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연혁
[[파일:Ssangyong.png|섬네일|400픽셀|쌍용그룹 로고 변천사]]
[[파일:Ssangyong.png|섬네일|400픽셀|쌍용그룹 로고 변천사]]
'''쌍용그룹'''(Ssangyong Group, 雙龍─)은 [[쌍용양회]]를 모기업으로 하던 기업집단이었다. 창업자 김성곤과 세아들에 의해 운영되었으나 1997년 경제위기 상황을 극복하지 못하고 2004년 해체되었다.
'''쌍용그룹'''(Ssangyong Group, 雙龍─)은 [[쌍용양회]]를 모기업으로 하던 기업집단이었다. 창업자 김성곤과 세아들에 의해 운영되었으나 1997년 경제위기 상황을 극복하지 못하고 계열사가 매각되었다. 현재는 한앤컴퍼니에 편입되었고, 8개 회사만 남아있다.
== 역사 ==
== 역사 ==
=== 개요 ===
=== 개요 ===
1913년 [[대구]] [[달성군]]에서 출생하여 대구고보(경북고), [[보성전문학교]](고려대)를 나와 대구상공은행에서 은행원 생활을 하던 김성곤(金成坤)이 1939년 일본인이 운영하던 대구 칠성동의 비누공장인 송전석감(松田石鹼)을 인수하여 삼공유지(三共油脂)합자회사를 설립하여 이를 모태로 성장 발전한 그룹이다. 김성곤은 기업가 뿐만 아니라 언론인, 정치가, 교육자로도 유명했는데 UP통신의 한국지점이던 동양통신 등 언론을 바탕으로 한 정보와 자유당 4대 민의원, 공화당 6,7,8대 국회의원이라는 핵심권력, 65년 공화당 재정위원장으로 운크라자금, 한일협정 보상금 등에 대한 자금관리 및 커미션 등을 바탕으로 1950년대 면방직(금성방직), 보험(고려화재), 무역(금성산업), 육영(국민대학교), 1960년대 시멘트(쌍용양회), 제지(삼화제지), 해운(금성해운), 1970년대 정유(한국이란석유), 중공업(쌍용중기), 종합상사(금성산업→쌍용산업), 건설(쌍용건설), 1980년대의 컴퓨터(우성정보산업), 증권(쌍용투자증권), 자동차(동아자동차)에 이르기까지 시대 흐름에 발맞춰 사업을 변화 발전시켰으나 그의 사후 아들세대에서 자동차산업에 대한 과도한 투자가 부메랑이 되어 1997년 외환위기를 극복하지 못하고 2004년 그룹이 해체되고 말았다.
1913년 [[대구]] [[달성군]]에서 출생하여 대구고보(경북고), [[보성전문학교]](고려대)를 나와 대구상공은행에서 은행원 생활을 하던 김성곤(金成坤)이 1939년 일본인이 운영하던 대구 칠성동의 비누공장인 송전석감(松田石鹼)을 인수하여 삼공유지(三共油脂)합자회사를 설립하여 이를 모태로 성장 발전한 그룹이다. 김성곤은 기업가 뿐만 아니라 언론인, 정치가, 교육자로도 유명했는데 UP통신의 한국지점이던 동양통신 등 언론을 바탕으로 한 정보와 자유당 4대 민의원, 공화당 6,7,8대 국회의원이라는 핵심권력, 65년 공화당 재정위원장으로 운크라자금, 한일협정 보상금 등에 대한 자금관리 및 커미션 등을 바탕으로 1950년대 면방직(금성방직), 보험(고려화재), 무역(금성산업), 육영(국민대학교), 1960년대 시멘트(쌍용양회), 제지(삼화제지), 해운(금성해운), 1970년대 정유(한국이란석유), 중공업(쌍용중기), 종합상사(금성산업→쌍용산업), 건설(쌍용건설), 1980년대의 컴퓨터(우성정보산업), 증권(쌍용투자증권), 자동차(동아자동차)에 이르기까지 시대 흐름에 발맞춰 사업을 변화 발전시켰으나 그의 사후 아들세대에서 자동차산업에 대한 과도한 투자가 부메랑이 되어 1997년 외환위기를 극복하지 못하고 계열사를 매각하고 현재는 시멘트, 레미콘 전문그룹이 되었다.
