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le:구덕운동장.JPG|300픽셀|섬네일|2005년 아챔 4강전 당시 구덕운동장]]
[[File:구덕운동장.JPG|300픽셀|섬네일|2005년 아챔 4강전 당시 구덕운동장]]
−
'''구덕종합운동장'''(九德綜合運動場)은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에 위치한 [[종합운동장]]이다. '''구덕운동장'''이라고도 불리운다. 좌석수는 24363석이며 최대 3만 5천명 수용가능하다. 1928년 건축 당시의 명칭은 '''부산공설운동장'''이었으며, [[1982년]] 사직동에 운동장이 건설되기 시작하면서 지금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2001년 이전에는 [[부산 대우 로얄즈]] 및 [[부산 아이콘스]]의 홈구장이었으며, 현재 [[부산교통공사]]의 홈구장이기도 하다.
+
'''구덕종합운동장'''(九德綜合運動場)은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에 위치한 [[종합운동장]]이다. '''구덕운동장'''이라고도 불리운다. 좌석수는 12,349석이다. 1928년 건축 당시의 명칭은 '''부산공설운동장'''이었으며, [[1982년]] 사직동에 운동장이 건설되기 시작하면서 지금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2002년 이전에는 [[부산 대우 로얄즈]] 및 [[부산 아이콘스]]의 홈구장이었으며, 현재 [[부산교통공사]]의 홈구장이기도 하다.
−
−
−
== 역사 ==
== 역사 ==
−
1928년 개축하여, 1973년 리모델링 후 오늘에 이르고 있다.1988년 서울 올림픽의 주요 종목 예선 경기와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예선 경기가 벌어지기도 했었다. 1983년부터 2001년까지 [[K리그]] [[부산 대우 로얄즈]]와 [[부산 아이콘스]]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2006년부터는 [[내셔널리그]]의 [[부산 교통공사]]의 홈구장으로 현재까지 사용중이다. 노후화 정도가 심해, 2009년 정밀안전검사에서 안전등급 C급 판정을 받은 후, 부산시는 철거 내지 리모델링을 검토하고 있다.
+
1928년 개축하여, 1973년 리모델링 후 오늘에 이르고 있다.1988년 서울 올림픽의 주요 종목 예선 경기와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예선 경기가 벌어지기도 했었다. 1979년부터 2002년까지 [[K리그]] [[부산 대우 로얄즈]]와 [[부산 아이콘스]]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2006년부터는 [[내셔널리그]]의 [[부산 교통공사]]의 홈구장으로 현재까지 사용중이다. 노후화 정도가 심해, 2009년 정밀안전검사에서 안전등급 C급 판정을 받은 후, 부산시는 철거 내지 리모델링을 검토하고 있다.
+
당초 계획 상으로는 경기장을 철거하고 축구전용구장으로 탈바꿈할 예정이었으나, 계획이 취소되고 경기장 전체에 대해 리모델링이 진행되었으며, 리모델링이 완료된 2016년 [[부산 아이파크]]는 [[부산 아시아드 경기장]] 대신 구덕종합운동장으로 홈 경기를 옮겨 개최했다.