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353 바이트 제거됨 ,  2018년 11월 25일 (일) 13:36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
[[파일:HDClogo.png|섬네일|250픽셀|현대산업개발의 로고 2012년 이전(상) 이후(하)]]
+
[[파일:HDClogo.png|섬네일|250픽셀|현대산업개발의 로고 2012년 이전(상) 이후(하)]]  
'''현대산업개발'''(現代産業開發, Hyundai Development Company)은 한국도시개발과 한라건설이 1986년 합병해 탄생한 건설회사이다. 건설, 토목(현대산업개발)을 중심으로 석유화학(현대EP), 유통(아이시어스), 헬스케어(아이케어서비스), 악기제조([[영창악기]]), 금융(HDC자산운용)분야 등의 계열사를 보유하여 '''[[현대산업개발그룹]]'''을 구성하고 있다. 2014년 현재, 대표이사 및 회장은 [[정몽규]]이며, 2000년 [[부산 아이파크]]를 인수하여 자회사 [[아이파크스포츠]]가 운영하고 있다. [[대한축구협회]] 회장사이다.
+
'''HDC현대산업개발'''(HDC現代産業開發, HDC Hyundai Development Company)은 한국도시개발과 한라건설이 1986년 합병해 탄생한 건설회사이다. 건설, 토목(현대산업개발)을 중심으로 석유화학(HDC현대EP), 악기제조([[HDC영창]]), 금융(HDC자산운용)분야 등의 계열사를 보유하여 '''[[HDC그룹]]'''을 구성하고 있다. 2014년 현재, 대표이사 및 회장은 [[정몽규]]이며, 2000년 [[부산 아이파크]]를 인수하여 자회사 [[아이파크스포츠]]가 운영하고 있다. [[대한축구협회]] 회장사이다.
    
== 개요 ==
 
== 개요 ==
7번째 줄: 7번째 줄:  
1999년에는 현대산업개발이 [[현대자동차]] 사장 및 [[현대그룹]] 2대 회장을 역임하는 등 오랫동안 현대그룹에서 일해왔던 정주영의 동생 정세영 일가의 몫으로 정해져서 정세영과 그 아들 [[정몽규]]가 각각 명예회장 및 회장으로 취임하면서 8월 현대그룹으로부터 계열 분리됐다.<ref>정세영은 1967년 [[현대자동차]] 설립 당시부터 사장으로 취임하여 30년간 현대자동차에 몸담았으며, 본인을 포니정으로 소개할만큼 애정을 가지고 있었는데 정주영의 장자승계원칙에 따라 1996년 정몽구에게 물려주게 되어 섭섭하게 생각했으나, 자서전에서는 "형님이 껄끄러운 얘기를 하기전에 눈치채고 미리 물러나지 못해 죄송스럽다"는 말로 현대의 가부장적인 면을 보였다.  </ref> 계열분리 이후 현대산업개발은 2000년 2월 [[부산 대우 로얄즈]]를 인수하여 [[부산 아이콘스]]를 출범시키면서 현대그룹과는 분리되어 독자 운영됨을 알렸다. 2001년 3월에는 그룹의 중심인 주택사업에서 아파트 브랜드 [[아이파크]](IPARK)를 런칭하고, 유화사업,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사업 등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영창악기]]를 인수하는 등 사업영역을 확장하여 '''현대산업개발그룹'''으로 성장하였으며, 2014년 현재 자회사 15개, 자산 7.2조원의 기업집단이 되었다.   
 
1999년에는 현대산업개발이 [[현대자동차]] 사장 및 [[현대그룹]] 2대 회장을 역임하는 등 오랫동안 현대그룹에서 일해왔던 정주영의 동생 정세영 일가의 몫으로 정해져서 정세영과 그 아들 [[정몽규]]가 각각 명예회장 및 회장으로 취임하면서 8월 현대그룹으로부터 계열 분리됐다.<ref>정세영은 1967년 [[현대자동차]] 설립 당시부터 사장으로 취임하여 30년간 현대자동차에 몸담았으며, 본인을 포니정으로 소개할만큼 애정을 가지고 있었는데 정주영의 장자승계원칙에 따라 1996년 정몽구에게 물려주게 되어 섭섭하게 생각했으나, 자서전에서는 "형님이 껄끄러운 얘기를 하기전에 눈치채고 미리 물러나지 못해 죄송스럽다"는 말로 현대의 가부장적인 면을 보였다.  </ref> 계열분리 이후 현대산업개발은 2000년 2월 [[부산 대우 로얄즈]]를 인수하여 [[부산 아이콘스]]를 출범시키면서 현대그룹과는 분리되어 독자 운영됨을 알렸다. 2001년 3월에는 그룹의 중심인 주택사업에서 아파트 브랜드 [[아이파크]](IPARK)를 런칭하고, 유화사업,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사업 등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영창악기]]를 인수하는 등 사업영역을 확장하여 '''현대산업개발그룹'''으로 성장하였으며, 2014년 현재 자회사 15개, 자산 7.2조원의 기업집단이 되었다.   
   −
== 현대산업개발그룹 계열사 ==
+
== HDC그룹 계열사 ==
* 현대산업개발 - 건설,토목
+
* HDC현대산업개발 - 건설,토목
 
