은바 있다. | ||
69번째 줄: | 71번째 줄: | ||
* 2009 ~ 2011 : [[춘천기계공업고등학교]] 축구부 감독 | * 2009 ~ 2011 : [[춘천기계공업고등학교]] 축구부 감독 | ||
− | * 2011.7 ~ | + | * 2011.7 ~ 2012.12 : [[대전 시티즌]] 감독 |
{{col-3}} | {{col-3}} | ||
* K리그 감독 기록 | * K리그 감독 기록 | ||
78번째 줄: | 80번째 줄: | ||
| [[대전 시티즌]] || 2011<ref>2012년 7월 감독에 선임되었기 때문에, FA컵과 컵대회는 본선 탈락한 상태로 시즌을 시작하였다.</ref> || 3|| 3|| 6|| 15위 || - || - || 미참가 | | [[대전 시티즌]] || 2011<ref>2012년 7월 감독에 선임되었기 때문에, FA컵과 컵대회는 본선 탈락한 상태로 시즌을 시작하였다.</ref> || 3|| 3|| 6|| 15위 || - || - || 미참가 | ||
|- | |- | ||
− | | [[대전 시티즌]] || 2012 || | + | | [[대전 시티즌]] || 2012 || 13 || 11 || 20 || 13위 || 미개최 || 8강 || 미참가 |
|- | |- | ||
− | ! 통산 (K리그) || - || | + | ! 통산 (K리그) || - || 16|| 14|| 26 || || || || |
|} | |} | ||
{{col-end}} | {{col-end}} | ||
96번째 줄: | 98번째 줄: | ||
== 지도자 생활 == | == 지도자 생활 == | ||
− | 선수 생활 은퇴 후, 중국 광저우 등지에서 유상철 국제축구교실을 운영하다 2009년부터 춘천기계공고 초대 축구부 감독으로 부임하여 지도자로 활약중이다. 2011년 7월 해임된 [[대전 시티즌]]의 [[왕선재]] 감독의 후임으로 대전 사령탑 물망에 올라있다는 보도가 있었고, 드디어 2011년 7월 17일, 대전 시티즌 제 6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과거 [[김대수]] 선수와의 충돌로 대전과 악연이 있었던 유상철 감독이 대전에서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벌써부터 기대를 모으고있다. 참고로 대전 시티즌 최고참 선수인 [[최은성]]과 동갑내기라 선수단 장악 여부도 관심이 집중되었다. 하지만 2012시즌을 앞두고, 최은성이 구단 사장과의 마찰로 팀을 나가자, 대전은 구심점을 잃은 듯 표류했다. 하지만 [[케빈2|케빈]]과 [[김형범]] 등 경험 많은 공격진을 중심으로 팀의 무게가 잡혀가면서 분위기를 반등시키는 데 성공한듯. | + | 선수 생활 은퇴 후, 중국 광저우 등지에서 유상철 국제축구교실을 운영하다 2009년부터 춘천기계공고 초대 축구부 감독으로 부임하여 지도자로 활약중이다. 2011년 7월 해임된 [[대전 시티즌]]의 [[왕선재]] 감독의 후임으로 대전 사령탑 물망에 올라있다는 보도가 있었고, 드디어 2011년 7월 17일, 대전 시티즌 제 6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과거 [[김대수]] 선수와의 충돌로 대전과 악연이 있었던 유상철 감독이 대전에서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벌써부터 기대를 모으고있다. 참고로 대전 시티즌 최고참 선수인 [[최은성]]과 동갑내기라 선수단 장악 여부도 관심이 집중되었다. 하지만 2012시즌을 앞두고, 최은성이 구단 사장과의 마찰로 팀을 나가자, 대전은 구심점을 잃은 듯 표류했다. 하지만 [[케빈2|케빈]]과 [[김형범]] 등 경험 많은 공격진을 중심으로 팀의 무게가 잡혀가면서 분위기를 반등시키는 데 성공한듯. 하지만 한 때 강등권에서 허덕이는듯 성적은 좋지못했다. 결국 2012시즌 13위로 간신히 1부리그에 잔류하며 시즌을 마쳤으며, 대전은 유상철 감독의 지휘력 부족 등을 이유로 계약 연장 의사를 철회했고, 결국 유상철은 대전 시티즌에서 1년 5개월여만에 지휘봉을 내려놓게 되었다. |
108번째 줄: | 110번째 줄: | ||
* 2009년 이래로 그가 감독하는 곳에는 항상 [[오주포]]가 코치로 따라간다. 말하자면 유상철 사단. | * 2009년 이래로 그가 감독하는 곳에는 항상 [[오주포]]가 코치로 따라간다. 말하자면 유상철 사단. | ||
+ | |||
== 경력 == | == 경력 == |
2012년 12월 1일 (토) 16:04 판
유상철(柳想鐵, Yoo, Sang Chul, 1971년 10월 18일~)은 대한민국 서울 출생으로 1994년부터 2006년까지 울산 현대에서 뛴 올라운드 플레이어이다. 유비라는 별명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K리그의 프랜차이즈 스타.
