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첩보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첩보대'''(諜報隊)는 정보수집 및 첩보활동을 수행했던 '''육군첩보부대'''(HID)의 줄인말이다. [[축구]]에서는 50년대 | + | '''첩보대'''(諜報隊)는 정보수집 및 첩보활동을 수행했던 '''육군첩보부대'''(HID)의 줄인말이다. [[축구]]에서는 50년대 [[인천시|인천]]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던 '''첩보대 축구단''' 또는 '''HID 축구단'''을 말한다. |
− | |||
− | |||
− | |||
− | + | = 첩보대 = | |
+ | '''육군첩보부대'''(HID)는 무장공작원을 훈련시키고 북파를 담당하였던 부대를 말한다. HID는 파견정보사령부(Headquarters of Intelligence Detachment)의 약자이다. 1946년 1월에 미 군정청 국방총사령부 정보과로 발족하여 1948년 5월 조선경비대 총사령부 정보국, 11월 말 육군본부 정보국으로 개편되었다.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첩보업무의 활성화 필요성에 따라 정보국내에 공작과가 편성되었으며, 이때 '''HID'''라는 영문명을 사용하기 시작했다.<ref>당시 정보국내 1과는 입수정보를 분석하는 정보과였고 2과가 HID, 3과가 정보와 방첩관련된 범죄수사를 맡던 특수수사과였다. 3과는 [[특무대]]를 거쳐 현재 국군기무사령부가 되었다.</ref> 1951년 3월에 육군본부 정보국 공작과를 독립하여 '''육군첩보부대'''로 발족한다. 이후 1961년 '''AIU'''(Army Intelligence Unit)로 바뀐 뒤 1972년 '''육군정보사'''(Army Intelligence Command)로 통합되었다가 1990년 육해공군 정보부대<ref>육군 첩보부대(HID), 해군 첩보부대(Underwater Demolition Unit: UDU), 공군 첩보부대(Office Of Special Investigation: OSI)</ref>를 현재의 '''국군정보사령부'''(國軍情報司令部, Defence Intelligence Command: DIC)로 통합되었다. | ||
+ | 이후 HID라는 명칭 자체가 1961년 사라졌지만 여전히 사용되는 중이다. 다만 50년대 첩보부대 자체를 의미하기 보단 대체로 그 부대원 또는 북파공작원을 가리키는 단어로 자주 사용되고 있다. | ||
− | === | + | = 첩보대 축구단 = |
− | + | == 개요 == | |
− | |||
− | |||
− | |||
− | == | + | == 주요 성적 == |
+ | *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 우승 : 1954ㆍ1958 | ||
+ | |||
+ | |||
+ | == 유명 선수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 | |- | ||
+ | ! 첩보대 소속 유명 선수 | ||
+ | |- | ||
+ | |[[문정식]]<ref>1955년부터 1957년까지는 HID 축구단에서 활동하였으나, 1958년 부터는 [[특무대]] 소속으로 활동했다.</ref>ㆍ[[한홍기]]ㆍ[[김지섭]]ㆍ[[정남식]] | ||
+ | |} | ||
+ | |||
+ | |||
+ | == 참고 == | ||
<references/> | <references/> | ||
{{위키백과}} | {{위키백과}} | ||
[[분류:군대]] | [[분류:군대]] |
2017년 2월 24일 (금) 23:33 기준 최신판
첩보대(諜報隊)는 정보수집 및 첩보활동을 수행했던 육군첩보부대(HID)의 줄인말이다. 축구에서는 50년대 인천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던 첩보대 축구단 또는 HID 축구단을 말한다.
첩보대[편집]
육군첩보부대(HID)는 무장공작원을 훈련시키고 북파를 담당하였던 부대를 말한다. HID는 파견정보사령부(Headquarters of Intelligence Detachment)의 약자이다. 1946년 1월에 미 군정청 국방총사령부 정보과로 발족하여 1948년 5월 조선경비대 총사령부 정보국, 11월 말 육군본부 정보국으로 개편되었다.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첩보업무의 활성화 필요성에 따라 정보국내에 공작과가 편성되었으며, 이때 HID라는 영문명을 사용하기 시작했다.[1] 1951년 3월에 육군본부 정보국 공작과를 독립하여 육군첩보부대로 발족한다. 이후 1961년 AIU(Army Intelligence Unit)로 바뀐 뒤 1972년 육군정보사(Army Intelligence Command)로 통합되었다가 1990년 육해공군 정보부대[2]를 현재의 국군정보사령부(國軍情報司令部, Defence Intelligence Command: DIC)로 통합되었다.
이후 HID라는 명칭 자체가 1961년 사라졌지만 여전히 사용되는 중이다. 다만 50년대 첩보부대 자체를 의미하기 보단 대체로 그 부대원 또는 북파공작원을 가리키는 단어로 자주 사용되고 있다.
첩보대 축구단[편집]
개요[편집]
주요 성적[편집]
-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 우승 : 1954ㆍ1958
유명 선수[편집]
첩보대 소속 유명 선수 |
---|
문정식[3]ㆍ한홍기ㆍ김지섭ㆍ정남식 |
참고[편집]
![]() |
이 글에는 GFDL 또는 CC 3.0으로 배포되는 위키백과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