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째 줄: |
1번째 줄: |
| [[파일:아드리아노3.jpg|300픽셀|섬네일|<center>대전 시절 아드리아노</center>]] | | [[파일:아드리아노3.jpg|300픽셀|섬네일|<center>대전 시절 아드리아노</center>]] |
− | '''아드리아누''' (Adriano, 1987년 9월 28일 ~ )는 브라질 국적의 축구 선수로, 2014년부터 [[K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는 [[스트라이커]]이다. | + | '''아드리아누''' (Adriano, 1987년 9월 28일 ~ )는 브라질 국적의 축구 선수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K리그]]에서 활동하였던 [[스트라이커]]이다. |
| {{다른 사람|아드리아노}} | | {{다른 사람|아드리아노}} |
| | | |
26번째 줄: |
26번째 줄: |
| : 2016년 [[FA컵 득점왕]] | | : 2016년 [[FA컵 득점왕]] |
| | | |
− | * 현 소속팀 : {{팀/GS}} | + | * 현 소속팀 : {{국기그림|중국}} 스좌좡 융창 |
| | | |
− | * [[등번호]] : 11 | + | * [[등번호]] : |
| {{col-3}} | | {{col-3}} |
| * K리그 기록 | | * K리그 기록 |
35번째 줄: |
35번째 줄: |
| ! 연도 !! 소속팀 !! 리그 !! 출장 !! 교체 !! 득점 !! 도움 !! 경고 !! 퇴장 | | ! 연도 !! 소속팀 !! 리그 !! 출장 !! 교체 !! 득점 !! 도움 !! 경고 !! 퇴장 |
| |- | | |- |
− | | 2014 || rowspan=2{{팀/대전|1}} || 챌린지 || 32 || 5 || 27 || 4 || 5 || 0 | + | | 2014 || style="text-align:left" rowspan=2|{{팀|대전|2015}} || 챌린지 || 32 || 5 || 27 || 4 || 5 || 0 |
| |- | | |- |
| | rowspan=2|2015 || rowspan=3|클래식 || 17 || 3 || 7 || 1 || 4 || 1 | | | rowspan=2|2015 || rowspan=3|클래식 || 17 || 3 || 7 || 1 || 4 || 1 |
| |- | | |- |
− | | rowspan=2{{팀/GS|1}} || 13 || 3 || 8 || 1 || 3 || 0 | + | | style="text-align:left" rowspan=2|{{팀|GS}} || 13 || 3 || 8 || 1 || 3 || 0 |
| |- | | |- |
| | 2016 || 30 || 17 || 17 || 6 || 2 || 1 | | | 2016 || 30 || 17 || 17 || 6 || 2 || 1 |
63번째 줄: |
63번째 줄: |
| === GS 시절 === | | === GS 시절 === |
| 2015년 6월 28일 [[인천 유나이티드]]와 경기를 끝으로 대전을 떠나 확실한 외국인 스트라이커가 없었던 [[FC GS]]로 이적하였다. 이적 후 빠르게 팀에 적응했고 팀 공격에 활기를 불어넣으며 [[최용수]] 감독의 절대적인 신임을 받게 되었다. 2016년에 GS로 복귀한 [[데얀]]과 투톱으로 출전, [[AFC 챔피언스리그]]에서 6경기 10골 2도움과 [[K리그 클래식]]에서 8경기 6골 3도움을 기록, 5월까지 팀 소속으로 16골 5도움이라는 무시무시한 활약을 보이며 K리그에서 가장 뛰어난 공격수로 불리고 있다. 그러나 아드리아노를 중심으로 전술 계획을 세운 [[최용수]] 감독이 갑작스럽게 [[중국 슈퍼리그]] 장수 쑤닝 사령탑에 취임하고 [[황선홍]] 감독이 후임으로 오자 약간의 변수가 생기고 만다. [[황선홍]] 감독은 이전보다 아드리아노에게 전방에서 볼 키핑 후 동료 공격수에게 찬스를 만드는 역할까지 주문하게 되면서 활약도가 떨어지게 된다. 게다가 스리톱을 사용하기에 이 자리를 [[데얀]]이 대신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말았다. 그래도 결정력은 가장 좋기에 황 감독도 아드리아노를 활용하기 위해 여러 공격 전술을 사용하였으나, 대전 시절이나 [[최용수]] 감독 시절보다는 잠잠해진 편. 여기에 경기 중에 [[임채민]] 선수를 가격해 퇴장에 징계까지 받아버려 세간에서는 신임 감독과 기싸움을 벌이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견이 나오기도 하면서 주전 자리가 위태로워 지기도 했다. 