2011년 7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대전 시티즌 제 6대 감독으로 지휘봉을 잡은바 있다.
선수 프로필
- 이름 : 유상철
|
|
지도자 프로필
|
|
유소년 생활
K리그
국가대표 시절
1994년 비쇼베츠 감독에 의해 히로시마 아시안게임 국가대표로 차출된 이후, 거의 국가대표 부동의 선발 멤버로 거의 10년 가까운 세월동안 필드에서 활약하였다.
지도자 생활
선수 생활 은퇴 후, 중국 광저우 등지에서 유상철 국제축구교실을 운영하다 2009년부터 춘천기계공고 초대 축구부 감독으로 부임하여 지도자로 활약중이다. 2011년 7월 해임된 대전 시티즌의 왕선재 감독의 후임으로 대전 사령탑 물망에 올라있다는 보도가 있었고, 드디어 2011년 7월 17일, 대전 시티즌 제 6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과거 김대수 선수와의 충돌로 대전과 악연이 있었던 유상철 감독이 대전에서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벌써부터 기대를 모으고있다. 참고로 대전 시티즌 최고참 선수인 최은성과 동갑내기라 선수단 장악 여부도 관심이 집중되었다. 하지만 2012시즌을 앞두고, 최은성이 구단 사장과의 마찰로 팀을 나가자, 대전은 구심점을 잃은 듯 표류했다. 하지만 케빈과 김형범 등 경험 많은 공격진을 중심으로 팀의 무게가 잡혀가면서 분위기를 반등시키는 데 성공한듯. 하지만 한 때 강등권에서 허덕이는듯 성적은 좋지못했다. 결국 2012시즌 13위로 간신히 1부리그에 잔류하며 시즌을 마쳤으며, 대전은 유상철 감독의 지휘력 부족 등을 이유로 계약 연장 의사를 철회했고, 결국 유상철은 대전 시티즌에서 1년 5개월여만에 지휘봉을 내려놓게 되었다.
플레이 스타일
에피소드
- 국가대표로도 프로선수로도 많은 족적을 남긴 선수였지만, 2000년 이전까지는 결정적인 순간마다 부상을 당해 아쉬움을 남기는 선수이기도 했다. 일례로 1996년 애틀란타 올림픽에서 와일드카드에 뽑혔으나 전지훈련 중 정강이 부상을 당해 최종 엔트리에서 탈락한바 있고, 2000년에는 네덜란드 팀인 비테세 아른험과의 계약이 성사 직전까지 갔었으나[3] 동년 4월 소속팀에서의 경기 도중 부상을 당해 비테세로의 입단이 불발된바 있다.
- 2009년 이래로 그가 감독하는 곳에는 항상 오주포가 코치로 따라간다. 말하자면 유상철 사단.
경력
- 1999 ~ 2000 : 요코하마 F.마리노스 / J리그
- 2001 ~ 2002 : 가시와 레이솔 / J리그
- 2002 ~ 2003 : 울산 현대 / K리그
- 2003 ~ 2004 : 요코하마 F.마리노스 / J리그
- 2005 ~ 2006 : 울산 현대 / K리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