** 아이파크 - 현대산업개발의 아파트 브랜드  
 
** 아이파크 - 현대산업개발의 아파트 브랜드  
* 아이앤콘스 - 부동산개발, 재건축
+
* HDC아이콘트롤스 - 인텔리전트빌딩시스템(IBS) 등
* 아이서비스 - 부동산관리, 인테리어
+
* HDC현대EP
* 아이콘트롤스 - 인텔리전트빌딩시스템(IBS) 등
+
* HDC아이파크몰(구 현대역사) - 쇼핑
* 현대EP - 석유화학, 현대산업개발 유화사업부가 독립하여 설립
+
* 호텔HDC - 파크 하얏트 서울, 파크 하얏트 부산
* 현대아이파크몰(구 현대역사) - 쇼핑
+
* HDC영창 - 악기제조  
* 호텔아이파크 - 파크 하얏트 서울, 파크 하얏트 부산
  −
* 아이시어스 - IT, 유통
  −
* 아이케어서비스 - 헬스케어
  −
* [[영창뮤직]](구 영창악기) - 악기제조  
   
* HDC자산운용(구 아이투자신탁운용) - 금융
 
* HDC자산운용(구 아이투자신탁운용) - 금융
* [[아이파크스포츠]] - [[부산 아이파크]] 법인
+
* [[HDC스포츠]] - [[부산 아이파크]] 법인
    
== 아이파크 ==
 
== 아이파크 ==
 
[[파일:Iparkbrand.png|섬네일|400픽셀|아이파크 브랜드의 변화]]
 
[[파일:Iparkbrand.png|섬네일|400픽셀|아이파크 브랜드의 변화]]
아이파크(IPARK)는 현대산업개발의 아파트 전문 브랜드이다. 현대산업개발이 현대건설의 주택사업부를 모태로 태어난 회사이기 때문에 과거에는 現代아파트를 브랜드로 사용했으나 99년 현대그룹에서 계열분리된 이후 현대ⓘ아파트로 표기하다가 2001년 3월부터 아이파크를 아파트 브랜드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IPARK의 I는 현대산업개발(Hyundai '''I'''ndustrial Development & Construction Co. LTC)의 2012년 이전 영문명 중 Industrial의 이니셜에서 따왔으며, 영문명과 CI가 바뀐 2012년 이후에는 INNOVATION의 이니셜로 건축현장에서 쓰이는 보와 기둥을 의미하며, PARK는 사람들이 가장 편안한 상태에서 문화를 누릴 수 있는 공간을 뜻하게 되었다. BI는 2001년 런칭 이후 3번의 리뉴얼이 이뤄져 현재에 이르고 있다.  
+
아이파크(IPARK)는 HDC현대산업개발의 아파트 전문 브랜드이다. HDC현대산업개발이 현대건설의 주택사업부를 모태로 태어난 회사이기 때문에 과거에는 現代아파트를 브랜드로 사용했으나 99년 현대그룹에서 계열분리된 이후 현대ⓘ아파트로 표기하다가 2001년 3월부터 아이파크를 아파트 브랜드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IPARK의 I는 현대산업개발(Hyundai '''I'''ndustrial Development & Construction Co. LTC)의 2012년 이전 영문명 중 Industrial의 이니셜에서 따왔으며, 영문명과 CI가 바뀐 2012년 이후에는 INNOVATION의 이니셜로 건축현장에서 쓰이는 보와 기둥을 의미하며, PARK는 사람들이 가장 편안한 상태에서 문화를 누릴 수 있는 공간을 뜻하게 되었다. BI는 2001년 런칭 이후 3번의 리뉴얼이 이뤄져 현재에 이르고 있다.  
    
아이파크가 성공을 거두자 아파트 브랜드 이외에도 아이파크몰, 호텔아이파크 등 다른 계열사의 기업명에도 쓰이기 시작했으며, 2005년에는 축구단의 명칭도 [[부산 아이콘스]]에서 [[부산 아이파크]]로 변경하였다. 법인명은 2003년 설립시부터 아이파크스포츠.
 
아이파크가 성공을 거두자 아파트 브랜드 이외에도 아이파크몰, 호텔아이파크 등 다른 계열사의 기업명에도 쓰이기 시작했으며, 2005년에는 축구단의 명칭도 [[부산 아이콘스]]에서 [[부산 아이파크]]로 변경하였다. 법인명은 2003년 설립시부터 아이파크스포츠.
익명 사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