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째 줄: |
1번째 줄: |
| <small>참고로, 위키피디아의 부산 아이파크 문서의 역사 부분과 아래 부분의 내용이 동일한데, 이는 작성자가 동일인이기 때문입니다. ^^</small> | | <small>참고로, 위키피디아의 부산 아이파크 문서의 역사 부분과 아래 부분의 내용이 동일한데, 이는 작성자가 동일인이기 때문입니다. ^^</small> |
− | === 1. 프로축구 이전 === | + | === 1. 새한자동차 축구단 창단 프로축구 이전 (실업시절) === |
| ---- | | ---- |
− | 1979년 11월 22일 실업 축구단으로 창단된 ''새한자동차 축구단''을 부산 아이파크의 전신이자 모태로 봄이 상당하다고 본다.<ref>[[포항 스틸러스]]도 창단 시점을 포항제철이 실업축구단을 창단했던 1973년으로 잡고 있다.</ref> 1979년 창단 후 1980년 10월경 시즌중에 대우축구단으로 명칭변경 이후 1981년 제29회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실업축구팀에 머물던 새한자동차 축구단이 프로화를 논의하게된 계기에는 한국프로축구 탄생을 위한 움직임들이 자리잡고 있었다. 1980년 12월 20일 한국 최초의 프로축구단인 [[할렐루야 축구단]]이 창단되었고 꼭 1년여 뒤인 1981년 12월 17일 2번째 프로축구단 [[유공 코끼리]]가 창단 됨에 따라 기존에 실업 축구단을 운영 중이던 현대를 비롯해 대우에도 프로화가 권유된다. | + | 1979년 11월 22일 실업 축구단으로 창단된 ''새한자동차 축구단''이 부산 아이파크의 전신이자 모태이다.<ref>[[포항 스틸러스]]도 창단 시점을 포항제철이 실업축구단을 창단했던 1973년으로 잡고 있다.</ref> 1979년 11월 22일 새한자동차 축구단으로 창단 후 1980년 10월경 시즌중에 대우축구단으로 명칭변경 이후 1981년 제29회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실업축구팀에 머물던 새한자동차 축구단이 프로화를 논의하게된 계기에는 한국프로축구 탄생을 위한 움직임들이 자리잡고 있었다. 1980년 12월 20일 한국 최초의 프로축구단인 [[할렐루야 축구단]]이 창단되었고 꼭 1년여 뒤인 1981년 12월 17일 2번째 프로축구단 [[유공 코끼리]]가 창단 됨에 따라 기존에 실업 축구단을 운영 중이던 현대를 비롯해 대우에도 프로화가 권유된다. |
| | | |
− | === 2. 대우 로얄즈 창단 === | + | === 2. 대우 로얄즈 프로화 === |
| ---- | | ---- |
| 1983년 원년에는 대우그룹을 모기업으로 유지하면서 실업축구단으로 [[K-리그|수퍼 리그]]에 참여했으며 1983년에 우승팀인 [[할렐루야 축구단]]에 이어 리그 2위를 기록하였고 그 해 최다 관중을 동원한 팀으로 기록되었다(16경기, 34만 7895명). 당시 대우그룹은 매 홈경기때마다 자사의 자동차, VTR, 냉장고, 세탁기등을 경품으로 내놓는 파격적인 이미지 마케팅 전략을 선보이며 당대에 회자가 되었고 덕분에 대우 홈경기는 연일 만원 행진을 벌였다. | | 1983년 원년에는 대우그룹을 모기업으로 유지하면서 실업축구단으로 [[K-리그|수퍼 리그]]에 참여했으며 1983년에 우승팀인 [[할렐루야 축구단]]에 이어 리그 2위를 기록하였고 그 해 최다 관중을 동원한 팀으로 기록되었다(16경기, 34만 7895명). 당시 대우그룹은 매 홈경기때마다 자사의 자동차, VTR, 냉장고, 세탁기등을 경품으로 내놓는 파격적인 이미지 마케팅 전략을 선보이며 당대에 회자가 되었고 덕분에 대우 홈경기는 연일 만원 행진을 벌였다. |
| | | |
− | 1983년 12월 3일 국내 프로 축구단 제 3호로 재창단 하면서 클럽 공식 명칭을 '''대우 로얄즈'''로 변경하고 1984년 수퍼 리그에 참가했다. 보통은 모기업의 이름인 대우라고 불렸고 그 해 1984년 8승 4무 2패 승점 29점을 기록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 + | 1983년 12월 3일 국내 프로 축구단 제 3호로 프로전환 하면서 클럽 공식 명칭을 '''대우 로얄즈'''로 변경하고 연고지를 부산/경상남도로 정하고 1984년 수퍼 리그에 참가했다. 보통은 모기업의 이름인 대우라고 불렸고 그 해 1984년 8승 4무 2패 승점 29점을 기록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