=== 연혁 ===
=== 연혁 ===
* 1976년 이란 국영석유회사와 합작으로 한국이란석유주식회사(쌍용정유→에스오일) 설립, 쌍용중공업(현 (주)STX) 설립.
* 1976년 이란 국영석유회사와 합작으로 한국이란석유주식회사(쌍용정유→에스오일) 설립, 쌍용중공업(현 (주)STX) 설립.
* 1977년 10월 쌍용양회 건설사업본부가 독립해 쌍용건설 설립.
* 1977년 10월 쌍용양회 건설사업본부가 독립해 쌍용종합건설(현 쌍용건설) 설립.
*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동양통신이 합동통신과 강제 합병 연합통신 출범. 대구문화방송 주식 51% 강제매각.
* 1980년 대구문화방송 주식 51% 강제매각.
* 1981년 12월 쌍용양회 종합전산실 전산팀이 독립해 우성정보산업(현 쌍용정보통신) 설립
* 1981년 12월 쌍용양회 종합전산실 전산팀이 독립해 우성정보산업(현 쌍용정보통신) 설립
* 1983년 효성증권(쌍용투자증권→굿모닝증권→신한금융투자) 인수
* 1983년 효성증권(쌍용투자증권→굿모닝증권→신한금융투자) 인수
* 1986년 동아자동자공업(현 쌍용자동차) 인수, 남광토건 인수
* 1986년 동아자동차공업(현 쌍용자동차) 인수, 남광토건 인수
* 1995년 성곡미술관 개관(신문로 [[축구회관]] 옆). 성곡미술문화재단 설립. 김석원 신한국당 입당. 김석준 쌍용그룹 회장취임. 첫째 김석원 쌍용양회, 둘째 김석준 쌍용건설, 셋째 김석동 쌍용투자증권 등 김성곤 아들들의 형제경영
* 1995년 성곡미술관 개관(신문로 [[축구회관]] 옆). 성곡미술문화재단 설립. 김석원 신한국당 입당. 김석준 쌍용그룹 회장취임. 첫째 김석원 쌍용양회, 둘째 김석준 쌍용건설, 셋째 김석동 쌍용투자증권 등 김성곤 아들들의 형제경영
* 1996년 김석원 아버지의 지역구이던 대구 달성에서 국회의원 당선, 전노 비자금 관련 사건과 imf 경제위기로 98년 사퇴<ref>이후의 보궐선거에서 박근혜 정치계 입문</ref>
* 1996년 김석원 아버지의 지역구이던 대구 달성에서 국회의원 당선, 전노 비자금 관련 사건과 imf 경제위기로 98년 사퇴<ref>이후의 보궐선거에서 박근혜 정치계 입문</ref>
* 1997년 쌍용자동차에 대한 무리한 투자가 imf 구제금융 이후 부메랑이 되어 돌아와 그룹전체 부실화. 쌍용제지(주)를 미국 P&G에 매각
* 1997년 쌍용템플턴투자신탁운용 설립
* 1998년 쌍용자동차를 대우그룹, 쌍용투자증권을 미국의 H&Q AP에 각각 매각
* 1998년 쌍용제지를 미국 P&G에, 쌍용자동차를 대우그룹, 쌍용투자증권을 미국의 H&Q AP에 각각 매각
* 1999년 쌍용정유가 쌍용그룹 지분을 자사주 매입을 통해 취득하여 계열분리
* 1999년 쌍용투자증권 계열분리, 쌍용정유가 쌍용그룹 지분을 자사주 매입을 통해 취득하여 계열분리
* 2000년 쌍용중공업은 한누리투자증권 컨소시엄에서 매각
* 2000년 쌍용중공업의 지분은 한누리투자증권 컨소시엄에서 매각
* 2001년 쌍용중공업(주), 쌍용엔지니어링(주), (주)텍스텍을 계열회사에서 분리
* 2001년 쌍용중공업(주), 쌍용엔지니어링(주), (주)텍스텍을 계열회사에서 분리
* 2002년 쌍용화재를 중앙제지에 매각,
* 2002년 쌍용화재를 중앙제지에 매각
* 2003년 용평리조트를 세계일보에 매각, 쌍용캐피탈, 남광토건를 계열분리
* 2003년 용평리조트를 세계일보에 매각, 쌍용캐피탈, 남광토건을 계열분리
* 2004년 진방철강 계열 분리, 쌍용양회를 제외한 모든회사를 매각 및 계열분리로 쌍용그룹 해체.
