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1,001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12월 14일 (월) 23:32
1번째 줄: 1번째 줄:  
'''K리그 영플레이어상'''은 [[K리그 대상]]의 일종으로 해당 시즌 뛰어난 성적을 거둔 유망주를 선정하는 상이다. 매 시즌이 끝난 뒤 [[K리그 대상]] 수여식에서 발표된다.  
 
'''K리그 영플레이어상'''은 [[K리그 대상]]의 일종으로 해당 시즌 뛰어난 성적을 거둔 유망주를 선정하는 상이다. 매 시즌이 끝난 뒤 [[K리그 대상]] 수여식에서 발표된다.  
   −
[[K리그 1985|1985]]시즌부터 시작하여 [[K리그 2012|2012]]시즌까지 '''K리그 신인선수상'''이라는 이름으로 지속되었으며, [[K리그 2013|2013]]시즌부터 선정 기준이 개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
[[K리그 1985|1985]]시즌부터 시작하여 [[K리그 2012|2012]]시즌까지 '''K리그 신인선수상'''이라는 이름으로 지속되었으며, [[K리그 2013|2013]]시즌부터 선정 기준 및 명칭이 개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17번째 줄: 17번째 줄:       −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에서는 올해의 유망주를 선정할 때 리그에 등록된 모든 23세 이하 선수를 대상으로 하며, 일본 [[J리그]]도 당 해 4월 2일 기준 23세 이하의 선수 중 해외 1부리그 경험이 없고 리그 경기의 절반 이상을 출장한 선수 중에서 선발한다. 2008년까지는 입단연도에 리그경기의 1/3로 출전했을 시에는 다음 년도에 신인왕 후보가 될 수 있다는 기준을 유지했으나 2009년부터는 신인왕 후보에 선정된 적이 없으면 몇년 차든지 상관이 없다.2010년부터는 FIFA의 기준에 맞춰 만21세 이하로 바뀌었다.<ref>[http://www.sanspo.com/soccer/news/100316/sca1003162033004-n1.htm (산케이스포츠) J리그, 우수신인상 21세 이하로 변경(일본어)]</ref><ref>이미 J2에서 150회 이상 출장했으나 J1신인상을 수상했던 쓰케노 다카노리와 J리그 데뷔이전에 이미 국가대표로 활약한 실적이 있으면서도 신인상을 수상한 오카자키 신지와 같은 사례를 없애기 위해 대상 연령을 낮추었다.</ref> 한편, 2009시즌 이근호가 J리그 데뷔 시즌에 인상적인 활약을 펼치자 그의 J리그 신인왕 수상에 대한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는데<ref>[http://osen.mt.co.kr/article/G0911060053 (OSEN-박린) 이근호, J리그 첫 `외국인 신인왕` 가능?]</ref> 이근호는 이미 연령 초과에 해외1부리그를 경험했으므로 그 대상이 되지 않는다. 해외 리그 뿐만 아니라 한국 프로[[야구]] 역시 데뷔 시즌이 아니라 데뷔 후 5시즌 동안 출전 기록이 60타석, 30이닝 이하면 신인왕 후보가 될 수 있는 것으로 볼 때 기존 K리그 신인선수상 제도에는 허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K리그의 신인선수상 규정을 보완해야 한다는 의견이 꾸준히 제기되었다.
+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에서는 올해의 유망주를 선정할 때 리그에 등록된 모든 23세 이하 선수를 대상으로 하며, 일본 [[J리그]]도 당 해 4월 2일 기준 23세 이하의 선수 중 해외 1부리그 경험이 없고 리그 경기의 절반 이상을 출장한 선수 중에서 선발한다. 2008년까지는 입단연도에 리그경기의 1/3로 출전했을 시에는 다음 년도에 신인왕 후보가 될 수 있다는 기준을 유지했으나 2009년부터는 신인왕 후보에 선정된 적이 없으면 몇년 차든지 상관이 없다.2010년부터는 FIFA의 기준에 맞춰 만21세 이하로 바뀌었다.<ref>[http://www.sanspo.com/soccer/news/100316/sca1003162033004-n1.htm (산케이스포츠) J리그, 우수신인상 21세 이하로 변경(일본어)]</ref><ref>이미 J2에서 150회 이상 출장했으나 J1신인상을 수상했던 쓰케노 다카노리와 J리그 데뷔이전에 이미 국가대표로 활약한 실적이 있으면서도 신인상을 수상한 오카자키 신지와 같은 사례를 없애기 위해 대상 연령을 낮추었다.</ref> 한편, 2009시즌 이근호가 J리그 데뷔 시즌에 인상적인 활약을 펼치자 그의 J리그 신인왕 수상에 대한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는데<ref>[http://osen.mt.co.kr/article/G0911060053 (OSEN-박린) 이근호, J리그 첫 `외국인 신인왕` 가능?]</ref> 이근호는 이미 연령 초과에 해외 1부 리그를 경험했으므로 그 대상이 되지 않는다. 해외 리그 뿐만 아니라 한국프로야구 역시, 데뷔 시즌이 아니라 데뷔 후 5시즌 동안 출전 기록이 60타석, 30이닝 이하면 신인왕 후보가 될 수 있는 것으로 볼 때 기존 K리그 신인선수상 제도에는 허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K리그의 신인선수상 규정을 보완해야 한다는 의견이 꾸준히 제기되었다.
      82번째 줄: 82번째 줄:  
|}
 
