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풋케위키, 대한민국 대표 축구위키 FootballK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
잔글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실업'''(實業)은 농림수산업, 상업, 공업 등 생산, 제작, 판매 등을 하는 사업이다. 동음이의어인 실업(失業,unemployment)과의 단어 우선순위에서 밀려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실업 스포츠]]''', 실업계 등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
'''실업'''(實業)은 농림수산업, 상업, 공업 등 생산, 제작, 판매 등을 하는 사업을 이르는 말이다. [[동음이의어]]인 실업(失業,unemployment)과의 단어 우선순위에서 밀려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과거 창립된 기업명이나 '''[[실업 스포츠]]''', 실업계 등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
 
 
== 정의 ==  
 
== 정의 ==  
실업은 주로 1차산업(농어업) 및 2차산업(제조업)에 해당하는 사업을 이른다. 이와 대비되는 개념으로는 '''허업'''(虛業)이 있는데 이는 1,2차 산업을 제외한 3차산업(서비스업)을 이르는 말이다. 생산의 유무에 대한 구분이 중요하던 시기에 이루어진 개념으로 실업을 과실을 얻는 사업이고 허업은 사전에 실속이 없이 겉으로만 꾸며 놓은 사업으로 설명되고 있는데 사실 생산하지 않는 업종에 대한 멸시적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ref>그러나 지금 현실은 1,2차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보다 3차산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훨씬 많으며, 더 대우받는 세상이 되었다. 의사, 변호사, 판사, 검사 등 사짜도 다 허업.</ref>  
+
실업은 주로 1차산업(농어업) 및 2차산업(제조업)에 해당하는 사업을 이른다. 이와 대비되는 개념으로는 '''허업'''(虛業)이 있는데 이는 1,2차 산업을 제외한 3차산업(서비스업)에 해당한다. 생산의 유무에 대한 구분이 중요하던 시기에 이루어진 개념으로 실업을 과실을 얻는 사업이고 허업은 실속이 없이 겉으로만 꾸며 놓은 사업으로 설명되고 있는데 허와 실로 업종에 대한 위상을 그대로 설명했다고 할 수 있다.<ref>그러나 지금 현실은 1,2차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보다 3차산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훨씬 많으며, 더 대우받는 세상이 되었다. 의사, 변호사, 판사, 검사 등 사짜도 다 허업.</ref>  
현재 사업을 실업과 허업으로 구분하기 보다는 1,2,3차로 구분하는 경향이기 때문에 현재 허업이라는 용어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실업이라는 용어조차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
현재 허업이라는 단어는 거의 사어화되고, 실업이라는 단어는 사업 또는 기업이라는 단어로 대체되었다. 실업가는 사업가 또는 기업가로 대체되었으며, 과거 창립된 ○○실업 형식의 기업명이나 실업고등학교 등 교육기관<ref>실업에 종사하려는 사람을 위한 교육을 뜻하는 단어인 실업교육이 직업교육과 동일한 의미가 되면서 아예 실업=직업이 되었다. 일본어 [[위키백과]]에서는 실업(実業)문서가 직업(職業) 문서로 리다이렉트된다. 인문계 고등학교와 함께 쓰이던 실업계라는 명칭도 이제는 부정적 인식으로 인해 전문계(專門界)로 바뀌고 있는 상황.</ref> ,그리고 [[실업 스포츠]]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ref>인문계 고등학교와 함께 쓰이던 실업계라는 명칭도 부정적 인식으로 인해 전문계(專門界)로 바뀐상황.</ref>  
+
 
 +
== 실업 스포츠 ==
 +
{{본문|실업 스포츠}}
  
작성중..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11년 5월 4일 (수) 01:41 기준 최신판

실업(實業)은 농림수산업, 상업, 공업 등 생산, 제작, 판매 등을 하는 사업을 이르는 말이다. 동음이의어인 실업(失業,unemployment)과의 단어 우선순위에서 밀려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과거 창립된 기업명이나 실업 스포츠, 실업계 등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정의[편집]

실업은 주로 1차산업(농어업) 및 2차산업(제조업)에 해당하는 사업을 이른다. 이와 대비되는 개념으로는 허업(虛業)이 있는데 이는 1,2차 산업을 제외한 3차산업(서비스업)에 해당한다. 생산의 유무에 대한 구분이 중요하던 시기에 이루어진 개념으로 실업을 과실을 얻는 사업이고 허업은 실속이 없이 겉으로만 꾸며 놓은 사업으로 설명되고 있는데 허와 실로 업종에 대한 위상을 그대로 설명했다고 할 수 있다.[1] 현재 허업이라는 단어는 거의 사어화되고, 실업이라는 단어는 사업 또는 기업이라는 단어로 대체되었다. 실업가는 사업가 또는 기업가로 대체되었으며, 과거 창립된 ○○실업 형식의 기업명이나 실업고등학교 등 교육기관[2] ,그리고 실업 스포츠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실업 스포츠[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실업 스포츠입니다.


같이 보기[편집]

참고 사항[편집]

  1. 그러나 지금 현실은 1,2차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보다 3차산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훨씬 많으며, 더 대우받는 세상이 되었다. 의사, 변호사, 판사, 검사 등 사짜도 다 허업.
  2. 실업에 종사하려는 사람을 위한 교육을 뜻하는 단어인 실업교육이 직업교육과 동일한 의미가 되면서 아예 실업=직업이 되었다. 일본어 위키백과에서는 실업(実業)문서가 직업(職業) 문서로 리다이렉트된다. 인문계 고등학교와 함께 쓰이던 실업계라는 명칭도 이제는 부정적 인식으로 인해 전문계(專門界)로 바뀌고 있는 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