| | | |
| (1984시즌 MVP [[박창선]], 감투상 [[정용환]], 지도상 [[장운수]] 이상, 대우 로얄즈) | | (1984시즌 MVP [[박창선]], 감투상 [[정용환]], 지도상 [[장운수]] 이상, 대우 로얄즈) |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1988년에는 [[88 서울 올림픽]] 축구대표로 주전 선수들이 대거 차출되면서 최하위를 기록하였고 이듬해인 1989 시즌에도 3위에 머물자 [[이차만]] 감독이 경질되고 90시즌 동독 출신의 [[프랑크 엥겔]]감독을 대우 로얄즈의 사령탑에 앉혀 K리그 최초의 외국인 감독 영입이라는 기록도 세웠다. 엥겔 감독은 동독권에서는 상당히 쳐주는 명장에 속한다. 고국에서는 [[92 바르셀로나 올림픽대표]] 총감독이었던 [[데트마르 크라머]] 이상으로 유명한 인물이기도 하였다. 그런 인물을 데려온 대우의 인맥의 깊이를 가늠케하는 대목이다. | | 1988년에는 [[88 서울 올림픽]] 축구대표로 주전 선수들이 대거 차출되면서 최하위를 기록하였고 이듬해인 1989 시즌에도 3위에 머물자 [[이차만]] 감독이 경질되고 90시즌 동독 출신의 [[프랑크 엥겔]]감독을 대우 로얄즈의 사령탑에 앉혀 K리그 최초의 외국인 감독 영입이라는 기록도 세웠다. 엥겔 감독은 동독권에서는 상당히 쳐주는 명장에 속한다. 고국에서는 [[92 바르셀로나 올림픽대표]] 총감독이었던 [[데트마르 크라머]] 이상으로 유명한 인물이기도 하였다. 그런 인물을 데려온 대우의 인맥의 깊이를 가늠케하는 대목이다. |
| | | |
− | 1991년 [[프랑크 엥겔]]에 이은 2번째 외국인 감독으로 헝가리대표 출신의 [[비츠케이]] 감독을 사령탑에 앉힌 끝에 17승 18무 5패로 K리그 3번째 우승컵을 들어올리는데 성공했다. 91시즌 세운 K리그 21경기 연속 무패 기록은 이후 1997시즌 [[전남 드래곤즈]]가 21경기 연속 무패 기록 타이를 세웠을 뿐 아직까지 깨지지 않고 있다. | + | 1991년 [[프랑크 엥겔]]에 이은 2번째 외국인 감독으로 헝가리대표 출신의 [[비츠케이]] 감독을 사령탑에 앉힌 끝에 17승 18무 5패로 K리그 3번째 우승컵을 들어올리는데 성공했다. 91시즌 세운 K리그 최초 21경기 연속 무패 기록도 신기록이었다. |
| | | |
| (91시즌 MVP, 모범상 [[정용환]], 수비상 [[박현용]], 지도상 [[비츠케이]] 이상 대우 로얄즈) | | (91시즌 MVP, 모범상 [[정용환]], 수비상 [[박현용]], 지도상 [[비츠케이]] 이상 대우 로얄즈) |
38번째 줄: |
38번째 줄: |
| 특히 [[1992년 드래프트]]에서 로얄즈가 지명한 [[신태용]], [[이태홍]]을 내주고 [[성남 일화|일화]]가 지명한 당대 최고의 유망주 [[김정혁]]을 데려오는 승부수를 던졌으나, 김정혁은 부상으로 제 기량을 발휘하는데 실패하였고, 오히려 신태용 이태홍 두 선수가 일화에서 대활약, 일화의 리그 3연패를 이끄는 주인공이 되버렸으니, 로얄즈의 암담함은 극에 달했다. | | 특히 [[1992년 드래프트]]에서 로얄즈가 지명한 [[신태용]], [[이태홍]]을 내주고 [[성남 일화|일화]]가 지명한 당대 최고의 유망주 [[김정혁]]을 데려오는 승부수를 던졌으나, 김정혁은 부상으로 제 기량을 발휘하는데 실패하였고, 오히려 신태용 이태홍 두 선수가 일화에서 대활약, 일화의 리그 3연패를 이끄는 주인공이 되버렸으니, 로얄즈의 암담함은 극에 달했다. |
| | | |
− | 이 암흑기는 95년 [[김주성]]의 복귀 이후에야 겨우 진정 국면으로 접어들었고, 2년뒤, 부산대우로얄즈의 (95년부터 팀명 '''부산 대우 로얄즈'''로 변경) 황금기를 열어젖히게 된다. | + | 이 암흑기는 95년 [[김주성]]의 복귀 이후에야 겨우 진정 국면으로 접어들었고, 2년뒤, 부산대우로얄즈의 (96년부터 팀명 '''부산 대우 로얄즈'''로 변경) 황금기를 열어젖히게 된다. |
| | | |
| === 6. 부산 연고 정착과 전성기 도래 === | | === 6. 부산 연고 정착과 전성기 도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