|}
   −
= 영플레이어상 =
+
 
 +
= K리그 영플레이어상 =
 
기존 신인선수상 제도에는 유망주들의 성장이나 [[중고신인]]에 관련된 문제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진정한 의미의 유망주를 선정한다는 의미와는 괴리가 있었기에 [[K리그 2012]]을 끝으로 신인상을 폐지하고 1,2부 리그를 나누어 승강제를 실시하는 [[K리그 2013]]의 변화에 발맞추어 기존 제도를 다시 검토하고 고쳐 새롭게 만든 상이다.
 
기존 신인선수상 제도에는 유망주들의 성장이나 [[중고신인]]에 관련된 문제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진정한 의미의 유망주를 선정한다는 의미와는 괴리가 있었기에 [[K리그 2012]]을 끝으로 신인상을 폐지하고 1,2부 리그를 나누어 승강제를 실시하는 [[K리그 2013]]의 변화에 발맞추어 기존 제도를 다시 검토하고 고쳐 새롭게 만든 상이다.
   88번째 줄: 89번째 줄:  
== 선정 기준 ==
 
== 선정 기준 ==
 
대상자는 대한민국 국적으로 만 23세 이하, 국내·외 프로 출전 햇수 3년 이내, 해당 시즌 K리그 전체 경기 중 1/2 이상 출전 등 네 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대상자는 대한민국 국적으로 만 23세 이하, 국내·외 프로 출전 햇수 3년 이내, 해당 시즌 K리그 전체 경기 중 1/2 이상 출전 등 네 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
    
== 역대 수상자 ==
 
== 역대 수상자 ==
 +
=== K리그1 수상자 (2013 ~ 현재) ===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style="background:#C0C0C0"
 
|- style="background:#C0C0C0"
96번째 줄: 99번째 줄:  
| [[현대오일뱅크 K리그 2013|2013]] || [[고무열]] || FW || {{팀|포항|2002}} || 34경기 8골 5도움
 
| [[현대오일뱅크 K리그 2013|2013]] || [[고무열]] || FW || {{팀|포항|2002}} || 34경기 8골 5도움
 
|-
 
|-
|[[현대오일뱅크 K리그 2014|2014]]||[[김승대]]||FW||{{팀|포항|2002}}| 30경기 10골 8도움
+
|[[현대오일뱅크 K리그 2014|2014]]||[[김승대]]||FW||{{팀|포항|2002}}|| 30경기 10골 8도움
 
|-
 
|-
 
|[[현대오일뱅크 K리그 2015|2015]]||[[이재성]]||MF||{{팀|전북|2013}}|| 34경기 7골 5도움
 
|[[현대오일뱅크 K리그 2015|2015]]||[[이재성]]||MF||{{팀|전북|2013}}|| 34경기 7골 5도움
 +
|-
 +
|[[현대오일뱅크 K리그 2016|2016]]||[[안현범]]||MF||{{팀|SK}}|| 28경기 8골 4도움
 +
|-
 +
|[[KEB하나은행 K리그 2017|2017]]||[[김민재]]||DF||{{팀|전북|2017}}|| 29경기 2골 0도움
 +
|-
 +
|[[KEB하나은행 K리그 2018|2018]]||[[한승규]]||MF||{{팀|울산|2018}}|| 31경기 5골 7도움
 +
|-
 +
|[[하나원큐 K리그 2019|2019]]||[[김지현]]||FW||{{팀|강원|2019}}|| 27경기 10골 1도움
 +
|-
 +
|[[하나원큐 K리그1 2020|2020]]||[[송민규2|송민규]]||FW||{{팀|포항|2020}}|| 27경기 10골 6도움
 +
|-
 +
|}
 +
=== K리그2 수상자 (2020 ~ 현재) ===
 +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 style="background:#C0C0C0"
 +
! 시즌 !! 성명 !! 포지션 !! 클럽 !! 시즌 기록
 +
|-
 +
|[[하나원큐 K리그2 2020|2020]]||[[이동률]]||FW||{{팀|SK}}|| 14경기 5골 3도움
 +
|-
 
|}
 
|}
  
rollbacks, 관리자

편집

9,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