* 2005년 (주)쌍용 계열분리
* 2006년 쌍용건설(주) 계열분리
* 2009년 레미콘부문을 분리해 쌍용레미콘 설립, 해외사업부문을 분리해 쌍용인터내셔널 설립
* 2010년 4월 쌍용기초소재 계열사 편입
* 2011년 쌍용에코텍 설립(환경사업부문 분사)
* 2013년 12월 쌍용인터내셔널, 쌍용에코텍 흡수합병
* 2016년 쌍용로지스틱스(주) 설립
* 2017년 쌍용머티리얼(주)을 (주)유니온에 매각, 쌍용정보통신(주) 계열분리, 쌍용양회공업(주)이 쌍용해운(주), 쌍용자원개발(주) 흡수합병, 대한시멘트(주) 인수
=== 과거 주요 계열사 ===
=== 과거 주요 계열사 ===
* [[쌍용양회]] - 2014년 현재 일본 타이헤이요시멘트(태평양시멘트)가 최대주주이며, 산업은행 등 채권단이 경영권을 가지고 있음.
* 쌍용제지 - 1998년 1월 P&G에 인수되어 계열분리 되었고, 1999년 주식상장을 폐지하였다. 2005년 위생용지 부문을 모나리자 계열사인 쌍용C&B에 매각하였고, 2006년 소프트뱅크와 DK코리아에 매각하였다.
* 동성고속관광 - 쌍용자동차의 자회사로 관광전문 업체이다. 1998년 법인 자체가 청산되었다.
* 쌍용정공 - 2001년 상호를 심팩으로 변경하였고, 그룹에서 분리되었다.
* 쌍용제지 - 크라프트지 제조회사로 전환.
* 쌍용엔지니어링 - 2001년 2월 그룹에서 분리되었고, 2003년 12월 인본건설(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 쌍용C&B - 쌍용제지로 부터 화장지 등 생활용지사업을 이관 받아 설립.
* 쌍용정보통신 - 2017년 4월 한앤코시멘트홀딩스가 주식을 전량 인수하여 계열분리 되었다.
* 쌍용건설 - 김석준이 전문경영인으로 복귀하여 2006년 그룹에서 분리되었다. 재기를 노렸으나 주택경기침체를 극복하지 못하고 2014년 4월 상장폐지되었다.
* 쌍용건설 - 김석준이 전문경영인으로 복귀하여 2006년 그룹에서 분리되었다. 재기를 노렸으나 주택경기침체를 극복하지 못하고 2014년 4월 상장폐지되었다.
* 쌍용자동차 - 쌍용그룹 위기의 원인. 결국 [[대우그룹]]에 인수되었다가 대우에서 분리되었다가 상하이자동차로 인수되었다 다시 인도 마힌드라 자동차로 넘어감.
* 쌍용자동차 - 쌍용그룹 위기의 원인. 결국 [[대우그룹]]에 인수되었다가 대우에서 분리되었다가 상하이자동차로 인수되었다 다시 인도 마힌드라 자동차로 넘어감.