이후 징계에서 복귀한 뒤에는 이런 우려와 달리 황 감독 전술에도 점차 적응하는 모습으로 득점을 올려 시즌 17득점으로 2년 연속 득점 랭킹 2위에 오르고 팀 우승에 기여함과 동시에 FA컵 결승저에서도 한 골을 넣어 FA컵 득점왕에 올랐다.<ref>아드리아노는 [[대구 FC]]와 32강전에 홀로 4골을 터트려 결승전까지 부동의 득점 1위였다. 이후 결승전에서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조나탄]] 선수가 1·2차전 모두 득점에 성공하고 출전 경기수가 아드리아노보다 적기에 득점왕에 오를 뻔 했지만, 이후 아드리아노도 골을 터트려 5골로 득점왕에 올랐다. 그런데 이 득점은 [[오프사이드]] 위치에 있어 오심이었으며 약간 행운이 따른 득점왕 등극이었다.</ref> | | 2015년 6월 28일 [[인천 유나이티드]]와 경기를 끝으로 대전을 떠나 확실한 외국인 스트라이커가 없었던 [[FC GS]]로 이적하였다. 이적 후 빠르게 팀에 적응했고 팀 공격에 활기를 불어넣으며 [[최용수]] 감독의 절대적인 신임을 받게 되었다. 2016년에 GS로 복귀한 [[데얀]]과 투톱으로 출전, [[AFC 챔피언스리그]]에서 6경기 10골 2도움과 [[K리그 클래식]]에서 8경기 6골 3도움을 기록, 5월까지 팀 소속으로 16골 5도움이라는 무시무시한 활약을 보이며 K리그에서 가장 뛰어난 공격수로 불리고 있다. 그러나 아드리아노를 중심으로 전술 계획을 세운 [[최용수]] 감독이 갑작스럽게 [[중국 슈퍼리그]] 장수 쑤닝 사령탑에 취임하고 [[황선홍]] 감독이 후임으로 오자 약간의 변수가 생기고 만다. [[황선홍]] 감독은 이전보다 아드리아노에게 전방에서 볼 키핑 후 동료 공격수에게 찬스를 만드는 역할까지 주문하게 되면서 활약도가 떨어지게 된다. 게다가 스리톱을 사용하기에 이 자리를 [[데얀]]이 대신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말았다. 그래도 결정력은 가장 좋기에 황 감독도 아드리아노를 활용하기 위해 여러 공격 전술을 사용하였으나, 대전 시절이나 [[최용수]] 감독 시절보다는 잠잠해진 편. 여기에 경기 중에 [[임채민]] 선수를 가격해 퇴장에 징계까지 받아버려 세간에서는 신임 감독과 기싸움을 벌이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견이 나오기도 하면서 주전 자리가 위태로워 지기도 했다. 이후 징계에서 복귀한 뒤에는 이런 우려와 달리 황 감독 전술에도 점차 적응하는 모습으로 득점을 올려 시즌 17득점으로 2년 연속 득점 랭킹 2위에 오르고 팀 우승에 기여함과 동시에 FA컵 결승저에서도 한 골을 넣어 FA컵 득점왕에 올랐다.<ref>아드리아노는 [[대구 FC]]와 32강전에 홀로 4골을 터트려 결승전까지 부동의 득점 1위였다. 이후 결승전에서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조나탄]] 선수가 1·2차전 모두 득점에 성공하고 출전 경기수가 아드리아노보다 적기에 득점왕에 오를 뻔 했지만, 이후 아드리아노도 골을 터트려 5골로 득점왕에 올랐다. 그런데 이 득점은 [[오프사이드]] 위치에 있어 오심이었으며 약간 행운이 따른 득점왕 등극이었다.</ref> |
| + | |
| + | |
| + | === K리그 이후 === |
| + | 2017년 1월 16일로 [[중국 갑급리그]]로 강등당한 스좌좡 융창에 입단하였다. 2017년들어 중국으로 오가는 모습을 개인 SNS에 자주 노출시켰기에 이적은 기정사실이었다. |
| | | |
| | | |
98번째 줄: |
102번째 줄: |
| | → 2013.08 ~ 2013.12 || {{국기그림|브라질}} 아틀레치쿠 고이아니엔시||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B]] || 임대 | | | → 2013.08 ~ 2013.12 || {{국기그림|브라질}} 아틀레치쿠 고이아니엔시||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B]] || 임대 |
| |- | | |- |
− | | 2014.02 ~ 2015.07 || {{팀/대전}} || [[K리그 챌린지]] → [[K리그 클래식]] || | + | | 2014.02 ~ 2015.07 || {{팀|대전|2015}} || [[K리그 챌린지]] → [[K리그 클래식]] || |
| + | |- |
| + | | 2015.07 ~ 2017.01 || {{팀|GS}} || [[K리그 클래식]] || |
| |- | | |- |
− | | 2015.07 ~ 현재 || {{팀/GS}} || [[K리그 클래식]] || | + | | 2017.01 ~ 현재 || {{국기그림|중국}} 스좌좡 융창 || [[중국 갑급리그]]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