* 쌍용정유(현 에쓰오일) - 쌍용정유가 자사주매입형태로 쌍용그룹지분을 인수하여 분리된 후 한진그룹이 그 지분을 재인수하였다가 다시 매물로 나옴. 사우디 아람코가 1대주주.
* 쌍용정유(현 에쓰오일) - 쌍용정유가 자사주매입형태로 쌍용그룹지분을 인수하여 분리된 후 한진그룹이 그 지분을 재인수하였다가 다시 매물로 나옴. 사우디 아람코의 자회사 AOC가 1대주주.
* 쌍용화재(현 흥국화재) - 태광그룹에 인수되어 흥국생명계열의 흥국화재로 상호변경.
* 쌍용화재(현 흥국화재) - 태광그룹에 인수되어 흥국생명계열의 흥국화재로 상호변경.
* 쌍용투자증권(현 신한금융투자) - 98년 그룹에서 분리되어 굿모닝증권이 된 후 2002년 신한은행에 인수되어 신한굿모닝증권이 되었다가 2009년 금융투자회사로 변경됨.
* 쌍용투자증권(현 신한금융투자) - 1999년 1월 그룹에서 분리되어 굿모닝증권이 된 후 2002년 신한은행에 인수되어 굿모닝신한증권이 되었다가 2009년 금융투자회사로 변경됨.
* 쌍용중공업(현 [[STX]]) - 2001년 쌍용그룹에서 분리되며 쌍용중공업 CFO 출신 강덕수를 중심으로 STX로 상호변경하였으며, STX그룹의 지주회사가 되었다. 그러나 STX그룹도 해체 수순.
* 쌍용중공업(현 [[STX]]) - 2001년 쌍용그룹에서 분리되며 쌍용중공업 CFO 출신 강덕수를 중심으로 STX로 상호변경하였으며, STX그룹의 지주회사가 되었다. 그러나 STX그룹도 해체되었다.
* (주)쌍용(현 GS 글로벌) - 1954년 설립된 금성산업이 쌍용산업, (주)쌍용으로 상호변경. 2002년 채권단의 관리하에 있다가 2006년 모건스탠리그룹에 매각되었다가 2009년 GS그룹에 인수됨.
* (주)쌍용(현 GS 글로벌) - 1954년 설립된 금성산업이 쌍용산업, (주)쌍용으로 상호변경. 2002년 채권단의 관리하에 있다가 2006년 모건스탠리그룹에 매각되었다가 2009년 GS그룹에 인수됨.
* 대구문화방송 - 쌍용그룹의 자회사였으나 1980년 언론통폐합당시 51%를 강제매각한 후 49%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었음. 현재, 29% 김석원,김지용 부자소유. 10% 마루종합건설(김지용계), 8.33% GS글로발소유<ref>8.33%의 지분을 소유한 (주)쌍용이 모건스탠리그룹으로 넘어가면서 문제가 되었는데 방송법상 외국자본이 방송국을 소유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이 문제로 인해 당시 대구문화방송이 자체방송에 광고를 내보내지 못해 수익을 못 얻는 등 큰 혼란 후 GS글로벌에 매각되었다. </ref>
* 대구문화방송 - 쌍용그룹의 자회사였으나 1980년 언론통폐합당시 51%를 강제매각한 후 49%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었음. 현재, 29% 김석원,김지용 부자소유. 10% 마루종합건설(김지용계), 8.33% GS글로벌 소유<ref>8.33%의 지분을 소유한 (주)쌍용이 모건스탠리그룹으로 넘어가면서 문제가 되었는데 방송법상 외국자본이 방송국을 소유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이 문제로 인해 당시 대구문화방송이 자체방송에 광고를 내보내지 못해 수익을 못 얻는 등 큰 혼란 후 GS글로벌에 매각되었다. </ref>
== 스포츠 ==
== 스포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